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겨울잠 앞둔 뱀, 주택가 출몰 주의
입력 2014.10.30 (08:52) 수정 2014.10.30 (09:11) 아침뉴스타임
<앵커 멘트>
최근 주택가 인근에서 뱀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을철에 나타나는 뱀은 먹이 활동이 활발한데다 독성도 강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준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책로 배수로에 길이 1미터 가량의 뱀이 나타났습니다.
소방대원이 뱀을 잡자 똬리를 틀어 위협합니다.
<녹취> "엄청나게 크지요. 저 봐 얼마나 큰지"
아파트 화단에도 뱀이 출몰해 주민들이 놀랍니다.
이처럼 최근 거주지 인근에서 뱀이 잇따라 발견되는 건 뱀의 개체 수가 늘어난 데다 월동 준비로 뱀의 먹이 활동이 활발해졌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최인봉(부산야생동물보호협회) : "겨울잠을 자기 위해서 (산)위에서 따뜻한 곳으로 밑으로 내려옵니다. 내려와서 옛날 오래된 가옥 같은 데, 돌담 같은 데 (들어갑니다.)"
문제는 가을철 뱀은 겨울잠에 들기 전 영양분을 많이 비축해 몸집이 커지면서 독의 양도 늘었다는 겁니다.
주택가 인근에 뱀이 나타났을 경우에는 건드리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뱀에 물렸을 경우 이빨 자국을 봐야 합니다.
<인터뷰> 주형진(사하소방서 구조대 팀장) : "보통 5개 이상이면 독성이 없는 뱀일 가능성이 많고, 보통 1~2개 정도 이빨 자국이 있으면 독사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또, 상처 부위를 심장보다 낮은 위치에 두고 천으로 묶은 뒤 119에 구조 요청을 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KBS 뉴스 이준석입니다.
최근 주택가 인근에서 뱀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을철에 나타나는 뱀은 먹이 활동이 활발한데다 독성도 강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준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책로 배수로에 길이 1미터 가량의 뱀이 나타났습니다.
소방대원이 뱀을 잡자 똬리를 틀어 위협합니다.
<녹취> "엄청나게 크지요. 저 봐 얼마나 큰지"
아파트 화단에도 뱀이 출몰해 주민들이 놀랍니다.
이처럼 최근 거주지 인근에서 뱀이 잇따라 발견되는 건 뱀의 개체 수가 늘어난 데다 월동 준비로 뱀의 먹이 활동이 활발해졌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최인봉(부산야생동물보호협회) : "겨울잠을 자기 위해서 (산)위에서 따뜻한 곳으로 밑으로 내려옵니다. 내려와서 옛날 오래된 가옥 같은 데, 돌담 같은 데 (들어갑니다.)"
문제는 가을철 뱀은 겨울잠에 들기 전 영양분을 많이 비축해 몸집이 커지면서 독의 양도 늘었다는 겁니다.
주택가 인근에 뱀이 나타났을 경우에는 건드리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뱀에 물렸을 경우 이빨 자국을 봐야 합니다.
<인터뷰> 주형진(사하소방서 구조대 팀장) : "보통 5개 이상이면 독성이 없는 뱀일 가능성이 많고, 보통 1~2개 정도 이빨 자국이 있으면 독사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또, 상처 부위를 심장보다 낮은 위치에 두고 천으로 묶은 뒤 119에 구조 요청을 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KBS 뉴스 이준석입니다.
- 겨울잠 앞둔 뱀, 주택가 출몰 주의
-
- 입력 2014-10-30 08:53:57
- 수정2014-10-30 09:11:31

<앵커 멘트>
최근 주택가 인근에서 뱀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을철에 나타나는 뱀은 먹이 활동이 활발한데다 독성도 강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준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책로 배수로에 길이 1미터 가량의 뱀이 나타났습니다.
소방대원이 뱀을 잡자 똬리를 틀어 위협합니다.
<녹취> "엄청나게 크지요. 저 봐 얼마나 큰지"
아파트 화단에도 뱀이 출몰해 주민들이 놀랍니다.
이처럼 최근 거주지 인근에서 뱀이 잇따라 발견되는 건 뱀의 개체 수가 늘어난 데다 월동 준비로 뱀의 먹이 활동이 활발해졌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최인봉(부산야생동물보호협회) : "겨울잠을 자기 위해서 (산)위에서 따뜻한 곳으로 밑으로 내려옵니다. 내려와서 옛날 오래된 가옥 같은 데, 돌담 같은 데 (들어갑니다.)"
문제는 가을철 뱀은 겨울잠에 들기 전 영양분을 많이 비축해 몸집이 커지면서 독의 양도 늘었다는 겁니다.
주택가 인근에 뱀이 나타났을 경우에는 건드리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뱀에 물렸을 경우 이빨 자국을 봐야 합니다.
<인터뷰> 주형진(사하소방서 구조대 팀장) : "보통 5개 이상이면 독성이 없는 뱀일 가능성이 많고, 보통 1~2개 정도 이빨 자국이 있으면 독사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또, 상처 부위를 심장보다 낮은 위치에 두고 천으로 묶은 뒤 119에 구조 요청을 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KBS 뉴스 이준석입니다.
최근 주택가 인근에서 뱀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을철에 나타나는 뱀은 먹이 활동이 활발한데다 독성도 강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준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책로 배수로에 길이 1미터 가량의 뱀이 나타났습니다.
소방대원이 뱀을 잡자 똬리를 틀어 위협합니다.
<녹취> "엄청나게 크지요. 저 봐 얼마나 큰지"
아파트 화단에도 뱀이 출몰해 주민들이 놀랍니다.
이처럼 최근 거주지 인근에서 뱀이 잇따라 발견되는 건 뱀의 개체 수가 늘어난 데다 월동 준비로 뱀의 먹이 활동이 활발해졌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최인봉(부산야생동물보호협회) : "겨울잠을 자기 위해서 (산)위에서 따뜻한 곳으로 밑으로 내려옵니다. 내려와서 옛날 오래된 가옥 같은 데, 돌담 같은 데 (들어갑니다.)"
문제는 가을철 뱀은 겨울잠에 들기 전 영양분을 많이 비축해 몸집이 커지면서 독의 양도 늘었다는 겁니다.
주택가 인근에 뱀이 나타났을 경우에는 건드리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뱀에 물렸을 경우 이빨 자국을 봐야 합니다.
<인터뷰> 주형진(사하소방서 구조대 팀장) : "보통 5개 이상이면 독성이 없는 뱀일 가능성이 많고, 보통 1~2개 정도 이빨 자국이 있으면 독사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또, 상처 부위를 심장보다 낮은 위치에 두고 천으로 묶은 뒤 119에 구조 요청을 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KBS 뉴스 이준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아침뉴스타임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이준석 기자 alleylee@kbs.co.kr
이준석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