20년 된 세월호 구명 장비 ‘있으나 마나’
입력 2014.04.28 (23:45)
수정 2014.04.29 (00: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세월호의 구명조끼와 구명정은 무려 20년 전에 제작된 낡은 제품이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구명정은 물속 일정 깊이에 들어가면 무조건 펼쳐져야 하지만 오늘에서야 작동된 것도 있습니다.
보도에 이준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침몰 사고 해역에서 수거한 세월호의 구명장비들입니다.
<녹취> 진도군청 관계자 : "(언제 들어왔습니까?) 25일 날. (어디서?) 해경(에서 들어왔나요)) 해경에서요."
탑승객용으로 비치됐던 구명조끼의 제작 연도를 확인해 봤습니다.
무려 20년 전인 1994년.
세월호의 전신인 나미노우에호가 일본의 조선소에서 건조된 시기와 일치합니다.
위급상황시 펼쳐져야 할 구명정.
역시 제작한 지 20년이 지났습니다.
사고 당일엔 바다에 투하된 2개 중 1개만 터졌습니다.
침몰 사흘 뒤 3개가 뒤늦게 터져 떠오른데 이어 13일 만인 오늘 또 4개가 스스로 떠올랐습니다.
구명정은 물속 3-5미터에 들어가면 무조건 터지도록 돼 있습니다.
<녹취> 김길수(한국해양대 교수) : "(20년이 지났으면)기능이 비정상적으로 될 가능성도 있지만...그 기술이 진보돼서 이 자체가 사실 거의 중고 고물덩어리 비슷하게 될 거 아니겠습니까..."
한국선급은 지난 2월 세월호에 대한 안전점검에서 구명장비에 대해 모두 정상 도장을 찍었습니다.
검경 합동수사본부는 구명정이 펴지지 않은 이유와 구명조끼가 제 기능을 할 수 있는 상태였는지 등에 대해서도 수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준석입니다.
세월호의 구명조끼와 구명정은 무려 20년 전에 제작된 낡은 제품이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구명정은 물속 일정 깊이에 들어가면 무조건 펼쳐져야 하지만 오늘에서야 작동된 것도 있습니다.
보도에 이준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침몰 사고 해역에서 수거한 세월호의 구명장비들입니다.
<녹취> 진도군청 관계자 : "(언제 들어왔습니까?) 25일 날. (어디서?) 해경(에서 들어왔나요)) 해경에서요."
탑승객용으로 비치됐던 구명조끼의 제작 연도를 확인해 봤습니다.
무려 20년 전인 1994년.
세월호의 전신인 나미노우에호가 일본의 조선소에서 건조된 시기와 일치합니다.
위급상황시 펼쳐져야 할 구명정.
역시 제작한 지 20년이 지났습니다.
사고 당일엔 바다에 투하된 2개 중 1개만 터졌습니다.
침몰 사흘 뒤 3개가 뒤늦게 터져 떠오른데 이어 13일 만인 오늘 또 4개가 스스로 떠올랐습니다.
구명정은 물속 3-5미터에 들어가면 무조건 터지도록 돼 있습니다.
<녹취> 김길수(한국해양대 교수) : "(20년이 지났으면)기능이 비정상적으로 될 가능성도 있지만...그 기술이 진보돼서 이 자체가 사실 거의 중고 고물덩어리 비슷하게 될 거 아니겠습니까..."
한국선급은 지난 2월 세월호에 대한 안전점검에서 구명장비에 대해 모두 정상 도장을 찍었습니다.
검경 합동수사본부는 구명정이 펴지지 않은 이유와 구명조끼가 제 기능을 할 수 있는 상태였는지 등에 대해서도 수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준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0년 된 세월호 구명 장비 ‘있으나 마나’
-
- 입력 2014-04-28 23:47:18
- 수정2014-04-29 00:46:29

<앵커 멘트>
세월호의 구명조끼와 구명정은 무려 20년 전에 제작된 낡은 제품이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구명정은 물속 일정 깊이에 들어가면 무조건 펼쳐져야 하지만 오늘에서야 작동된 것도 있습니다.
보도에 이준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침몰 사고 해역에서 수거한 세월호의 구명장비들입니다.
<녹취> 진도군청 관계자 : "(언제 들어왔습니까?) 25일 날. (어디서?) 해경(에서 들어왔나요)) 해경에서요."
탑승객용으로 비치됐던 구명조끼의 제작 연도를 확인해 봤습니다.
무려 20년 전인 1994년.
세월호의 전신인 나미노우에호가 일본의 조선소에서 건조된 시기와 일치합니다.
위급상황시 펼쳐져야 할 구명정.
역시 제작한 지 20년이 지났습니다.
사고 당일엔 바다에 투하된 2개 중 1개만 터졌습니다.
침몰 사흘 뒤 3개가 뒤늦게 터져 떠오른데 이어 13일 만인 오늘 또 4개가 스스로 떠올랐습니다.
구명정은 물속 3-5미터에 들어가면 무조건 터지도록 돼 있습니다.
<녹취> 김길수(한국해양대 교수) : "(20년이 지났으면)기능이 비정상적으로 될 가능성도 있지만...그 기술이 진보돼서 이 자체가 사실 거의 중고 고물덩어리 비슷하게 될 거 아니겠습니까..."
한국선급은 지난 2월 세월호에 대한 안전점검에서 구명장비에 대해 모두 정상 도장을 찍었습니다.
검경 합동수사본부는 구명정이 펴지지 않은 이유와 구명조끼가 제 기능을 할 수 있는 상태였는지 등에 대해서도 수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준석입니다.
세월호의 구명조끼와 구명정은 무려 20년 전에 제작된 낡은 제품이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구명정은 물속 일정 깊이에 들어가면 무조건 펼쳐져야 하지만 오늘에서야 작동된 것도 있습니다.
보도에 이준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침몰 사고 해역에서 수거한 세월호의 구명장비들입니다.
<녹취> 진도군청 관계자 : "(언제 들어왔습니까?) 25일 날. (어디서?) 해경(에서 들어왔나요)) 해경에서요."
탑승객용으로 비치됐던 구명조끼의 제작 연도를 확인해 봤습니다.
무려 20년 전인 1994년.
세월호의 전신인 나미노우에호가 일본의 조선소에서 건조된 시기와 일치합니다.
위급상황시 펼쳐져야 할 구명정.
역시 제작한 지 20년이 지났습니다.
사고 당일엔 바다에 투하된 2개 중 1개만 터졌습니다.
침몰 사흘 뒤 3개가 뒤늦게 터져 떠오른데 이어 13일 만인 오늘 또 4개가 스스로 떠올랐습니다.
구명정은 물속 3-5미터에 들어가면 무조건 터지도록 돼 있습니다.
<녹취> 김길수(한국해양대 교수) : "(20년이 지났으면)기능이 비정상적으로 될 가능성도 있지만...그 기술이 진보돼서 이 자체가 사실 거의 중고 고물덩어리 비슷하게 될 거 아니겠습니까..."
한국선급은 지난 2월 세월호에 대한 안전점검에서 구명장비에 대해 모두 정상 도장을 찍었습니다.
검경 합동수사본부는 구명정이 펴지지 않은 이유와 구명조끼가 제 기능을 할 수 있는 상태였는지 등에 대해서도 수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준석입니다.
-
-
이준석 기자 alleylee@kbs.co.kr
이준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세월호 ‘침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