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원시세계에서 미래를 찾다…‘선사 문화 축제’
입력 2014.10.10 (19:22) 수정 2014.10.10 (19:39) 뉴스 7
<앵커 멘트>
서울 암사동 지역은 선사시대의 유적이 대규모로 발견돼 학술적으로 중요한 곳이기도 한데요.
이곳에서 원시 시대의 생활상을 보고 느낄 수 있는 선사 문화 축제가 시작됐습니다.
이철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원시인 복장을 한 유치원생들이 무언가를 귀 기울여 듣고 있습니다.
좁은 홈에 나무를 끼워 돌려 마찰열을 일으키는 원시 시대의 불 피우기 방법입니다.
<녹취> "와! 진짜 연기 난다."
하지만 직접 따라 해 보면 쉽지가 않습니다.
이번에는 호미를 들고 모래 속을 파기 시작했습니다.
유물이 상하지 않게 조심스럽게 발굴하는 법을 따라 해봅니다.
<인터뷰> 최지우(7살) : "발견하는 게 재미 있었어요. (어떤걸요?) 옛날 조각이요."
이런 체험 행사를 시작으로 사흘간 선사 문화 축제가 시작됐습니다.
1996년 시작돼 올해로 19회 째입니다.
1988년 일반에 처음 공개된 암사동 유적은 우리나라 신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적입니다.
<인터뷰> 윤희진(학예사) : "대규모 마을 단위의 유적으로 발견된 건 서울 암사동 유적이 처음이고요. (여기서 발견된) 빗살무늬토기는 한반도 중서부지역 빗살무늬토기를 대표하는 유적이고요."
암사동 유적지 전체 면적 약 10만 여 제곱미터 중 지금까지 발굴 작업이 완료된 건 3분의 1 정도에 불과합니다.
강동구청은 내년부터 추가 발굴을 시작하고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도 추진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서울 암사동 지역은 선사시대의 유적이 대규모로 발견돼 학술적으로 중요한 곳이기도 한데요.
이곳에서 원시 시대의 생활상을 보고 느낄 수 있는 선사 문화 축제가 시작됐습니다.
이철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원시인 복장을 한 유치원생들이 무언가를 귀 기울여 듣고 있습니다.
좁은 홈에 나무를 끼워 돌려 마찰열을 일으키는 원시 시대의 불 피우기 방법입니다.
<녹취> "와! 진짜 연기 난다."
하지만 직접 따라 해 보면 쉽지가 않습니다.
이번에는 호미를 들고 모래 속을 파기 시작했습니다.
유물이 상하지 않게 조심스럽게 발굴하는 법을 따라 해봅니다.
<인터뷰> 최지우(7살) : "발견하는 게 재미 있었어요. (어떤걸요?) 옛날 조각이요."
이런 체험 행사를 시작으로 사흘간 선사 문화 축제가 시작됐습니다.
1996년 시작돼 올해로 19회 째입니다.
1988년 일반에 처음 공개된 암사동 유적은 우리나라 신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적입니다.
<인터뷰> 윤희진(학예사) : "대규모 마을 단위의 유적으로 발견된 건 서울 암사동 유적이 처음이고요. (여기서 발견된) 빗살무늬토기는 한반도 중서부지역 빗살무늬토기를 대표하는 유적이고요."
암사동 유적지 전체 면적 약 10만 여 제곱미터 중 지금까지 발굴 작업이 완료된 건 3분의 1 정도에 불과합니다.
강동구청은 내년부터 추가 발굴을 시작하고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도 추진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 원시세계에서 미래를 찾다…‘선사 문화 축제’
-
- 입력 2014-10-10 19:24:08
- 수정2014-10-10 19:39:01

<앵커 멘트>
서울 암사동 지역은 선사시대의 유적이 대규모로 발견돼 학술적으로 중요한 곳이기도 한데요.
이곳에서 원시 시대의 생활상을 보고 느낄 수 있는 선사 문화 축제가 시작됐습니다.
이철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원시인 복장을 한 유치원생들이 무언가를 귀 기울여 듣고 있습니다.
좁은 홈에 나무를 끼워 돌려 마찰열을 일으키는 원시 시대의 불 피우기 방법입니다.
<녹취> "와! 진짜 연기 난다."
하지만 직접 따라 해 보면 쉽지가 않습니다.
이번에는 호미를 들고 모래 속을 파기 시작했습니다.
유물이 상하지 않게 조심스럽게 발굴하는 법을 따라 해봅니다.
<인터뷰> 최지우(7살) : "발견하는 게 재미 있었어요. (어떤걸요?) 옛날 조각이요."
이런 체험 행사를 시작으로 사흘간 선사 문화 축제가 시작됐습니다.
1996년 시작돼 올해로 19회 째입니다.
1988년 일반에 처음 공개된 암사동 유적은 우리나라 신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적입니다.
<인터뷰> 윤희진(학예사) : "대규모 마을 단위의 유적으로 발견된 건 서울 암사동 유적이 처음이고요. (여기서 발견된) 빗살무늬토기는 한반도 중서부지역 빗살무늬토기를 대표하는 유적이고요."
암사동 유적지 전체 면적 약 10만 여 제곱미터 중 지금까지 발굴 작업이 완료된 건 3분의 1 정도에 불과합니다.
강동구청은 내년부터 추가 발굴을 시작하고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도 추진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서울 암사동 지역은 선사시대의 유적이 대규모로 발견돼 학술적으로 중요한 곳이기도 한데요.
이곳에서 원시 시대의 생활상을 보고 느낄 수 있는 선사 문화 축제가 시작됐습니다.
이철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원시인 복장을 한 유치원생들이 무언가를 귀 기울여 듣고 있습니다.
좁은 홈에 나무를 끼워 돌려 마찰열을 일으키는 원시 시대의 불 피우기 방법입니다.
<녹취> "와! 진짜 연기 난다."
하지만 직접 따라 해 보면 쉽지가 않습니다.
이번에는 호미를 들고 모래 속을 파기 시작했습니다.
유물이 상하지 않게 조심스럽게 발굴하는 법을 따라 해봅니다.
<인터뷰> 최지우(7살) : "발견하는 게 재미 있었어요. (어떤걸요?) 옛날 조각이요."
이런 체험 행사를 시작으로 사흘간 선사 문화 축제가 시작됐습니다.
1996년 시작돼 올해로 19회 째입니다.
1988년 일반에 처음 공개된 암사동 유적은 우리나라 신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적입니다.
<인터뷰> 윤희진(학예사) : "대규모 마을 단위의 유적으로 발견된 건 서울 암사동 유적이 처음이고요. (여기서 발견된) 빗살무늬토기는 한반도 중서부지역 빗살무늬토기를 대표하는 유적이고요."
암사동 유적지 전체 면적 약 10만 여 제곱미터 중 지금까지 발굴 작업이 완료된 건 3분의 1 정도에 불과합니다.
강동구청은 내년부터 추가 발굴을 시작하고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도 추진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철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7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이철호 기자 manjeok@kbs.co.kr
이철호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