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24 현장] “베이컨, 햄 등 가공육은 1군 발암물질”
입력 2015.10.27 (18:05)
수정 2015.10.27 (21: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국제보건기구, WHO가 햄과 소시지와 같은 가공육이 1군 발암물질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1군 발암물질로 발표한 의미 짚어봅니다.
베를린 연결합니다
이민우 특파원
<질문>
보고서의 구체적인 내용이 궁금한데요 대체 어떤 가공육들이 암을 유발한다는 건가요?
<답변>
네,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육류섭취와 암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조사를 토대로 발표한 건데요.
가공육이라는 것은 소금에 절이거나 발효, 훈제하는 등 일정한 공정을 거친 육류를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햄이나 소시지가 있겠고요, 살라미, 베이컨, 또 햄버거에 들어가는 고기 패티까지도 해당합니다.
WHO는 이런 가공육을 매일 일정량 섭취하면 직장암과 대장암의 발병률이 높아진다며 석면, 담배와 같은 1군 발암물질로 지정했습니다.
<녹취> 쿠르트 스트라이프(WHO 국제 암 연구소) : "매일 50g의 가공육을 섭취할 경우 대장암 발병 확률이 17% 증가했습니다."
또 소고기와 돼지고기 등 붉은색 고기 역시 암을 유발하는 증거가 있다며 발암 위험물질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질문>
어떤 근거로 발암물질군으로 발표한 겁니까?
<답변>
네, 가공육에는 다양한 첨가물들이 들어가기 마련이죠.
이 첨가물들이 암을 유발하는 물질로 변할 수 있다는 겁니다.
예를 들면, 가공육을 오래 보관하기 위해 아질산나트륨을 넣는데요.
아질산나트륨 자체는 문제가 없지만, 이것이 '엔니트로소 화학물질'로 변하면 대장암을 일으키게 된다는 겁니다.
또 가공육을 만들 때 반드시 필요한 게 기름일텐데요.
이 기름을 고온에서 사용하면 생성되는,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역시 발암물질로 규정돼 있습니다.
조리과정에서 생기는 아민류 화학물질도 발암물질이고요.
쉽게 말하면, 가공육으로 만드는 가공 과정이라든가 조리 과정에 발암물질이 생길 수 있다는 겁니다.
<질문>
어쨌든 햄과 소시지가 석면, 담배와 같은 등급이라니 충격적인데요.
그렇다면 이런 것들을 아예 먹지 말라는 겁니까?
<답변>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고기 섭취를 통해 숨지는 사람의 비율은 담배, 술 등으로 인한 사망자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면서, 다만 섭취를 줄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영양공급을 위해선 붉은 고기도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가 적정한 육류 섭취량의 기준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축산업계와 일부 학계에서는 가공육과 암 발병의 관련성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앞으로 상당한 논란이 예상됩니다.
베를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국제보건기구, WHO가 햄과 소시지와 같은 가공육이 1군 발암물질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1군 발암물질로 발표한 의미 짚어봅니다.
베를린 연결합니다
이민우 특파원
<질문>
보고서의 구체적인 내용이 궁금한데요 대체 어떤 가공육들이 암을 유발한다는 건가요?
<답변>
네,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육류섭취와 암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조사를 토대로 발표한 건데요.
가공육이라는 것은 소금에 절이거나 발효, 훈제하는 등 일정한 공정을 거친 육류를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햄이나 소시지가 있겠고요, 살라미, 베이컨, 또 햄버거에 들어가는 고기 패티까지도 해당합니다.
WHO는 이런 가공육을 매일 일정량 섭취하면 직장암과 대장암의 발병률이 높아진다며 석면, 담배와 같은 1군 발암물질로 지정했습니다.
<녹취> 쿠르트 스트라이프(WHO 국제 암 연구소) : "매일 50g의 가공육을 섭취할 경우 대장암 발병 확률이 17% 증가했습니다."
또 소고기와 돼지고기 등 붉은색 고기 역시 암을 유발하는 증거가 있다며 발암 위험물질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질문>
어떤 근거로 발암물질군으로 발표한 겁니까?
<답변>
네, 가공육에는 다양한 첨가물들이 들어가기 마련이죠.
이 첨가물들이 암을 유발하는 물질로 변할 수 있다는 겁니다.
예를 들면, 가공육을 오래 보관하기 위해 아질산나트륨을 넣는데요.
아질산나트륨 자체는 문제가 없지만, 이것이 '엔니트로소 화학물질'로 변하면 대장암을 일으키게 된다는 겁니다.
또 가공육을 만들 때 반드시 필요한 게 기름일텐데요.
이 기름을 고온에서 사용하면 생성되는,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역시 발암물질로 규정돼 있습니다.
조리과정에서 생기는 아민류 화학물질도 발암물질이고요.
쉽게 말하면, 가공육으로 만드는 가공 과정이라든가 조리 과정에 발암물질이 생길 수 있다는 겁니다.
<질문>
어쨌든 햄과 소시지가 석면, 담배와 같은 등급이라니 충격적인데요.
그렇다면 이런 것들을 아예 먹지 말라는 겁니까?
<답변>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고기 섭취를 통해 숨지는 사람의 비율은 담배, 술 등으로 인한 사망자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면서, 다만 섭취를 줄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영양공급을 위해선 붉은 고기도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가 적정한 육류 섭취량의 기준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축산업계와 일부 학계에서는 가공육과 암 발병의 관련성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앞으로 상당한 논란이 예상됩니다.
