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중국 성장률·미 금리 인상 시기 변수
입력 2015.03.20 (23:05) 수정 2015.03.20 (23:50) 뉴스라인
<앵커 멘트>
정부가 이렇게 가능한 수단을 총 동원하고 있는데 과연 경기가 움직여 줄까요?
변수가 있습니다.
계속해서 임승창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우리 수출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중국, 올들어 대중국 수출은 0.9% 감소했습니다.
지난해보다 감소폭이 더 커진겁니다.
지난해 7.4%였던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올해는 7% 밑으로 떨어질 것이란 예상은 수출 전망을 더 어둡게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성장률이 1%포인트 하락하면 우리 대중국 수출은 1.7%포인트 성장률은 0.4%포인트 줄어듭니다.
여기에 중국이 산업정책까지 바꾸고 있는 것도 큰 변숩니다.
<인터뷰> 이준협(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 : "중국이 고부가가치 산업구조로 전환을 하면 우리나라의 수출품의 대부분을 스스로 만들면서 대체해 버립니다. 그렇게 되면 이제는 더 이상 대중국 수출을 가지고 먹고 살기에는 힘겨운 상황이 돼버렸습니다."
또 다른 변수는 미국의 금리 인상, 9월 이후가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시기가 앞당겨지거나 인상 속도가 빠르면 국내 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인터뷰> 신민영(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 : "(미국 금리인상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전이 된다고 할 경우에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외자가 유출되면서 그것이 국제금융시장을 불안정하게 하는 그러면서 세계경제의 회복세에 부담이 될 그런 가능성이 있다고 봐야되겠죠."
경기활성화를 위해서는 대외변수에 철저히 대비하면서 소비와 투자를 살리는 동시에 구조개혁까지 해야하는 쉽지 않은 과제를 남겨두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정부가 이렇게 가능한 수단을 총 동원하고 있는데 과연 경기가 움직여 줄까요?
변수가 있습니다.
계속해서 임승창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우리 수출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중국, 올들어 대중국 수출은 0.9% 감소했습니다.
지난해보다 감소폭이 더 커진겁니다.
지난해 7.4%였던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올해는 7% 밑으로 떨어질 것이란 예상은 수출 전망을 더 어둡게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성장률이 1%포인트 하락하면 우리 대중국 수출은 1.7%포인트 성장률은 0.4%포인트 줄어듭니다.
여기에 중국이 산업정책까지 바꾸고 있는 것도 큰 변숩니다.
<인터뷰> 이준협(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 : "중국이 고부가가치 산업구조로 전환을 하면 우리나라의 수출품의 대부분을 스스로 만들면서 대체해 버립니다. 그렇게 되면 이제는 더 이상 대중국 수출을 가지고 먹고 살기에는 힘겨운 상황이 돼버렸습니다."
또 다른 변수는 미국의 금리 인상, 9월 이후가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시기가 앞당겨지거나 인상 속도가 빠르면 국내 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인터뷰> 신민영(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 : "(미국 금리인상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전이 된다고 할 경우에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외자가 유출되면서 그것이 국제금융시장을 불안정하게 하는 그러면서 세계경제의 회복세에 부담이 될 그런 가능성이 있다고 봐야되겠죠."
경기활성화를 위해서는 대외변수에 철저히 대비하면서 소비와 투자를 살리는 동시에 구조개혁까지 해야하는 쉽지 않은 과제를 남겨두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 중국 성장률·미 금리 인상 시기 변수
-
- 입력 2015-03-20 23:06:29
- 수정2015-03-20 23:50:32

<앵커 멘트>
정부가 이렇게 가능한 수단을 총 동원하고 있는데 과연 경기가 움직여 줄까요?
변수가 있습니다.
계속해서 임승창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우리 수출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중국, 올들어 대중국 수출은 0.9% 감소했습니다.
지난해보다 감소폭이 더 커진겁니다.
지난해 7.4%였던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올해는 7% 밑으로 떨어질 것이란 예상은 수출 전망을 더 어둡게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성장률이 1%포인트 하락하면 우리 대중국 수출은 1.7%포인트 성장률은 0.4%포인트 줄어듭니다.
여기에 중국이 산업정책까지 바꾸고 있는 것도 큰 변숩니다.
<인터뷰> 이준협(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 : "중국이 고부가가치 산업구조로 전환을 하면 우리나라의 수출품의 대부분을 스스로 만들면서 대체해 버립니다. 그렇게 되면 이제는 더 이상 대중국 수출을 가지고 먹고 살기에는 힘겨운 상황이 돼버렸습니다."
또 다른 변수는 미국의 금리 인상, 9월 이후가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시기가 앞당겨지거나 인상 속도가 빠르면 국내 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인터뷰> 신민영(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 : "(미국 금리인상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전이 된다고 할 경우에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외자가 유출되면서 그것이 국제금융시장을 불안정하게 하는 그러면서 세계경제의 회복세에 부담이 될 그런 가능성이 있다고 봐야되겠죠."
경기활성화를 위해서는 대외변수에 철저히 대비하면서 소비와 투자를 살리는 동시에 구조개혁까지 해야하는 쉽지 않은 과제를 남겨두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정부가 이렇게 가능한 수단을 총 동원하고 있는데 과연 경기가 움직여 줄까요?
변수가 있습니다.
계속해서 임승창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우리 수출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중국, 올들어 대중국 수출은 0.9% 감소했습니다.
지난해보다 감소폭이 더 커진겁니다.
지난해 7.4%였던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올해는 7% 밑으로 떨어질 것이란 예상은 수출 전망을 더 어둡게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성장률이 1%포인트 하락하면 우리 대중국 수출은 1.7%포인트 성장률은 0.4%포인트 줄어듭니다.
여기에 중국이 산업정책까지 바꾸고 있는 것도 큰 변숩니다.
<인터뷰> 이준협(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 : "중국이 고부가가치 산업구조로 전환을 하면 우리나라의 수출품의 대부분을 스스로 만들면서 대체해 버립니다. 그렇게 되면 이제는 더 이상 대중국 수출을 가지고 먹고 살기에는 힘겨운 상황이 돼버렸습니다."
또 다른 변수는 미국의 금리 인상, 9월 이후가 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시기가 앞당겨지거나 인상 속도가 빠르면 국내 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인터뷰> 신민영(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 : "(미국 금리인상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전이 된다고 할 경우에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외자가 유출되면서 그것이 국제금융시장을 불안정하게 하는 그러면서 세계경제의 회복세에 부담이 될 그런 가능성이 있다고 봐야되겠죠."
경기활성화를 위해서는 대외변수에 철저히 대비하면서 소비와 투자를 살리는 동시에 구조개혁까지 해야하는 쉽지 않은 과제를 남겨두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라인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임승창 기자 sclim@kbs.co.kr
임승창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