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10년 수입과일 봇물…국산과일 울상

입력 2014.05.14 (07:40) 수정 2014.05.14 (07: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첫 FTA 체결 이후 10년째에 접어들면서 우리 식탁에 오르는 과일의 종류도 변하고 있습니다.

포도나 체리, 망고 등 낯설었던 수입 과일들도 인기를 얻으면서 대신 국산과일이 설 자리는 점점 좁아지고 있습니다.

임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바나나와 오렌지 같은 대표적 수입 과일에다 수입 포도와 체리, 망고까지 10년 전에는 낯설었던 과일들이 장바구니를 채우고 있습니다.

<인터뷰> 민선영(서울 관악구) : "망고 주스도 제가 처음에는 안 먹었는데 한 번 맛을 보니까 괜찮더라고요. 가면 시원한 망고주스 찾게 되고..."

FTA로 관세가 낮아지거나 없어지면서 수입 과일 소비량은 지난 2004년 16%에서 지난해에는 21%로 높아졌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수입량이 가장 많이 늘어난 건 체리, 무려 13배가 됐습니다.

망고는 7배, 자몽은 6배, 그리고 포도도 4배 정도로 수입량이 많아졌습니다.

수입 과일 소비가 급증한 건 제철 과일이 부족한 시기를 노린 틈새 전략 덕분.

<인터뷰> 강광희(과일판매업자) : "(제철 과일이)덜 나오는 철. 예를 들어서 포도철이 아닐 때, 포도 다른 데서 오는 것(수입 포도)가 팔리고, 또는 귤철이 아닐 때 파고드는 게 오렌지 같은 거예요."

다양한 과일 맛을 즐기는 수요가 커진 것도 수입과일 소비가 늘어난 이유입니다.

반대로 국산 과일 소비 비중은 줄면서 국내 과수 농가가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용선(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국산 과일이 좀 위축되는 그런 정도의 경향을 나타냈습니다. 미숙한(영세한) 농가들이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았다고 보입니다."

한라봉이나 천혜향 같은 새로운 품종을 재배한 과수 농가들은 FTA의 타격을 입지 않았지만 기존의 품종만 고집한 농가들은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S 뉴스 임주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FTA 10년 수입과일 봇물…국산과일 울상
    • 입력 2014-05-14 07:40:55
    • 수정2014-05-14 07:52:02
    뉴스광장(경인)
<앵커 멘트>

첫 FTA 체결 이후 10년째에 접어들면서 우리 식탁에 오르는 과일의 종류도 변하고 있습니다.

포도나 체리, 망고 등 낯설었던 수입 과일들도 인기를 얻으면서 대신 국산과일이 설 자리는 점점 좁아지고 있습니다.

임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바나나와 오렌지 같은 대표적 수입 과일에다 수입 포도와 체리, 망고까지 10년 전에는 낯설었던 과일들이 장바구니를 채우고 있습니다.

<인터뷰> 민선영(서울 관악구) : "망고 주스도 제가 처음에는 안 먹었는데 한 번 맛을 보니까 괜찮더라고요. 가면 시원한 망고주스 찾게 되고..."

FTA로 관세가 낮아지거나 없어지면서 수입 과일 소비량은 지난 2004년 16%에서 지난해에는 21%로 높아졌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수입량이 가장 많이 늘어난 건 체리, 무려 13배가 됐습니다.

망고는 7배, 자몽은 6배, 그리고 포도도 4배 정도로 수입량이 많아졌습니다.

수입 과일 소비가 급증한 건 제철 과일이 부족한 시기를 노린 틈새 전략 덕분.

<인터뷰> 강광희(과일판매업자) : "(제철 과일이)덜 나오는 철. 예를 들어서 포도철이 아닐 때, 포도 다른 데서 오는 것(수입 포도)가 팔리고, 또는 귤철이 아닐 때 파고드는 게 오렌지 같은 거예요."

다양한 과일 맛을 즐기는 수요가 커진 것도 수입과일 소비가 늘어난 이유입니다.

반대로 국산 과일 소비 비중은 줄면서 국내 과수 농가가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용선(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국산 과일이 좀 위축되는 그런 정도의 경향을 나타냈습니다. 미숙한(영세한) 농가들이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았다고 보입니다."

한라봉이나 천혜향 같은 새로운 품종을 재배한 과수 농가들은 FTA의 타격을 입지 않았지만 기존의 품종만 고집한 농가들은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KBS 뉴스 임주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