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14,000km 대장정 시작…독립의 뜻 기리며
입력 2015.07.15 (21:38) 수정 2015.07.15 (21:56) 뉴스9(경인)
<앵커 멘트>
유라시아 대륙을 횡단하며, 광복 70주년과 통일의 염원을 되새기는 '유라시아 친선 특급' 열차가 대장정에 돌입했습니다.
독립 운동가의 후손들까지 우리 독립의 현장을 함께 돌아보는 걸로 첫걸음을 뗐습니다.
블라디보스톡에서 이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러시아 연해주 수이푼 강기슭.
독립운동가 이상설 선생의 비 앞에서 위령제가 열렸습니다.
1907년, 이상설 선생과 함께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서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린 이준 열사의 후손...
한참 절을 올리고도 쉽게 일어나지 못했습니다.
<인터뷰> 조근송(이준 열사 외증손자) : "이 수이푼 강에서 유해를 뿌리셨으니까 제주라도 있었으면 술을 한 잔 놓고 절을 하고 싶었어요."
'유라시아 친선특급' 참가단은 연해주 독립운동의 대부 최재형 선생의 고택을 돌아보며 첫 여정을 시작했습니다.
<인터뷰> 이준승(故 손기정 선수 외손자) : "통일 돼 있으면 우리 선조들이 우리나라 땅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셨던 이 길을 자주 올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아시아와 유럽을 거치는 본격적인 대륙 횡단은 오늘 밤 시작됩니다.
이 특별 전세열차로 앞으로 18일간 이곳 블라디보스토크부터 독일 베를린까지 지구 둘레 3분의 1거리인 14,400km를 달리게 됩니다.
일부는 베이징에서 출발해 나흘 뒤 시베리아 횡단철도에 합류합니다.
<인터뷰> 김창범(단장) : "유럽과 아시아를 아우르는 하나의 공동체를 만들어 내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 내기 위한 대장정입니다."
한반도와 대륙연결의 가능성을 확인하겠다는 <유라시아 친선 특급>.
하지만, 핵심인 남북 철도 연결은 성사되지 못해 아쉬움도 남겼습니다.
블라디보스톡에서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유라시아 대륙을 횡단하며, 광복 70주년과 통일의 염원을 되새기는 '유라시아 친선 특급' 열차가 대장정에 돌입했습니다.
독립 운동가의 후손들까지 우리 독립의 현장을 함께 돌아보는 걸로 첫걸음을 뗐습니다.
블라디보스톡에서 이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러시아 연해주 수이푼 강기슭.
독립운동가 이상설 선생의 비 앞에서 위령제가 열렸습니다.
1907년, 이상설 선생과 함께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서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린 이준 열사의 후손...
한참 절을 올리고도 쉽게 일어나지 못했습니다.
<인터뷰> 조근송(이준 열사 외증손자) : "이 수이푼 강에서 유해를 뿌리셨으니까 제주라도 있었으면 술을 한 잔 놓고 절을 하고 싶었어요."
'유라시아 친선특급' 참가단은 연해주 독립운동의 대부 최재형 선생의 고택을 돌아보며 첫 여정을 시작했습니다.
<인터뷰> 이준승(故 손기정 선수 외손자) : "통일 돼 있으면 우리 선조들이 우리나라 땅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셨던 이 길을 자주 올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아시아와 유럽을 거치는 본격적인 대륙 횡단은 오늘 밤 시작됩니다.
이 특별 전세열차로 앞으로 18일간 이곳 블라디보스토크부터 독일 베를린까지 지구 둘레 3분의 1거리인 14,400km를 달리게 됩니다.
일부는 베이징에서 출발해 나흘 뒤 시베리아 횡단철도에 합류합니다.
<인터뷰> 김창범(단장) : "유럽과 아시아를 아우르는 하나의 공동체를 만들어 내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 내기 위한 대장정입니다."
한반도와 대륙연결의 가능성을 확인하겠다는 <유라시아 친선 특급>.
하지만, 핵심인 남북 철도 연결은 성사되지 못해 아쉬움도 남겼습니다.
