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기존 10% 안팎 수수료 없는 ‘배달앱’ 등장
입력 2015.01.05 (12:23) 수정 2015.01.05 (13:01) 뉴스 12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스마트폰의 '배달앱'을 통해 치킨 같은 음식 주문하는 분들 많으시죠?
소비자들은 편리하지만, 음식점주들은 배달앱 업체들이 과도한 수수료를 뗀다며 불만이 많았는데요.
최근 수수료가 없는 배달앱이 등장해, 배달앱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리포트>
6개월 전 배달 음식점을 창업한 전 모 씨.
배달앱 업체 두 군데와 계약했는데, 주문이 들어올 때마다 10% 안팎의 수수료를 내야 합니다.
수수료가 부담스럽지만 배달앱을 쓸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합니다.
<인터뷰> 전OO(배달음식점주) : "처음에는 배달앱을 사용 안 하고 장사해보려고 노력했지만, 주문이 안 들어와요. 주문이 반 이하로 떨어집니다."
이렇게 '울며 겨자 먹기'로 배달앱을 쓴다는 상인들을 겨냥해 수수료 없는 배달앱이 등장했습니다.
배달음식업협회가 만든 이 앱은 수수료 대신 월 만5천 원의 회비를 받아 운영합니다.
현재 등록된 음식점은 6만8천여 곳.
홍보를 강화해 가맹점 수를 20만 개까지 늘릴 계획입니다.
<인터뷰> 황규성(배달음식업협회이사) : "전화 한통 연결해주는 조건으로 수수료를 10% 이상 책정해서 가져가고 있는데 그래서 이걸 무료로 할 수 있는 환경이 된다고 하면 얼마나 좋을까..."
수수료 없는 배달앱이 확산되면 기존 배달앱 업체들의 수수료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중소기업청은 수수료 없는 배달앱에 대해 정책자금 지원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인데, 시장을 개척해온 기존 업체들은 부당한 차별이 될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희용입니다.
스마트폰의 '배달앱'을 통해 치킨 같은 음식 주문하는 분들 많으시죠?
소비자들은 편리하지만, 음식점주들은 배달앱 업체들이 과도한 수수료를 뗀다며 불만이 많았는데요.
최근 수수료가 없는 배달앱이 등장해, 배달앱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리포트>
6개월 전 배달 음식점을 창업한 전 모 씨.
배달앱 업체 두 군데와 계약했는데, 주문이 들어올 때마다 10% 안팎의 수수료를 내야 합니다.
수수료가 부담스럽지만 배달앱을 쓸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합니다.
<인터뷰> 전OO(배달음식점주) : "처음에는 배달앱을 사용 안 하고 장사해보려고 노력했지만, 주문이 안 들어와요. 주문이 반 이하로 떨어집니다."
이렇게 '울며 겨자 먹기'로 배달앱을 쓴다는 상인들을 겨냥해 수수료 없는 배달앱이 등장했습니다.
배달음식업협회가 만든 이 앱은 수수료 대신 월 만5천 원의 회비를 받아 운영합니다.
현재 등록된 음식점은 6만8천여 곳.
홍보를 강화해 가맹점 수를 20만 개까지 늘릴 계획입니다.
<인터뷰> 황규성(배달음식업협회이사) : "전화 한통 연결해주는 조건으로 수수료를 10% 이상 책정해서 가져가고 있는데 그래서 이걸 무료로 할 수 있는 환경이 된다고 하면 얼마나 좋을까..."
수수료 없는 배달앱이 확산되면 기존 배달앱 업체들의 수수료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중소기업청은 수수료 없는 배달앱에 대해 정책자금 지원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인데, 시장을 개척해온 기존 업체들은 부당한 차별이 될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희용입니다.
- 기존 10% 안팎 수수료 없는 ‘배달앱’ 등장
-
- 입력 2015-01-05 12:24:25
- 수정2015-01-05 13:01:40

<앵커 멘트>
스마트폰의 '배달앱'을 통해 치킨 같은 음식 주문하는 분들 많으시죠?
소비자들은 편리하지만, 음식점주들은 배달앱 업체들이 과도한 수수료를 뗀다며 불만이 많았는데요.
최근 수수료가 없는 배달앱이 등장해, 배달앱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리포트>
6개월 전 배달 음식점을 창업한 전 모 씨.
배달앱 업체 두 군데와 계약했는데, 주문이 들어올 때마다 10% 안팎의 수수료를 내야 합니다.
수수료가 부담스럽지만 배달앱을 쓸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합니다.
<인터뷰> 전OO(배달음식점주) : "처음에는 배달앱을 사용 안 하고 장사해보려고 노력했지만, 주문이 안 들어와요. 주문이 반 이하로 떨어집니다."
이렇게 '울며 겨자 먹기'로 배달앱을 쓴다는 상인들을 겨냥해 수수료 없는 배달앱이 등장했습니다.
배달음식업협회가 만든 이 앱은 수수료 대신 월 만5천 원의 회비를 받아 운영합니다.
현재 등록된 음식점은 6만8천여 곳.
홍보를 강화해 가맹점 수를 20만 개까지 늘릴 계획입니다.
<인터뷰> 황규성(배달음식업협회이사) : "전화 한통 연결해주는 조건으로 수수료를 10% 이상 책정해서 가져가고 있는데 그래서 이걸 무료로 할 수 있는 환경이 된다고 하면 얼마나 좋을까..."
수수료 없는 배달앱이 확산되면 기존 배달앱 업체들의 수수료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중소기업청은 수수료 없는 배달앱에 대해 정책자금 지원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인데, 시장을 개척해온 기존 업체들은 부당한 차별이 될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희용입니다.
스마트폰의 '배달앱'을 통해 치킨 같은 음식 주문하는 분들 많으시죠?
소비자들은 편리하지만, 음식점주들은 배달앱 업체들이 과도한 수수료를 뗀다며 불만이 많았는데요.
최근 수수료가 없는 배달앱이 등장해, 배달앱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리포트>
6개월 전 배달 음식점을 창업한 전 모 씨.
배달앱 업체 두 군데와 계약했는데, 주문이 들어올 때마다 10% 안팎의 수수료를 내야 합니다.
수수료가 부담스럽지만 배달앱을 쓸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합니다.
<인터뷰> 전OO(배달음식점주) : "처음에는 배달앱을 사용 안 하고 장사해보려고 노력했지만, 주문이 안 들어와요. 주문이 반 이하로 떨어집니다."
이렇게 '울며 겨자 먹기'로 배달앱을 쓴다는 상인들을 겨냥해 수수료 없는 배달앱이 등장했습니다.
배달음식업협회가 만든 이 앱은 수수료 대신 월 만5천 원의 회비를 받아 운영합니다.
현재 등록된 음식점은 6만8천여 곳.
홍보를 강화해 가맹점 수를 20만 개까지 늘릴 계획입니다.
<인터뷰> 황규성(배달음식업협회이사) : "전화 한통 연결해주는 조건으로 수수료를 10% 이상 책정해서 가져가고 있는데 그래서 이걸 무료로 할 수 있는 환경이 된다고 하면 얼마나 좋을까..."
수수료 없는 배달앱이 확산되면 기존 배달앱 업체들의 수수료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중소기업청은 수수료 없는 배달앱에 대해 정책자금 지원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인데, 시장을 개척해온 기존 업체들은 부당한 차별이 될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희용입니다.
뉴스 12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희용 기자 emaninny@kbs.co.kr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