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100만 원 수수 처벌될 판…거액 정치자금 신고 누락
입력 2015.03.06 (07:36) 수정 2015.03.06 (08:15) 뉴스광장
<앵커 멘트>
선거에서 쓴 거액의 정치자금 출처가 제대로 공개되지 않는 문제, 그저께 전해드렸는데요.
한 광역단체장이 재산 신고에서도 수억 원의 정치자금을 빠뜨린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제기된 의혹이 사실인지,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 광역단체장이 선거에서 쓴 돈 9억 9천여만 원.
본인 돈 5천만 원을 제외하곤, 모두 빌렸다고 밝혔습니다.
시중은행에서 6억 원을, 큰 형과 작은 형, 그리고 배우자에게 나머지를, 모두 9억 2천만 원을 꿨다는 겁니다.
하지만, 선거 직후 공개된 당선자 재산 신고 내역엔, 이런 내용이 없습니다.
채무도 밝히게 돼 있는 공직자윤리법 위반입니다.
<녹취> ○○광역단체 대변인 : "선거 당시 어떤 자금 거래가 있었는지 전혀 모르던 상황에서. 작성해서 제출한 것 같더라고요. 실수일 뿐이라는 겁니다."
<녹취> 회계 담당자 : "통장하고, 대출 통장하고 그렇게 제가 갖고 있어요. 필요하시면 제가 가서 봐야죠."
하지만 차일피일 미루더니 끝내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녹취> ○○광역시 관계자 : "(회계담당자는 왜 입장을 바꾸신 거죠?) "아마 오늘 저기 카메라가 같이 온다니까..."
전문가들은 정치 자금 출처는 되도록 숨기는 게 낫다는 정치인들 인식부터 바꿔야 할 때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인터뷰> 조진만(덕성여대 교수) : "김영란 법이 적용되는 대상 기관들 간의 형평성 문제를 고려할 때 그 수준에 맞게 변화하는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공직자윤리위원회는 누락 의혹이 제기된 재산이 거액인 만큼 해당 단체장이 재산 신고를 제대로 했는지, 조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선거에서 쓴 거액의 정치자금 출처가 제대로 공개되지 않는 문제, 그저께 전해드렸는데요.
한 광역단체장이 재산 신고에서도 수억 원의 정치자금을 빠뜨린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제기된 의혹이 사실인지,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 광역단체장이 선거에서 쓴 돈 9억 9천여만 원.
본인 돈 5천만 원을 제외하곤, 모두 빌렸다고 밝혔습니다.
시중은행에서 6억 원을, 큰 형과 작은 형, 그리고 배우자에게 나머지를, 모두 9억 2천만 원을 꿨다는 겁니다.
하지만, 선거 직후 공개된 당선자 재산 신고 내역엔, 이런 내용이 없습니다.
채무도 밝히게 돼 있는 공직자윤리법 위반입니다.
<녹취> ○○광역단체 대변인 : "선거 당시 어떤 자금 거래가 있었는지 전혀 모르던 상황에서. 작성해서 제출한 것 같더라고요. 실수일 뿐이라는 겁니다."
<녹취> 회계 담당자 : "통장하고, 대출 통장하고 그렇게 제가 갖고 있어요. 필요하시면 제가 가서 봐야죠."
하지만 차일피일 미루더니 끝내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녹취> ○○광역시 관계자 : "(회계담당자는 왜 입장을 바꾸신 거죠?) "아마 오늘 저기 카메라가 같이 온다니까..."
전문가들은 정치 자금 출처는 되도록 숨기는 게 낫다는 정치인들 인식부터 바꿔야 할 때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인터뷰> 조진만(덕성여대 교수) : "김영란 법이 적용되는 대상 기관들 간의 형평성 문제를 고려할 때 그 수준에 맞게 변화하는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공직자윤리위원회는 누락 의혹이 제기된 재산이 거액인 만큼 해당 단체장이 재산 신고를 제대로 했는지, 조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 100만 원 수수 처벌될 판…거액 정치자금 신고 누락
-
- 입력 2015-03-06 07:48:07
- 수정2015-03-06 08:15:41

<앵커 멘트>
선거에서 쓴 거액의 정치자금 출처가 제대로 공개되지 않는 문제, 그저께 전해드렸는데요.
