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은 날의 홍수’ 마이애미, 해수면 상승으로 긴장
입력 2015.06.20 (21:22)
수정 2015.06.20 (22: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미국 마이애미비치는 세계적 휴양지로 참 유명하죠.
그런데, 이른바 맑은 날의 홍수로 시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무슨 이유일까요?
박에스더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연간 천 2백만 명이 찾는 마이애미비치.
운하 주거 지역엔 고급 주택이 즐비합니다.
그런데, 바닷물이 턱밑까지 올라와 있습니다.
도로 경계석은 부서지고, 운하벽은 녹이 슬었습니다.
<인터뷰> 존 리어(주민) : "가을 만조 때면 수시로 홍수가 난다."
홍수 때의 모습, 집도 상점도 차도 다 잠겼습니다.
하지만, 허리케인도 폭우도 없었습니다.
이른바 맑은 날의 홍숩니다.
극지방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 상승이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커트만(교수/로젠탈 해양대)
마이애미비치 시 당국은 지난해 말부터 해수면 상승에 대처하기 위한 프로젝트에 돌입했습니다.
하수구로 역류하는 바닷물을 퍼내기 위해 80개의 펌프를 만들고, 운하벽도 1.5m 높일 계획입니다.
아예 도로를 높이는 시범 사업도 진행 중입니다.
문제는 이 대책들조차 임시방편이라는 겁니다.
길어야 30년~ 50년을 버틸 수 있을 정도입니다.
저 바닷가 도시를 완전히 삼키는 걸 언제까지 막을 수 있을지, 해수면 상승은 현재의 위협입니다.
마이애미에서 KBS 뉴스 박에스더입니다.
미국 마이애미비치는 세계적 휴양지로 참 유명하죠.
그런데, 이른바 맑은 날의 홍수로 시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무슨 이유일까요?
박에스더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연간 천 2백만 명이 찾는 마이애미비치.
운하 주거 지역엔 고급 주택이 즐비합니다.
그런데, 바닷물이 턱밑까지 올라와 있습니다.
도로 경계석은 부서지고, 운하벽은 녹이 슬었습니다.
<인터뷰> 존 리어(주민) : "가을 만조 때면 수시로 홍수가 난다."
홍수 때의 모습, 집도 상점도 차도 다 잠겼습니다.
하지만, 허리케인도 폭우도 없었습니다.
이른바 맑은 날의 홍숩니다.
극지방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 상승이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커트만(교수/로젠탈 해양대)
마이애미비치 시 당국은 지난해 말부터 해수면 상승에 대처하기 위한 프로젝트에 돌입했습니다.
하수구로 역류하는 바닷물을 퍼내기 위해 80개의 펌프를 만들고, 운하벽도 1.5m 높일 계획입니다.
아예 도로를 높이는 시범 사업도 진행 중입니다.
문제는 이 대책들조차 임시방편이라는 겁니다.
길어야 30년~ 50년을 버틸 수 있을 정도입니다.
저 바닷가 도시를 완전히 삼키는 걸 언제까지 막을 수 있을지, 해수면 상승은 현재의 위협입니다.
마이애미에서 KBS 뉴스 박에스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맑은 날의 홍수’ 마이애미, 해수면 상승으로 긴장
-
- 입력 2015-06-20 21:24:27
- 수정2015-06-20 22:00:28

<앵커 멘트>
미국 마이애미비치는 세계적 휴양지로 참 유명하죠.
그런데, 이른바 맑은 날의 홍수로 시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무슨 이유일까요?
박에스더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연간 천 2백만 명이 찾는 마이애미비치.
운하 주거 지역엔 고급 주택이 즐비합니다.
그런데, 바닷물이 턱밑까지 올라와 있습니다.
도로 경계석은 부서지고, 운하벽은 녹이 슬었습니다.
<인터뷰> 존 리어(주민) : "가을 만조 때면 수시로 홍수가 난다."
홍수 때의 모습, 집도 상점도 차도 다 잠겼습니다.
하지만, 허리케인도 폭우도 없었습니다.
이른바 맑은 날의 홍숩니다.
극지방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 상승이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커트만(교수/로젠탈 해양대)
마이애미비치 시 당국은 지난해 말부터 해수면 상승에 대처하기 위한 프로젝트에 돌입했습니다.
하수구로 역류하는 바닷물을 퍼내기 위해 80개의 펌프를 만들고, 운하벽도 1.5m 높일 계획입니다.
아예 도로를 높이는 시범 사업도 진행 중입니다.
문제는 이 대책들조차 임시방편이라는 겁니다.
길어야 30년~ 50년을 버틸 수 있을 정도입니다.
저 바닷가 도시를 완전히 삼키는 걸 언제까지 막을 수 있을지, 해수면 상승은 현재의 위협입니다.
마이애미에서 KBS 뉴스 박에스더입니다.
미국 마이애미비치는 세계적 휴양지로 참 유명하죠.
그런데, 이른바 맑은 날의 홍수로 시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무슨 이유일까요?
박에스더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연간 천 2백만 명이 찾는 마이애미비치.
운하 주거 지역엔 고급 주택이 즐비합니다.
그런데, 바닷물이 턱밑까지 올라와 있습니다.
도로 경계석은 부서지고, 운하벽은 녹이 슬었습니다.
<인터뷰> 존 리어(주민) : "가을 만조 때면 수시로 홍수가 난다."
홍수 때의 모습, 집도 상점도 차도 다 잠겼습니다.
하지만, 허리케인도 폭우도 없었습니다.
이른바 맑은 날의 홍숩니다.
극지방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 상승이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커트만(교수/로젠탈 해양대)
마이애미비치 시 당국은 지난해 말부터 해수면 상승에 대처하기 위한 프로젝트에 돌입했습니다.
하수구로 역류하는 바닷물을 퍼내기 위해 80개의 펌프를 만들고, 운하벽도 1.5m 높일 계획입니다.
아예 도로를 높이는 시범 사업도 진행 중입니다.
문제는 이 대책들조차 임시방편이라는 겁니다.
길어야 30년~ 50년을 버틸 수 있을 정도입니다.
저 바닷가 도시를 완전히 삼키는 걸 언제까지 막을 수 있을지, 해수면 상승은 현재의 위협입니다.
마이애미에서 KBS 뉴스 박에스더입니다.
-
-
박에스더 기자 stellar@kbs.co.kr
박에스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