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찾은 ‘종이 판다’…공공미술의 세계

입력 2015.05.31 (21:26) 수정 2015.05.31 (21: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판다가 서울시내 곳곳에 깜짝 등장하고 있습니다.

갑자기 나타난 이유가 있는데요.

옥유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성곽과 빌딩이 어우러진 서울의 명소에 판다가 깜짝 등장했습니다.

하나 둘 모여들기 시작하더니 공원을 차지합니다.

1,864마리.

남아 있는 야생 판다 수 만큼 종이로 만든 수공예 작품입니다.

<인터뷰> 이경신(서울 동작구) : "되게 귀엽고 도심에 또 이런 귀여운 게 있으니까 이미지도 더 밝아지고 좋은 것 같아요."

멸종 위기에 처한 판다를 통해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모색하는 전시 작품입니다.

세계자연기금과 프랑스 공예 작가가 2008년 시작해 전세계 100여 개 도시를 돌아 한국을 찾았습니다.

미술관에서 소수만이 즐기던 미술을 열린 공간으로 끌어낸 '공공 미술'입니다.

<인터뷰> 파울로 그랑죵(공예 작가) : "전시에는 사람이 필요해요. 누가 필요하겠어요? 보러 오는 사람이 없으면 프로젝트를 완성할 수 없어요."

1960년대에 시작된 공공 미술은 이제 단순 조형물 설치를 넘어 열린 공간에서 사람들과 소통하며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 내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세미(서울 노원구) : "일단 판다 보면 사람들이 귀엽다고 생각하는데 멸종 위기인 건 모르잖아요. 이런거 보면서 그런 인식을 더욱 심어주는 계기가 되는 것 같아요."

판다들은 7월 말까지 전국 각지를 돌며 자연 보호의 필요성을 알릴 예정입니다.

KBS 뉴스 옥유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찾은 ‘종이 판다’…공공미술의 세계
    • 입력 2015-05-31 21:28:29
    • 수정2015-05-31 21:58:18
    뉴스 9
<앵커 멘트>

판다가 서울시내 곳곳에 깜짝 등장하고 있습니다.

갑자기 나타난 이유가 있는데요.

옥유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성곽과 빌딩이 어우러진 서울의 명소에 판다가 깜짝 등장했습니다.

하나 둘 모여들기 시작하더니 공원을 차지합니다.

1,864마리.

남아 있는 야생 판다 수 만큼 종이로 만든 수공예 작품입니다.

<인터뷰> 이경신(서울 동작구) : "되게 귀엽고 도심에 또 이런 귀여운 게 있으니까 이미지도 더 밝아지고 좋은 것 같아요."

멸종 위기에 처한 판다를 통해 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모색하는 전시 작품입니다.

세계자연기금과 프랑스 공예 작가가 2008년 시작해 전세계 100여 개 도시를 돌아 한국을 찾았습니다.

미술관에서 소수만이 즐기던 미술을 열린 공간으로 끌어낸 '공공 미술'입니다.

<인터뷰> 파울로 그랑죵(공예 작가) : "전시에는 사람이 필요해요. 누가 필요하겠어요? 보러 오는 사람이 없으면 프로젝트를 완성할 수 없어요."

1960년대에 시작된 공공 미술은 이제 단순 조형물 설치를 넘어 열린 공간에서 사람들과 소통하며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 내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세미(서울 노원구) : "일단 판다 보면 사람들이 귀엽다고 생각하는데 멸종 위기인 건 모르잖아요. 이런거 보면서 그런 인식을 더욱 심어주는 계기가 되는 것 같아요."

판다들은 7월 말까지 전국 각지를 돌며 자연 보호의 필요성을 알릴 예정입니다.

KBS 뉴스 옥유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