블라디보스톡에서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 14,000km 대장정 시작…독립의 뜻 기리며
-
- 입력 2015-07-15 21:48:54
- 수정2015-07-15 21:56:13

<앵커 멘트>
유라시아 대륙을 횡단하며, 광복 70주년과 통일의 염원을 되새기는 '유라시아 친선 특급' 열차가 대장정에 돌입했습니다.
독립 운동가의 후손들까지 우리 독립의 현장을 함께 돌아보는 걸로 첫걸음을 뗐습니다.
블라디보스톡에서 이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러시아 연해주 수이푼 강기슭.
독립운동가 이상설 선생의 비 앞에서 위령제가 열렸습니다.
1907년, 이상설 선생과 함께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서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린 이준 열사의 후손...
한참 절을 올리고도 쉽게 일어나지 못했습니다.
<인터뷰> 조근송(이준 열사 외증손자) : "이 수이푼 강에서 유해를 뿌리셨으니까 제주라도 있었으면 술을 한 잔 놓고 절을 하고 싶었어요."
'유라시아 친선특급' 참가단은 연해주 독립운동의 대부 최재형 선생의 고택을 돌아보며 첫 여정을 시작했습니다.
<인터뷰> 이준승(故 손기정 선수 외손자) : "통일 돼 있으면 우리 선조들이 우리나라 땅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셨던 이 길을 자주 올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아시아와 유럽을 거치는 본격적인 대륙 횡단은 오늘 밤 시작됩니다.
이 특별 전세열차로 앞으로 18일간 이곳 블라디보스토크부터 독일 베를린까지 지구 둘레 3분의 1거리인 14,400km를 달리게 됩니다.
일부는 베이징에서 출발해 나흘 뒤 시베리아 횡단철도에 합류합니다.
<인터뷰> 김창범(단장) : "유럽과 아시아를 아우르는 하나의 공동체를 만들어 내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 내기 위한 대장정입니다."
한반도와 대륙연결의 가능성을 확인하겠다는 <유라시아 친선 특급>.
하지만, 핵심인 남북 철도 연결은 성사되지 못해 아쉬움도 남겼습니다.
블라디보스톡에서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유라시아 대륙을 횡단하며, 광복 70주년과 통일의 염원을 되새기는 '유라시아 친선 특급' 열차가 대장정에 돌입했습니다.
독립 운동가의 후손들까지 우리 독립의 현장을 함께 돌아보는 걸로 첫걸음을 뗐습니다.
블라디보스톡에서 이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러시아 연해주 수이푼 강기슭.
독립운동가 이상설 선생의 비 앞에서 위령제가 열렸습니다.
1907년, 이상설 선생과 함께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서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린 이준 열사의 후손...
한참 절을 올리고도 쉽게 일어나지 못했습니다.
<인터뷰> 조근송(이준 열사 외증손자) : "이 수이푼 강에서 유해를 뿌리셨으니까 제주라도 있었으면 술을 한 잔 놓고 절을 하고 싶었어요."
'유라시아 친선특급' 참가단은 연해주 독립운동의 대부 최재형 선생의 고택을 돌아보며 첫 여정을 시작했습니다.
<인터뷰> 이준승(故 손기정 선수 외손자) : "통일 돼 있으면 우리 선조들이 우리나라 땅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셨던 이 길을 자주 올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아시아와 유럽을 거치는 본격적인 대륙 횡단은 오늘 밤 시작됩니다.
이 특별 전세열차로 앞으로 18일간 이곳 블라디보스토크부터 독일 베를린까지 지구 둘레 3분의 1거리인 14,400km를 달리게 됩니다.
일부는 베이징에서 출발해 나흘 뒤 시베리아 횡단철도에 합류합니다.
<인터뷰> 김창범(단장) : "유럽과 아시아를 아우르는 하나의 공동체를 만들어 내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 내기 위한 대장정입니다."
한반도와 대륙연결의 가능성을 확인하겠다는 <유라시아 친선 특급>.
하지만, 핵심인 남북 철도 연결은 성사되지 못해 아쉬움도 남겼습니다.
블라디보스톡에서 KBS 뉴스 이정민입니다.
뉴스9(경인)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이정민 기자 mani@kbs.co.kr
이정민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