한 광역단체장이 재산 신고에서도 수억 원의 정치자금을 빠뜨린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제기된 의혹이 사실인지,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 광역단체장이 선거에서 쓴 돈 9억 9천여만 원.
본인 돈 5천만 원을 제외하곤, 모두 빌렸다고 밝혔습니다.
시중은행에서 6억 원을, 큰 형과 작은 형, 그리고 배우자에게 나머지를, 모두 9억 2천만 원을 꿨다는 겁니다.
하지만, 선거 직후 공개된 당선자 재산 신고 내역엔, 이런 내용이 없습니다.
채무도 밝히게 돼 있는 공직자윤리법 위반입니다.
<녹취> ○○광역단체 대변인 : "선거 당시 어떤 자금 거래가 있었는지 전혀 모르던 상황에서. 작성해서 제출한 것 같더라고요. 실수일 뿐이라는 겁니다."
<녹취> 회계 담당자 : "통장하고, 대출 통장하고 그렇게 제가 갖고 있어요. 필요하시면 제가 가서 봐야죠."
하지만 차일피일 미루더니 끝내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녹취> ○○광역시 관계자 : "(회계담당자는 왜 입장을 바꾸신 거죠?) "아마 오늘 저기 카메라가 같이 온다니까..."
전문가들은 정치 자금 출처는 되도록 숨기는 게 낫다는 정치인들 인식부터 바꿔야 할 때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인터뷰> 조진만(덕성여대 교수) : "김영란 법이 적용되는 대상 기관들 간의 형평성 문제를 고려할 때 그 수준에 맞게 변화하는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공직자윤리위원회는 누락 의혹이 제기된 재산이 거액인 만큼 해당 단체장이 재산 신고를 제대로 했는지, 조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선거에서 쓴 거액의 정치자금 출처가 제대로 공개되지 않는 문제, 그저께 전해드렸는데요.
한 광역단체장이 재산 신고에서도 수억 원의 정치자금을 빠뜨린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제기된 의혹이 사실인지,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우한울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 광역단체장이 선거에서 쓴 돈 9억 9천여만 원.
본인 돈 5천만 원을 제외하곤, 모두 빌렸다고 밝혔습니다.
시중은행에서 6억 원을, 큰 형과 작은 형, 그리고 배우자에게 나머지를, 모두 9억 2천만 원을 꿨다는 겁니다.
하지만, 선거 직후 공개된 당선자 재산 신고 내역엔, 이런 내용이 없습니다.
채무도 밝히게 돼 있는 공직자윤리법 위반입니다.
<녹취> ○○광역단체 대변인 : "선거 당시 어떤 자금 거래가 있었는지 전혀 모르던 상황에서. 작성해서 제출한 것 같더라고요. 실수일 뿐이라는 겁니다."
<녹취> 회계 담당자 : "통장하고, 대출 통장하고 그렇게 제가 갖고 있어요. 필요하시면 제가 가서 봐야죠."
하지만 차일피일 미루더니 끝내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녹취> ○○광역시 관계자 : "(회계담당자는 왜 입장을 바꾸신 거죠?) "아마 오늘 저기 카메라가 같이 온다니까..."
전문가들은 정치 자금 출처는 되도록 숨기는 게 낫다는 정치인들 인식부터 바꿔야 할 때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인터뷰> 조진만(덕성여대 교수) : "김영란 법이 적용되는 대상 기관들 간의 형평성 문제를 고려할 때 그 수준에 맞게 변화하는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공직자윤리위원회는 누락 의혹이 제기된 재산이 거액인 만큼 해당 단체장이 재산 신고를 제대로 했는지, 조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우한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뉴스광장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우한울 기자 whw@kbs.co.kr
우한울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