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쇠’의 마음을 읽는 곳…추억의 대장간
입력 2015.09.29 (07:30) 수정 2015.09.29 (07:46) 뉴스광장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쇠를 달구고 두드려 호미며 낫을 만들어내는 대장장이의 모습, 지금은 쉽사리 찾아보기 힘든데요.
세월의 변화 속에서도 전통 방식을 고집하는 장인의 대장간을 김선영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화덕에 불을 붙인 뒤 쇳덩이를 달굽니다.
쇠가 벌겋게 달아오르면, 두드리고 또 두드려 모양을 잡습니다.
담금질로 화기를 식히자, 근사한 괭이가 만들어집니다.
<녹취> "(이거는 좀 갈아달라고요, 낫.) 이거는 돌에 찍혀서. 조금 고치면 돼요."
부리가 부러진 낫도 대장장이의 손길을 거치면, 금세 새 것이 됩니다.
<인터뷰> 장원순(증평군 증평읍) : "부러진 거 와서 고쳐 가고 사 가기도 하고. 호미같은 건 시장 가서 산다지만 여기 있는 거만 못 해요. 여기 있는 게 제일 좋아요."
대장간 부문 첫 기능 전수자 최용진 장인.
쇠에 혼을 불어 넣은지 반 세기가 흘렀습니다.
<인터뷰> 최용진(대장간 부문 기능 전수자) : "옛날이나 지금이나 대장장이는 쇠의 마음을 읽어야 해요. 다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집집마다 농기구를 갖추고 있던 예전과 달리 지금은 찾는 이가 많지 않습니다.
그래도 틈틈이 영화 소품이나 철제 작품을 만들며 명맥을 잇고 있습니다.
<인터뷰> 최용진(대장간 부문 기능 전수자) : "명절 날도 가게를 못 비워요. 고향에 오신 분들에게는 이 대장간이 향수가 되잖아요."
시간이 멈춘 듯한 시골 대장간에서는 오늘도 옛 추억을 담은 깊은 울림이 퍼져 나옵니다.
KBS 뉴스 김선영입니다.
쇠를 달구고 두드려 호미며 낫을 만들어내는 대장장이의 모습, 지금은 쉽사리 찾아보기 힘든데요.
세월의 변화 속에서도 전통 방식을 고집하는 장인의 대장간을 김선영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화덕에 불을 붙인 뒤 쇳덩이를 달굽니다.
쇠가 벌겋게 달아오르면, 두드리고 또 두드려 모양을 잡습니다.
담금질로 화기를 식히자, 근사한 괭이가 만들어집니다.
<녹취> "(이거는 좀 갈아달라고요, 낫.) 이거는 돌에 찍혀서. 조금 고치면 돼요."
부리가 부러진 낫도 대장장이의 손길을 거치면, 금세 새 것이 됩니다.
<인터뷰> 장원순(증평군 증평읍) : "부러진 거 와서 고쳐 가고 사 가기도 하고. 호미같은 건 시장 가서 산다지만 여기 있는 거만 못 해요. 여기 있는 게 제일 좋아요."
대장간 부문 첫 기능 전수자 최용진 장인.
쇠에 혼을 불어 넣은지 반 세기가 흘렀습니다.
<인터뷰> 최용진(대장간 부문 기능 전수자) : "옛날이나 지금이나 대장장이는 쇠의 마음을 읽어야 해요. 다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집집마다 농기구를 갖추고 있던 예전과 달리 지금은 찾는 이가 많지 않습니다.
그래도 틈틈이 영화 소품이나 철제 작품을 만들며 명맥을 잇고 있습니다.
<인터뷰> 최용진(대장간 부문 기능 전수자) : "명절 날도 가게를 못 비워요. 고향에 오신 분들에게는 이 대장간이 향수가 되잖아요."
시간이 멈춘 듯한 시골 대장간에서는 오늘도 옛 추억을 담은 깊은 울림이 퍼져 나옵니다.
KBS 뉴스 김선영입니다.
