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위험천만’ 하강 놀이시설, 안전 기준도 없어
입력 2014.06.29 (21:20) 수정 2014.06.29 (23:03) 뉴스 9
<앵커 멘트>
최근 산이나 바다에서 양쪽에 연결된 긴 줄을 타고 내려오는 이른바 '하강놀이시설'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하지만, 운영과 안전에 관한 기준이 없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형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긴 줄에 몸을 매달고 하늘을 가르며 내려가는 사람들.
탁 트인 경치와 함께 속도감이 주는 스릴을 즐길 수 있어 인기입니다.
이러한 하강 놀이시설은 전국에 40여 곳, 관광수입을 노리는 지자체를 중심으로 그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전기준이나 운영에 대한 법적 기준은 없습니다.
<인터뷰> 이선효(하강 놀이시설 운영업체 이사) : "관련법이 부재하다보니까 그 누구도 규제를 하지 않아요. 그러니까 누구든지 다 이 사업을 할 수 있는게 문제인거죠."
그만큼 사고의 위험도 높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5월 강원도에서는 체험에 나섰던 남자 2명이 하천으로 떨어졌고, 직원 등 3명은 떨어진 와이어에 머리 등을 크게 다쳤습니다.
한국 소비자원에 접수된 이와 같은 안전사고만 11건, 이 중 9건이 운영 미숙이나 시설 문제가 원인이었습니다.
또, 사고의 80%가 중상으로 이어졌습니다.
빠르게 내려오다 갑자기 속도를 줄이다보면 목이나 등이 꺽일 위험도 높습니다.
<인터뷰> 윤경천 팀장(한국 소비자원 소비자안전국) : "시설물 이용하실 때 보험가입 여부는 반드시 확인하시고, 목디스크, 허리 디스크 등이 있는 분은 이용을 자제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소비자원은 안전 관리 기준과 보호 장구의 사용 의무화 등의 제도 마련을 당국에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지형철입니다.
최근 산이나 바다에서 양쪽에 연결된 긴 줄을 타고 내려오는 이른바 '하강놀이시설'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하지만, 운영과 안전에 관한 기준이 없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형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긴 줄에 몸을 매달고 하늘을 가르며 내려가는 사람들.
탁 트인 경치와 함께 속도감이 주는 스릴을 즐길 수 있어 인기입니다.
이러한 하강 놀이시설은 전국에 40여 곳, 관광수입을 노리는 지자체를 중심으로 그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전기준이나 운영에 대한 법적 기준은 없습니다.
<인터뷰> 이선효(하강 놀이시설 운영업체 이사) : "관련법이 부재하다보니까 그 누구도 규제를 하지 않아요. 그러니까 누구든지 다 이 사업을 할 수 있는게 문제인거죠."
그만큼 사고의 위험도 높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5월 강원도에서는 체험에 나섰던 남자 2명이 하천으로 떨어졌고, 직원 등 3명은 떨어진 와이어에 머리 등을 크게 다쳤습니다.
한국 소비자원에 접수된 이와 같은 안전사고만 11건, 이 중 9건이 운영 미숙이나 시설 문제가 원인이었습니다.
또, 사고의 80%가 중상으로 이어졌습니다.
빠르게 내려오다 갑자기 속도를 줄이다보면 목이나 등이 꺽일 위험도 높습니다.
<인터뷰> 윤경천 팀장(한국 소비자원 소비자안전국) : "시설물 이용하실 때 보험가입 여부는 반드시 확인하시고, 목디스크, 허리 디스크 등이 있는 분은 이용을 자제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소비자원은 안전 관리 기준과 보호 장구의 사용 의무화 등의 제도 마련을 당국에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지형철입니다.
- ‘위험천만’ 하강 놀이시설, 안전 기준도 없어
-
- 입력 2014-06-29 21:26:11
- 수정2014-06-29 23:03:35

<앵커 멘트>
최근 산이나 바다에서 양쪽에 연결된 긴 줄을 타고 내려오는 이른바 '하강놀이시설'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하지만, 운영과 안전에 관한 기준이 없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형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긴 줄에 몸을 매달고 하늘을 가르며 내려가는 사람들.
탁 트인 경치와 함께 속도감이 주는 스릴을 즐길 수 있어 인기입니다.
이러한 하강 놀이시설은 전국에 40여 곳, 관광수입을 노리는 지자체를 중심으로 그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전기준이나 운영에 대한 법적 기준은 없습니다.
<인터뷰> 이선효(하강 놀이시설 운영업체 이사) : "관련법이 부재하다보니까 그 누구도 규제를 하지 않아요. 그러니까 누구든지 다 이 사업을 할 수 있는게 문제인거죠."
그만큼 사고의 위험도 높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5월 강원도에서는 체험에 나섰던 남자 2명이 하천으로 떨어졌고, 직원 등 3명은 떨어진 와이어에 머리 등을 크게 다쳤습니다.
한국 소비자원에 접수된 이와 같은 안전사고만 11건, 이 중 9건이 운영 미숙이나 시설 문제가 원인이었습니다.
또, 사고의 80%가 중상으로 이어졌습니다.
빠르게 내려오다 갑자기 속도를 줄이다보면 목이나 등이 꺽일 위험도 높습니다.
<인터뷰> 윤경천 팀장(한국 소비자원 소비자안전국) : "시설물 이용하실 때 보험가입 여부는 반드시 확인하시고, 목디스크, 허리 디스크 등이 있는 분은 이용을 자제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소비자원은 안전 관리 기준과 보호 장구의 사용 의무화 등의 제도 마련을 당국에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지형철입니다.
최근 산이나 바다에서 양쪽에 연결된 긴 줄을 타고 내려오는 이른바 '하강놀이시설'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하지만, 운영과 안전에 관한 기준이 없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형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긴 줄에 몸을 매달고 하늘을 가르며 내려가는 사람들.
탁 트인 경치와 함께 속도감이 주는 스릴을 즐길 수 있어 인기입니다.
이러한 하강 놀이시설은 전국에 40여 곳, 관광수입을 노리는 지자체를 중심으로 그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안전기준이나 운영에 대한 법적 기준은 없습니다.
<인터뷰> 이선효(하강 놀이시설 운영업체 이사) : "관련법이 부재하다보니까 그 누구도 규제를 하지 않아요. 그러니까 누구든지 다 이 사업을 할 수 있는게 문제인거죠."
그만큼 사고의 위험도 높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5월 강원도에서는 체험에 나섰던 남자 2명이 하천으로 떨어졌고, 직원 등 3명은 떨어진 와이어에 머리 등을 크게 다쳤습니다.
한국 소비자원에 접수된 이와 같은 안전사고만 11건, 이 중 9건이 운영 미숙이나 시설 문제가 원인이었습니다.
또, 사고의 80%가 중상으로 이어졌습니다.
빠르게 내려오다 갑자기 속도를 줄이다보면 목이나 등이 꺽일 위험도 높습니다.
<인터뷰> 윤경천 팀장(한국 소비자원 소비자안전국) : "시설물 이용하실 때 보험가입 여부는 반드시 확인하시고, 목디스크, 허리 디스크 등이 있는 분은 이용을 자제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소비자원은 안전 관리 기준과 보호 장구의 사용 의무화 등의 제도 마련을 당국에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지형철입니다.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지형철 기자 ican@kbs.co.kr
지형철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