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정의화, 중대선거구제·권역별 비례대표제 제안
입력 2014.12.17 (07:24) 수정 2014.12.17 (08:29) 뉴스광장
<앵커 멘트>
정의화 국회의장이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인 선거구 획정 문제와 관련해 중대선거구제와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등을 제안했습니다.
한국방송기자클럽 토론회 소식, 황현택 기자입니다.
<리포트>
헌재의 결정으로 다음 총선 때 조정해야 하는 선거구는 모두 62곳.
정의화 국회의장은 정개특위를 통한 중대선거구제와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부터 논의하자고 제안했습니다.
<녹취> 정의화(국회의장) : "통합을 위해서는 연정, 소위 연합 정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요. 이제는 양당제보다는 다당제로 가는 것도 좀 검토해야 된다."
특히 선거구 획정위원회를 선관위 밑에 두지 말고 별도로 구성해서 결정 내용을 수정없이 본회의 찬반투표에 붙이자고 했습니다.
개헌에 대해선 대통령과 의회가 권력을 나누는 분권형 대통령제 도입을 제시했습니다.
<녹취> "(개헌이)하나의 블랙홀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논의는 하되, 그 결론이 나더라도 차차기(정권)부터 적용하도록 해야 된다."
정 의장은 의장 취임 이후 6개월여 동안 대통령과의 핫라인이 가동되지 못했다며 대통령의 소통 부족도 지적했습니다.
<녹취> "통화는 직접 한 번도 되지 않았습니다. 제가 두 번 시도했는데요. 좀 있으면 좋겠는데 아직 반응이 없습니다."
정 의장은 내년 신년사를 통해 북한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에게 남북 국회 회담을 제안할 것이고, 정계에서 물러나면 평양 등에 병원을 개설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정의화 국회의장이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인 선거구 획정 문제와 관련해 중대선거구제와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등을 제안했습니다.
한국방송기자클럽 토론회 소식, 황현택 기자입니다.
<리포트>
헌재의 결정으로 다음 총선 때 조정해야 하는 선거구는 모두 62곳.
정의화 국회의장은 정개특위를 통한 중대선거구제와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부터 논의하자고 제안했습니다.
<녹취> 정의화(국회의장) : "통합을 위해서는 연정, 소위 연합 정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요. 이제는 양당제보다는 다당제로 가는 것도 좀 검토해야 된다."
특히 선거구 획정위원회를 선관위 밑에 두지 말고 별도로 구성해서 결정 내용을 수정없이 본회의 찬반투표에 붙이자고 했습니다.
개헌에 대해선 대통령과 의회가 권력을 나누는 분권형 대통령제 도입을 제시했습니다.
<녹취> "(개헌이)하나의 블랙홀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논의는 하되, 그 결론이 나더라도 차차기(정권)부터 적용하도록 해야 된다."
정 의장은 의장 취임 이후 6개월여 동안 대통령과의 핫라인이 가동되지 못했다며 대통령의 소통 부족도 지적했습니다.
<녹취> "통화는 직접 한 번도 되지 않았습니다. 제가 두 번 시도했는데요. 좀 있으면 좋겠는데 아직 반응이 없습니다."
정 의장은 내년 신년사를 통해 북한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에게 남북 국회 회담을 제안할 것이고, 정계에서 물러나면 평양 등에 병원을 개설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 정의화, 중대선거구제·권역별 비례대표제 제안
-
- 입력 2014-12-17 07:26:22
- 수정2014-12-17 08:29:20

<앵커 멘트>
정의화 국회의장이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인 선거구 획정 문제와 관련해 중대선거구제와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등을 제안했습니다.
한국방송기자클럽 토론회 소식, 황현택 기자입니다.
<리포트>
헌재의 결정으로 다음 총선 때 조정해야 하는 선거구는 모두 62곳.
정의화 국회의장은 정개특위를 통한 중대선거구제와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부터 논의하자고 제안했습니다.
<녹취> 정의화(국회의장) : "통합을 위해서는 연정, 소위 연합 정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요. 이제는 양당제보다는 다당제로 가는 것도 좀 검토해야 된다."
특히 선거구 획정위원회를 선관위 밑에 두지 말고 별도로 구성해서 결정 내용을 수정없이 본회의 찬반투표에 붙이자고 했습니다.
개헌에 대해선 대통령과 의회가 권력을 나누는 분권형 대통령제 도입을 제시했습니다.
<녹취> "(개헌이)하나의 블랙홀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논의는 하되, 그 결론이 나더라도 차차기(정권)부터 적용하도록 해야 된다."
정 의장은 의장 취임 이후 6개월여 동안 대통령과의 핫라인이 가동되지 못했다며 대통령의 소통 부족도 지적했습니다.
<녹취> "통화는 직접 한 번도 되지 않았습니다. 제가 두 번 시도했는데요. 좀 있으면 좋겠는데 아직 반응이 없습니다."
정 의장은 내년 신년사를 통해 북한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에게 남북 국회 회담을 제안할 것이고, 정계에서 물러나면 평양 등에 병원을 개설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정의화 국회의장이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인 선거구 획정 문제와 관련해 중대선거구제와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등을 제안했습니다.
한국방송기자클럽 토론회 소식, 황현택 기자입니다.
<리포트>
헌재의 결정으로 다음 총선 때 조정해야 하는 선거구는 모두 62곳.
정의화 국회의장은 정개특위를 통한 중대선거구제와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부터 논의하자고 제안했습니다.
<녹취> 정의화(국회의장) : "통합을 위해서는 연정, 소위 연합 정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요. 이제는 양당제보다는 다당제로 가는 것도 좀 검토해야 된다."
특히 선거구 획정위원회를 선관위 밑에 두지 말고 별도로 구성해서 결정 내용을 수정없이 본회의 찬반투표에 붙이자고 했습니다.
개헌에 대해선 대통령과 의회가 권력을 나누는 분권형 대통령제 도입을 제시했습니다.
<녹취> "(개헌이)하나의 블랙홀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논의는 하되, 그 결론이 나더라도 차차기(정권)부터 적용하도록 해야 된다."
정 의장은 의장 취임 이후 6개월여 동안 대통령과의 핫라인이 가동되지 못했다며 대통령의 소통 부족도 지적했습니다.
<녹취> "통화는 직접 한 번도 되지 않았습니다. 제가 두 번 시도했는데요. 좀 있으면 좋겠는데 아직 반응이 없습니다."
정 의장은 내년 신년사를 통해 북한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에게 남북 국회 회담을 제안할 것이고, 정계에서 물러나면 평양 등에 병원을 개설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뉴스광장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황현택 기자 news1@kbs.co.kr
황현택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