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사지 않고 빌려요”…장기 렌터카 급증

입력 2014.07.21 (19:14) 수정 2014.07.21 (19:4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자동차 렌트' 하면, 여행지에서 며칠 정도 빌리는 걸 떠올리실 텐데요.

차를 사는 것보다 빌려타는 게 더 경제적이고 편리하다며 몇 년씩 장기 렌트를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자동차도 주택처럼 소유에서 임대로 바뀌어가는 걸까요?

정인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차량 이용을 많이 하는 김은호씨는 최근 8년 타던 차를 팔고 중형차를 장기 임대하기로 했습니다.

3년 정도 탈 예정으로 할부 구매와 비교해보니 3백만원 가량 절약된다는 계산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차를 8년 이상 타다 보니까 수리비가 많이 들고 보험료 나가고 세금도 감면되지 않고 그런 걸 따져봤을 때..."

점유율 1위 렌터카 업체의 경우 개인 장기 임대차량이 2010년 천6백여 대에서 지난해 만4천여 대로 8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세금과 보험료가 임대료에 포함되는데다, 사고가 발생했을 때 모든 처리를 렌터카 업체가 해주는게 장점으로 꼽힙니다.

정비업체가 부품 교환 등 차량 관리도 해주기 때문에 바쁜 직장인이나 여성 운전자에게 특히 만족도가 높습니다.

<인터뷰> "중간에 해지도 가능하고 만기가 되면 인수도 가능합니다. 킬로수 많은 분들은 LPG 차량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형차를 이용하는 사람이나 사고 이력이 없어 보험료가 낮은 경우, 주행거리가 많지 않은 경우엔 차를 사는 것이 더 경제적일 수 있어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집과 차는 '무조건 사야 한다'는 인식이 점차 바뀌면서 자동차를 빌려 타는 소비자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정인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차 사지 않고 빌려요”…장기 렌터카 급증
    • 입력 2014-07-21 19:16:25
    • 수정2014-07-21 19:42:10
    뉴스 7
<앵커 멘트>

'자동차 렌트' 하면, 여행지에서 며칠 정도 빌리는 걸 떠올리실 텐데요.

차를 사는 것보다 빌려타는 게 더 경제적이고 편리하다며 몇 년씩 장기 렌트를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자동차도 주택처럼 소유에서 임대로 바뀌어가는 걸까요?

정인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차량 이용을 많이 하는 김은호씨는 최근 8년 타던 차를 팔고 중형차를 장기 임대하기로 했습니다.

3년 정도 탈 예정으로 할부 구매와 비교해보니 3백만원 가량 절약된다는 계산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차를 8년 이상 타다 보니까 수리비가 많이 들고 보험료 나가고 세금도 감면되지 않고 그런 걸 따져봤을 때..."

점유율 1위 렌터카 업체의 경우 개인 장기 임대차량이 2010년 천6백여 대에서 지난해 만4천여 대로 8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세금과 보험료가 임대료에 포함되는데다, 사고가 발생했을 때 모든 처리를 렌터카 업체가 해주는게 장점으로 꼽힙니다.

정비업체가 부품 교환 등 차량 관리도 해주기 때문에 바쁜 직장인이나 여성 운전자에게 특히 만족도가 높습니다.

<인터뷰> "중간에 해지도 가능하고 만기가 되면 인수도 가능합니다. 킬로수 많은 분들은 LPG 차량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형차를 이용하는 사람이나 사고 이력이 없어 보험료가 낮은 경우, 주행거리가 많지 않은 경우엔 차를 사는 것이 더 경제적일 수 있어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집과 차는 '무조건 사야 한다'는 인식이 점차 바뀌면서 자동차를 빌려 타는 소비자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정인성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