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3.7% “세월호법 다시 협상해야”
입력 2014.09.01 (07:00)
수정 2014.09.01 (07: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국민들은 또 여야의 세월호법 재합의안은 다시 협상해야 하고 진상조사위에 수사권과 기소권도 보장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그러나 국회 특검 추천권을 모두 야당에 넘기는 방안은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김지숙 기자입니다.
<리포트>
여야의 세월호 특별법 재합의안에 대한 처리 방향을 물었습니다.
'다시 협상해야 한다'가 53.7%, '재합의안대로 통과시켜야 한다'가 41.6%로 나왔습니다.
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권과 기소권을 보장하는 방안에 대해선 동의한다는 응답이 58.3%로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 38.6%보다 우세했습니다.
반면에 국회의 특별검사 후보자 추천권을 모두 야당에 넘기는데 대해선 '동의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54.5%로 동의한다는 답변 37.2%보다 더 많았습니다.
여.야 유가족 '3자 협의체' 구성안은 65.8%가 '필요하다'고 답해 '필요없다'는 답변보다 두 배 이상 많았습니다.
대통령이 세월호 유가족을 만나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60.6%가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대통령이 세월호법 문제 해결에 직접 나서야 하느냐에 대해선 그럴 필요가 없다는 응답이 52.1%, 필요하다는 응답은 46.6%였습니다.
이번 조사는 KBS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그제 하루 만 19세 이상 남녀 천 명을 대상으로 유무선 전화로 조사했으며 오차한계는 95% 신뢰 수준에 플러스마이너스 3.1%포인트, 응답률은 17.3%였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국민들은 또 여야의 세월호법 재합의안은 다시 협상해야 하고 진상조사위에 수사권과 기소권도 보장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그러나 국회 특검 추천권을 모두 야당에 넘기는 방안은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김지숙 기자입니다.
<리포트>
여야의 세월호 특별법 재합의안에 대한 처리 방향을 물었습니다.
'다시 협상해야 한다'가 53.7%, '재합의안대로 통과시켜야 한다'가 41.6%로 나왔습니다.
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권과 기소권을 보장하는 방안에 대해선 동의한다는 응답이 58.3%로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 38.6%보다 우세했습니다.
반면에 국회의 특별검사 후보자 추천권을 모두 야당에 넘기는데 대해선 '동의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54.5%로 동의한다는 답변 37.2%보다 더 많았습니다.
여.야 유가족 '3자 협의체' 구성안은 65.8%가 '필요하다'고 답해 '필요없다'는 답변보다 두 배 이상 많았습니다.
대통령이 세월호 유가족을 만나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60.6%가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대통령이 세월호법 문제 해결에 직접 나서야 하느냐에 대해선 그럴 필요가 없다는 응답이 52.1%, 필요하다는 응답은 46.6%였습니다.
이번 조사는 KBS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그제 하루 만 19세 이상 남녀 천 명을 대상으로 유무선 전화로 조사했으며 오차한계는 95% 신뢰 수준에 플러스마이너스 3.1%포인트, 응답률은 17.3%였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민 53.7% “세월호법 다시 협상해야”
-
- 입력 2014-09-01 07:02:45
- 수정2014-09-01 07:57:57

<앵커 멘트>
국민들은 또 여야의 세월호법 재합의안은 다시 협상해야 하고 진상조사위에 수사권과 기소권도 보장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그러나 국회 특검 추천권을 모두 야당에 넘기는 방안은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김지숙 기자입니다.
<리포트>
여야의 세월호 특별법 재합의안에 대한 처리 방향을 물었습니다.
'다시 협상해야 한다'가 53.7%, '재합의안대로 통과시켜야 한다'가 41.6%로 나왔습니다.
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권과 기소권을 보장하는 방안에 대해선 동의한다는 응답이 58.3%로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 38.6%보다 우세했습니다.
반면에 국회의 특별검사 후보자 추천권을 모두 야당에 넘기는데 대해선 '동의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54.5%로 동의한다는 답변 37.2%보다 더 많았습니다.
여.야 유가족 '3자 협의체' 구성안은 65.8%가 '필요하다'고 답해 '필요없다'는 답변보다 두 배 이상 많았습니다.
대통령이 세월호 유가족을 만나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60.6%가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대통령이 세월호법 문제 해결에 직접 나서야 하느냐에 대해선 그럴 필요가 없다는 응답이 52.1%, 필요하다는 응답은 46.6%였습니다.
이번 조사는 KBS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그제 하루 만 19세 이상 남녀 천 명을 대상으로 유무선 전화로 조사했으며 오차한계는 95% 신뢰 수준에 플러스마이너스 3.1%포인트, 응답률은 17.3%였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국민들은 또 여야의 세월호법 재합의안은 다시 협상해야 하고 진상조사위에 수사권과 기소권도 보장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그러나 국회 특검 추천권을 모두 야당에 넘기는 방안은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김지숙 기자입니다.
<리포트>
여야의 세월호 특별법 재합의안에 대한 처리 방향을 물었습니다.
'다시 협상해야 한다'가 53.7%, '재합의안대로 통과시켜야 한다'가 41.6%로 나왔습니다.
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권과 기소권을 보장하는 방안에 대해선 동의한다는 응답이 58.3%로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 38.6%보다 우세했습니다.
반면에 국회의 특별검사 후보자 추천권을 모두 야당에 넘기는데 대해선 '동의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54.5%로 동의한다는 답변 37.2%보다 더 많았습니다.
여.야 유가족 '3자 협의체' 구성안은 65.8%가 '필요하다'고 답해 '필요없다'는 답변보다 두 배 이상 많았습니다.
대통령이 세월호 유가족을 만나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60.6%가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대통령이 세월호법 문제 해결에 직접 나서야 하느냐에 대해선 그럴 필요가 없다는 응답이 52.1%, 필요하다는 응답은 46.6%였습니다.
이번 조사는 KBS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그제 하루 만 19세 이상 남녀 천 명을 대상으로 유무선 전화로 조사했으며 오차한계는 95% 신뢰 수준에 플러스마이너스 3.1%포인트, 응답률은 17.3%였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
-
김지숙 기자 jskim84@kbs.co.kr
김지숙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