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작물 가격 폭락…대란 우려
입력 2014.05.14 (06:18)
수정 2014.05.14 (07: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마늘과 양파 등 농작물 가격 하락이 예사롭지 않습니다.
출하량은 많아진 반면, 소비가 좀처럼 살아나고 있지 않기 때문인데, 농산물 대란까지 우려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인수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 처음 시설하우스에 양파를 심은 박종옥씨.
조생종 품종으로 한 달 전 이미 수확을 해야 했지만 이제야 작업에 나섰습니다.
지난겨울 날씨가 좋아 생산량이 30퍼센트 이상 늘어 가격이 떨어진데다 팔 곳도 찾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정옥(장성군 삼계면) : "수확 자체도 하기 싫을 정도에요. 사실은 이것을 다 출하할 수 있을지도 걱정입니다."
실제 농산물도매시장에서 거래되는 햇양파 가격은 상품기준 20kg 한 망에 만 원 선.
지난해 이맘때 4만 천 원의 4분의 1수준에 불과합니다.
양파뿐만 아니라 이제 막 출하가 시작된 마늘은 30% 이상 가격이 떨어졌고, 배추는 지난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인터뷰> 임연규(광주서부도매시장 경매사) : "배추 같은 경우엔 세포기 한 망 기준 평균 시세가 4천 원선, 3천 원 후반 형성되던 것이 올해는 천원 후반, 2천 원 선 평균시세가 50% 하락한 상태"
경기침체에다 세월호 여파 등으로 소비가 줄어든 것도 가격하락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인터뷰> 장수진(광주시 상무동) : "아무래도 조금은 덜 먹게 되고 자중하게 되고 무겁죠 아무래도 마음이..."
이 달부터 노지 양파와 마늘, 배추 등 대부분 농작물의 출하가 본격화되는 만큼 추가 가격 하락은 피하기 힘들 것으로 보여 농민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인수입니다.
마늘과 양파 등 농작물 가격 하락이 예사롭지 않습니다.
출하량은 많아진 반면, 소비가 좀처럼 살아나고 있지 않기 때문인데, 농산물 대란까지 우려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인수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 처음 시설하우스에 양파를 심은 박종옥씨.
조생종 품종으로 한 달 전 이미 수확을 해야 했지만 이제야 작업에 나섰습니다.
지난겨울 날씨가 좋아 생산량이 30퍼센트 이상 늘어 가격이 떨어진데다 팔 곳도 찾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정옥(장성군 삼계면) : "수확 자체도 하기 싫을 정도에요. 사실은 이것을 다 출하할 수 있을지도 걱정입니다."
실제 농산물도매시장에서 거래되는 햇양파 가격은 상품기준 20kg 한 망에 만 원 선.
지난해 이맘때 4만 천 원의 4분의 1수준에 불과합니다.
양파뿐만 아니라 이제 막 출하가 시작된 마늘은 30% 이상 가격이 떨어졌고, 배추는 지난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인터뷰> 임연규(광주서부도매시장 경매사) : "배추 같은 경우엔 세포기 한 망 기준 평균 시세가 4천 원선, 3천 원 후반 형성되던 것이 올해는 천원 후반, 2천 원 선 평균시세가 50% 하락한 상태"
경기침체에다 세월호 여파 등으로 소비가 줄어든 것도 가격하락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인터뷰> 장수진(광주시 상무동) : "아무래도 조금은 덜 먹게 되고 자중하게 되고 무겁죠 아무래도 마음이..."
이 달부터 노지 양파와 마늘, 배추 등 대부분 농작물의 출하가 본격화되는 만큼 추가 가격 하락은 피하기 힘들 것으로 보여 농민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인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농작물 가격 폭락…대란 우려
-
- 입력 2014-05-14 06:20:23
- 수정2014-05-14 07:19:02

<앵커 멘트>
마늘과 양파 등 농작물 가격 하락이 예사롭지 않습니다.
출하량은 많아진 반면, 소비가 좀처럼 살아나고 있지 않기 때문인데, 농산물 대란까지 우려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인수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 처음 시설하우스에 양파를 심은 박종옥씨.
조생종 품종으로 한 달 전 이미 수확을 해야 했지만 이제야 작업에 나섰습니다.
지난겨울 날씨가 좋아 생산량이 30퍼센트 이상 늘어 가격이 떨어진데다 팔 곳도 찾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정옥(장성군 삼계면) : "수확 자체도 하기 싫을 정도에요. 사실은 이것을 다 출하할 수 있을지도 걱정입니다."
실제 농산물도매시장에서 거래되는 햇양파 가격은 상품기준 20kg 한 망에 만 원 선.
지난해 이맘때 4만 천 원의 4분의 1수준에 불과합니다.
양파뿐만 아니라 이제 막 출하가 시작된 마늘은 30% 이상 가격이 떨어졌고, 배추는 지난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인터뷰> 임연규(광주서부도매시장 경매사) : "배추 같은 경우엔 세포기 한 망 기준 평균 시세가 4천 원선, 3천 원 후반 형성되던 것이 올해는 천원 후반, 2천 원 선 평균시세가 50% 하락한 상태"
경기침체에다 세월호 여파 등으로 소비가 줄어든 것도 가격하락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인터뷰> 장수진(광주시 상무동) : "아무래도 조금은 덜 먹게 되고 자중하게 되고 무겁죠 아무래도 마음이..."
이 달부터 노지 양파와 마늘, 배추 등 대부분 농작물의 출하가 본격화되는 만큼 추가 가격 하락은 피하기 힘들 것으로 보여 농민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인수입니다.
마늘과 양파 등 농작물 가격 하락이 예사롭지 않습니다.
출하량은 많아진 반면, 소비가 좀처럼 살아나고 있지 않기 때문인데, 농산물 대란까지 우려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인수기자입니다.
<리포트>
올해 처음 시설하우스에 양파를 심은 박종옥씨.
조생종 품종으로 한 달 전 이미 수확을 해야 했지만 이제야 작업에 나섰습니다.
지난겨울 날씨가 좋아 생산량이 30퍼센트 이상 늘어 가격이 떨어진데다 팔 곳도 찾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박정옥(장성군 삼계면) : "수확 자체도 하기 싫을 정도에요. 사실은 이것을 다 출하할 수 있을지도 걱정입니다."
실제 농산물도매시장에서 거래되는 햇양파 가격은 상품기준 20kg 한 망에 만 원 선.
지난해 이맘때 4만 천 원의 4분의 1수준에 불과합니다.
양파뿐만 아니라 이제 막 출하가 시작된 마늘은 30% 이상 가격이 떨어졌고, 배추는 지난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인터뷰> 임연규(광주서부도매시장 경매사) : "배추 같은 경우엔 세포기 한 망 기준 평균 시세가 4천 원선, 3천 원 후반 형성되던 것이 올해는 천원 후반, 2천 원 선 평균시세가 50% 하락한 상태"
경기침체에다 세월호 여파 등으로 소비가 줄어든 것도 가격하락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인터뷰> 장수진(광주시 상무동) : "아무래도 조금은 덜 먹게 되고 자중하게 되고 무겁죠 아무래도 마음이..."
이 달부터 노지 양파와 마늘, 배추 등 대부분 농작물의 출하가 본격화되는 만큼 추가 가격 하락은 피하기 힘들 것으로 보여 농민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인수입니다.
-
-
이인수 기자 longlee@kbs.co.kr
이인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