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어떤 축제에 많이 가나?”…빅데이터로 검증

입력 2014.05.14 (06:17) 수정 2014.05.14 (07: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매년 전국의 지자체들마다 앞다퉈 다양한 축제를 열죠?

하지만 이 축제들이 얼마나 인기가 있고 또 누가 어디서 찾아오는지는 그동안 제대로 밝혀진 적이 없는데요.

한국관광공사가 휴대전화 통화량 분석을 통해 축제의 성과를 분석해봤습니다.

노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매년 전국에서 열리는 축제는 모두 2500여 개, 이중 정부나 지자체 예산으로 지원되는 축제만 750여 개나 됩니다.

하지만 그 많은 축제들이 각각 어떤 특징이 있는 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인터뷰> 김태연 (서울시 강남구) : "일단 잘 모르고 광고가 있어도 지하철에서 밖에 못 봤고 언제 하는지도 정확하게 잘 모르고..."

빅데이터, 즉 휴대전화 사용량을 통해 축제를 분석해 봤더니 축제마다 고유의 특징이 나타났습니다.

무주 반딧불 축제는 낮보다는 밤에 움직이는 사람들이 많았고, 한여름 서해안의 인기 축제인 보령 머드 축제는 10대와 20대들에게 큰 인기였습니다.

또 가을밤 촉촉한 재즈 선율을 즐기는 가평 자라섬 재즈축제에는 숙박업의 매출 상승이 두드러졌습니다.

그동안 추상적인 분석에 그쳤던 축제의 성과가 투명해지고 객관화된 겁니다.

<인터뷰> 우병희 (한국관광공사 관광R&D 센터장) : "무엇을 좋아하는지를 알면 맞춤 관광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고 상품을 개발할 수도 있고 그런 부분에서 정책적으로 많은 관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관광공사는 향후 국내외 모든 관광객들의 관광 행태도 분석해 국내 관광 산업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활용한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노태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누가 어떤 축제에 많이 가나?”…빅데이터로 검증
    • 입력 2014-05-14 06:18:55
    • 수정2014-05-14 07:19:01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매년 전국의 지자체들마다 앞다퉈 다양한 축제를 열죠?

하지만 이 축제들이 얼마나 인기가 있고 또 누가 어디서 찾아오는지는 그동안 제대로 밝혀진 적이 없는데요.

한국관광공사가 휴대전화 통화량 분석을 통해 축제의 성과를 분석해봤습니다.

노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매년 전국에서 열리는 축제는 모두 2500여 개, 이중 정부나 지자체 예산으로 지원되는 축제만 750여 개나 됩니다.

하지만 그 많은 축제들이 각각 어떤 특징이 있는 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인터뷰> 김태연 (서울시 강남구) : "일단 잘 모르고 광고가 있어도 지하철에서 밖에 못 봤고 언제 하는지도 정확하게 잘 모르고..."

빅데이터, 즉 휴대전화 사용량을 통해 축제를 분석해 봤더니 축제마다 고유의 특징이 나타났습니다.

무주 반딧불 축제는 낮보다는 밤에 움직이는 사람들이 많았고, 한여름 서해안의 인기 축제인 보령 머드 축제는 10대와 20대들에게 큰 인기였습니다.

또 가을밤 촉촉한 재즈 선율을 즐기는 가평 자라섬 재즈축제에는 숙박업의 매출 상승이 두드러졌습니다.

그동안 추상적인 분석에 그쳤던 축제의 성과가 투명해지고 객관화된 겁니다.

<인터뷰> 우병희 (한국관광공사 관광R&D 센터장) : "무엇을 좋아하는지를 알면 맞춤 관광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고 상품을 개발할 수도 있고 그런 부분에서 정책적으로 많은 관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관광공사는 향후 국내외 모든 관광객들의 관광 행태도 분석해 국내 관광 산업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활용한다는 계획입니다.

KBS 뉴스 노태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