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궁 스테이’ 추진…문화재 훼손 논란
입력 2015.07.16 (19:12)
수정 2015.07.16 (19: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창덕궁 일부 건물을 외국인을 위한 고급 숙박시설로 개조하는 방안이 추진돼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비싼 숙박료는 둘째치고 소중한 문화재를 훼손할 우려가 크다는 지적입니다.
김 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조선 헌종 때인 1847년부터 1848년까지 지어진 창덕궁 낙선재 권역입니다.
보물 1764호로 지정된 낙선재를 중심으로 목조 건물 9채가 자리 잡은 이곳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인 영친왕의 부인 이방자 여사와 고종황제의 외동딸인 덕혜옹주가 살았던 곳입니다.
문화재청이 이 가운데 석복헌과 수강재 두 전각을 명품 숙박시설로 꾸며 외국인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내부를 숙박시설로 개조할 경우 전기와 조명, 냉난방 기기 등 각종 편의시설을 설치해야 해 문화재 훼손이 불가피하다는 겁니다.
<인터뷰> 황평우(은평역사한옥박물관장) : "원형을 잘 유지해야 하는 되는 경운데, 이거를 내부를 개조하겠다, 또 궁 내부를 개조하겠다, 이거는 문화재청 본연의 업무에 맞지 않는 정책이죠."
화재 등 각종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큽니다.
논란이 커지자 문화재청은 아직 검토 단계일 뿐 구체적으로 결정된 건 없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나선화(문화재청장) : "지금은 단순히 기획단계라는 것을 말씀드리고 이 기회를 통해서 여러분들이 우려하시는 많은 말씀 주신 거를 저희는 아주 겸허히 받아들이겠습니다."
보존이냐, 활용이냐,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문화재청이 과연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창덕궁 일부 건물을 외국인을 위한 고급 숙박시설로 개조하는 방안이 추진돼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비싼 숙박료는 둘째치고 소중한 문화재를 훼손할 우려가 크다는 지적입니다.
김 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조선 헌종 때인 1847년부터 1848년까지 지어진 창덕궁 낙선재 권역입니다.
보물 1764호로 지정된 낙선재를 중심으로 목조 건물 9채가 자리 잡은 이곳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인 영친왕의 부인 이방자 여사와 고종황제의 외동딸인 덕혜옹주가 살았던 곳입니다.
문화재청이 이 가운데 석복헌과 수강재 두 전각을 명품 숙박시설로 꾸며 외국인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내부를 숙박시설로 개조할 경우 전기와 조명, 냉난방 기기 등 각종 편의시설을 설치해야 해 문화재 훼손이 불가피하다는 겁니다.
<인터뷰> 황평우(은평역사한옥박물관장) : "원형을 잘 유지해야 하는 되는 경운데, 이거를 내부를 개조하겠다, 또 궁 내부를 개조하겠다, 이거는 문화재청 본연의 업무에 맞지 않는 정책이죠."
화재 등 각종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큽니다.
논란이 커지자 문화재청은 아직 검토 단계일 뿐 구체적으로 결정된 건 없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나선화(문화재청장) : "지금은 단순히 기획단계라는 것을 말씀드리고 이 기회를 통해서 여러분들이 우려하시는 많은 말씀 주신 거를 저희는 아주 겸허히 받아들이겠습니다."
보존이냐, 활용이냐,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문화재청이 과연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문화재청, ‘궁 스테이’ 추진…문화재 훼손 논란
-
- 입력 2015-07-16 19:13:47
- 수정2015-07-16 19:21:22

<앵커 멘트>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창덕궁 일부 건물을 외국인을 위한 고급 숙박시설로 개조하는 방안이 추진돼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비싼 숙박료는 둘째치고 소중한 문화재를 훼손할 우려가 크다는 지적입니다.
김 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조선 헌종 때인 1847년부터 1848년까지 지어진 창덕궁 낙선재 권역입니다.
보물 1764호로 지정된 낙선재를 중심으로 목조 건물 9채가 자리 잡은 이곳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인 영친왕의 부인 이방자 여사와 고종황제의 외동딸인 덕혜옹주가 살았던 곳입니다.
문화재청이 이 가운데 석복헌과 수강재 두 전각을 명품 숙박시설로 꾸며 외국인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내부를 숙박시설로 개조할 경우 전기와 조명, 냉난방 기기 등 각종 편의시설을 설치해야 해 문화재 훼손이 불가피하다는 겁니다.
<인터뷰> 황평우(은평역사한옥박물관장) : "원형을 잘 유지해야 하는 되는 경운데, 이거를 내부를 개조하겠다, 또 궁 내부를 개조하겠다, 이거는 문화재청 본연의 업무에 맞지 않는 정책이죠."
화재 등 각종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큽니다.
논란이 커지자 문화재청은 아직 검토 단계일 뿐 구체적으로 결정된 건 없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나선화(문화재청장) : "지금은 단순히 기획단계라는 것을 말씀드리고 이 기회를 통해서 여러분들이 우려하시는 많은 말씀 주신 거를 저희는 아주 겸허히 받아들이겠습니다."
보존이냐, 활용이냐,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문화재청이 과연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창덕궁 일부 건물을 외국인을 위한 고급 숙박시설로 개조하는 방안이 추진돼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비싼 숙박료는 둘째치고 소중한 문화재를 훼손할 우려가 크다는 지적입니다.
김 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조선 헌종 때인 1847년부터 1848년까지 지어진 창덕궁 낙선재 권역입니다.
보물 1764호로 지정된 낙선재를 중심으로 목조 건물 9채가 자리 잡은 이곳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인 영친왕의 부인 이방자 여사와 고종황제의 외동딸인 덕혜옹주가 살았던 곳입니다.
문화재청이 이 가운데 석복헌과 수강재 두 전각을 명품 숙박시설로 꾸며 외국인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내부를 숙박시설로 개조할 경우 전기와 조명, 냉난방 기기 등 각종 편의시설을 설치해야 해 문화재 훼손이 불가피하다는 겁니다.
<인터뷰> 황평우(은평역사한옥박물관장) : "원형을 잘 유지해야 하는 되는 경운데, 이거를 내부를 개조하겠다, 또 궁 내부를 개조하겠다, 이거는 문화재청 본연의 업무에 맞지 않는 정책이죠."
화재 등 각종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큽니다.
논란이 커지자 문화재청은 아직 검토 단계일 뿐 구체적으로 결정된 건 없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나선화(문화재청장) : "지금은 단순히 기획단계라는 것을 말씀드리고 이 기회를 통해서 여러분들이 우려하시는 많은 말씀 주신 거를 저희는 아주 겸허히 받아들이겠습니다."
보존이냐, 활용이냐,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문화재청이 과연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