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다중 집회엔 테러 대비 ‘검색’ 강화해야
입력 2015.03.08 (07:02) 수정 2015.03.08 (08:00) 일요뉴스타임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마크 리퍼트 대사가 피습될 당시, 행사장에는 검문 검색이라는 게 사실상 없었는데요,

주요 인물이 참석하거나 규모가 큰 행사장에 대해선 테러에 대비한 보안 조치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홍성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피습 당일,

리퍼트 주한 미 대사가 참석한 행사장에는 흉기 등 위험 물건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금속 탐지기가 없었고,

별도의 검문 검색 인력도 없었습니다.

피습 사건 다음날,

서울의 한 호텔에서 열린 컨퍼런스에 외국 대사와 고위 관료 등이 참석했지만 역시 검색대는 설치되지 않았습니다.

<녹취> 정부 관계자 : "총리님부터는 경찰 협조를 얻어서 검문 검색을 다 하거든요. 장관님들이 참석하는 행사에는 그런 게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시민단체나 기업들이 주최하는 민간 행사장도 참석자들의 불편을 감안해 검색대는 설치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형 테러를 많이 경험한 미국과 영국 등에선 스포츠 경기장 등 다중이 모이는 곳에서의 검문검색이 생활화 돼 있습니다.

<녹취> 김정용(풋볼리스트 기자) : "관중 난동의 사례가 역사적으로 계속 있어 왔고 안전이 최우선이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을 감수하고..."

이제 국내에서도 인식 전환을 해야 할 시점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녹취> 박준석 교수(용인대 경호학과) : "경호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낭비라고 생각하면 안 되고, 일정 규모 이상의 행사에서는 테러 대비 안전 교육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전문가들은 행사 주최 측이 경호 관련 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할 때는 경찰에 적극적으로 경비 지원을 요청해야 한다고 권합니다.

KBS뉴스, 홍성희입니다.
  • 다중 집회엔 테러 대비 ‘검색’ 강화해야
    • 입력 2015-03-08 07:14:37
    • 수정2015-03-08 08:00:36
    일요뉴스타임
<앵커 멘트>

마크 리퍼트 대사가 피습될 당시, 행사장에는 검문 검색이라는 게 사실상 없었는데요,

주요 인물이 참석하거나 규모가 큰 행사장에 대해선 테러에 대비한 보안 조치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홍성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피습 당일,

리퍼트 주한 미 대사가 참석한 행사장에는 흉기 등 위험 물건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금속 탐지기가 없었고,

별도의 검문 검색 인력도 없었습니다.

피습 사건 다음날,

서울의 한 호텔에서 열린 컨퍼런스에 외국 대사와 고위 관료 등이 참석했지만 역시 검색대는 설치되지 않았습니다.

<녹취> 정부 관계자 : "총리님부터는 경찰 협조를 얻어서 검문 검색을 다 하거든요. 장관님들이 참석하는 행사에는 그런 게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시민단체나 기업들이 주최하는 민간 행사장도 참석자들의 불편을 감안해 검색대는 설치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형 테러를 많이 경험한 미국과 영국 등에선 스포츠 경기장 등 다중이 모이는 곳에서의 검문검색이 생활화 돼 있습니다.

<녹취> 김정용(풋볼리스트 기자) : "관중 난동의 사례가 역사적으로 계속 있어 왔고 안전이 최우선이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을 감수하고..."

이제 국내에서도 인식 전환을 해야 할 시점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녹취> 박준석 교수(용인대 경호학과) : "경호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낭비라고 생각하면 안 되고, 일정 규모 이상의 행사에서는 테러 대비 안전 교육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전문가들은 행사 주최 측이 경호 관련 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할 때는 경찰에 적극적으로 경비 지원을 요청해야 한다고 권합니다.

KBS뉴스, 홍성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