- ’쇠’의 마음을 읽는 곳…추억의 대장간
-
- 입력 2015-09-29 07:32:33
- 수정2015-09-29 07:46:10

<앵커 멘트>
쇠를 달구고 두드려 호미며 낫을 만들어내는 대장장이의 모습, 지금은 쉽사리 찾아보기 힘든데요.
세월의 변화 속에서도 전통 방식을 고집하는 장인의 대장간을 김선영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화덕에 불을 붙인 뒤 쇳덩이를 달굽니다.
쇠가 벌겋게 달아오르면, 두드리고 또 두드려 모양을 잡습니다.
담금질로 화기를 식히자, 근사한 괭이가 만들어집니다.
<녹취> "(이거는 좀 갈아달라고요, 낫.) 이거는 돌에 찍혀서. 조금 고치면 돼요."
부리가 부러진 낫도 대장장이의 손길을 거치면, 금세 새 것이 됩니다.
<인터뷰> 장원순(증평군 증평읍) : "부러진 거 와서 고쳐 가고 사 가기도 하고. 호미같은 건 시장 가서 산다지만 여기 있는 거만 못 해요. 여기 있는 게 제일 좋아요."
대장간 부문 첫 기능 전수자 최용진 장인.
쇠에 혼을 불어 넣은지 반 세기가 흘렀습니다.
<인터뷰> 최용진(대장간 부문 기능 전수자) : "옛날이나 지금이나 대장장이는 쇠의 마음을 읽어야 해요. 다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집집마다 농기구를 갖추고 있던 예전과 달리 지금은 찾는 이가 많지 않습니다.
그래도 틈틈이 영화 소품이나 철제 작품을 만들며 명맥을 잇고 있습니다.
<인터뷰> 최용진(대장간 부문 기능 전수자) : "명절 날도 가게를 못 비워요. 고향에 오신 분들에게는 이 대장간이 향수가 되잖아요."
시간이 멈춘 듯한 시골 대장간에서는 오늘도 옛 추억을 담은 깊은 울림이 퍼져 나옵니다.
KBS 뉴스 김선영입니다.
쇠를 달구고 두드려 호미며 낫을 만들어내는 대장장이의 모습, 지금은 쉽사리 찾아보기 힘든데요.
세월의 변화 속에서도 전통 방식을 고집하는 장인의 대장간을 김선영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화덕에 불을 붙인 뒤 쇳덩이를 달굽니다.
쇠가 벌겋게 달아오르면, 두드리고 또 두드려 모양을 잡습니다.
담금질로 화기를 식히자, 근사한 괭이가 만들어집니다.
<녹취> "(이거는 좀 갈아달라고요, 낫.) 이거는 돌에 찍혀서. 조금 고치면 돼요."
부리가 부러진 낫도 대장장이의 손길을 거치면, 금세 새 것이 됩니다.
<인터뷰> 장원순(증평군 증평읍) : "부러진 거 와서 고쳐 가고 사 가기도 하고. 호미같은 건 시장 가서 산다지만 여기 있는 거만 못 해요. 여기 있는 게 제일 좋아요."
대장간 부문 첫 기능 전수자 최용진 장인.
쇠에 혼을 불어 넣은지 반 세기가 흘렀습니다.
<인터뷰> 최용진(대장간 부문 기능 전수자) : "옛날이나 지금이나 대장장이는 쇠의 마음을 읽어야 해요. 다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집집마다 농기구를 갖추고 있던 예전과 달리 지금은 찾는 이가 많지 않습니다.
그래도 틈틈이 영화 소품이나 철제 작품을 만들며 명맥을 잇고 있습니다.
<인터뷰> 최용진(대장간 부문 기능 전수자) : "명절 날도 가게를 못 비워요. 고향에 오신 분들에게는 이 대장간이 향수가 되잖아요."
시간이 멈춘 듯한 시골 대장간에서는 오늘도 옛 추억을 담은 깊은 울림이 퍼져 나옵니다.
KBS 뉴스 김선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뉴스광장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선영 기자 wake@kbs.co.kr
김선영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