베를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글로벌24 현장] “베이컨, 햄 등 가공육은 1군 발암물질”
-
- 입력 2015-10-27 18:07:00
- 수정2015-10-27 21:31:21

<앵커 멘트>
국제보건기구, WHO가 햄과 소시지와 같은 가공육이 1군 발암물질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1군 발암물질로 발표한 의미 짚어봅니다.
베를린 연결합니다
이민우 특파원
<질문>
보고서의 구체적인 내용이 궁금한데요 대체 어떤 가공육들이 암을 유발한다는 건가요?
<답변>
네,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육류섭취와 암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조사를 토대로 발표한 건데요.
가공육이라는 것은 소금에 절이거나 발효, 훈제하는 등 일정한 공정을 거친 육류를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햄이나 소시지가 있겠고요, 살라미, 베이컨, 또 햄버거에 들어가는 고기 패티까지도 해당합니다.
WHO는 이런 가공육을 매일 일정량 섭취하면 직장암과 대장암의 발병률이 높아진다며 석면, 담배와 같은 1군 발암물질로 지정했습니다.
<녹취> 쿠르트 스트라이프(WHO 국제 암 연구소) : "매일 50g의 가공육을 섭취할 경우 대장암 발병 확률이 17% 증가했습니다."
또 소고기와 돼지고기 등 붉은색 고기 역시 암을 유발하는 증거가 있다며 발암 위험물질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질문>
어떤 근거로 발암물질군으로 발표한 겁니까?
<답변>
네, 가공육에는 다양한 첨가물들이 들어가기 마련이죠.
이 첨가물들이 암을 유발하는 물질로 변할 수 있다는 겁니다.
예를 들면, 가공육을 오래 보관하기 위해 아질산나트륨을 넣는데요.
아질산나트륨 자체는 문제가 없지만, 이것이 '엔니트로소 화학물질'로 변하면 대장암을 일으키게 된다는 겁니다.
또 가공육을 만들 때 반드시 필요한 게 기름일텐데요.
이 기름을 고온에서 사용하면 생성되는,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역시 발암물질로 규정돼 있습니다.
조리과정에서 생기는 아민류 화학물질도 발암물질이고요.
쉽게 말하면, 가공육으로 만드는 가공 과정이라든가 조리 과정에 발암물질이 생길 수 있다는 겁니다.
<질문>
어쨌든 햄과 소시지가 석면, 담배와 같은 등급이라니 충격적인데요.
그렇다면 이런 것들을 아예 먹지 말라는 겁니까?
<답변>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고기 섭취를 통해 숨지는 사람의 비율은 담배, 술 등으로 인한 사망자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면서, 다만 섭취를 줄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영양공급을 위해선 붉은 고기도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가 적정한 육류 섭취량의 기준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축산업계와 일부 학계에서는 가공육과 암 발병의 관련성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앞으로 상당한 논란이 예상됩니다.
베를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국제보건기구, WHO가 햄과 소시지와 같은 가공육이 1군 발암물질이라는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1군 발암물질로 발표한 의미 짚어봅니다.
베를린 연결합니다
이민우 특파원
<질문>
보고서의 구체적인 내용이 궁금한데요 대체 어떤 가공육들이 암을 유발한다는 건가요?
<답변>
네,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육류섭취와 암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조사를 토대로 발표한 건데요.
가공육이라는 것은 소금에 절이거나 발효, 훈제하는 등 일정한 공정을 거친 육류를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햄이나 소시지가 있겠고요, 살라미, 베이컨, 또 햄버거에 들어가는 고기 패티까지도 해당합니다.
WHO는 이런 가공육을 매일 일정량 섭취하면 직장암과 대장암의 발병률이 높아진다며 석면, 담배와 같은 1군 발암물질로 지정했습니다.
<녹취> 쿠르트 스트라이프(WHO 국제 암 연구소) : "매일 50g의 가공육을 섭취할 경우 대장암 발병 확률이 17% 증가했습니다."
또 소고기와 돼지고기 등 붉은색 고기 역시 암을 유발하는 증거가 있다며 발암 위험물질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질문>
어떤 근거로 발암물질군으로 발표한 겁니까?
<답변>
네, 가공육에는 다양한 첨가물들이 들어가기 마련이죠.
이 첨가물들이 암을 유발하는 물질로 변할 수 있다는 겁니다.
예를 들면, 가공육을 오래 보관하기 위해 아질산나트륨을 넣는데요.
아질산나트륨 자체는 문제가 없지만, 이것이 '엔니트로소 화학물질'로 변하면 대장암을 일으키게 된다는 겁니다.
또 가공육을 만들 때 반드시 필요한 게 기름일텐데요.
이 기름을 고온에서 사용하면 생성되는,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역시 발암물질로 규정돼 있습니다.
조리과정에서 생기는 아민류 화학물질도 발암물질이고요.
쉽게 말하면, 가공육으로 만드는 가공 과정이라든가 조리 과정에 발암물질이 생길 수 있다는 겁니다.
<질문>
어쨌든 햄과 소시지가 석면, 담배와 같은 등급이라니 충격적인데요.
그렇다면 이런 것들을 아예 먹지 말라는 겁니까?
<답변>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고기 섭취를 통해 숨지는 사람의 비율은 담배, 술 등으로 인한 사망자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면서, 다만 섭취를 줄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영양공급을 위해선 붉은 고기도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가 적정한 육류 섭취량의 기준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축산업계와 일부 학계에서는 가공육과 암 발병의 관련성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앞으로 상당한 논란이 예상됩니다.
베를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
이민우 기자 kbsminoo@gmail.com
이민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