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수출진흥대책회의…차세대 수출 품목 지원
입력 2015.11.11 (12:13) 수정 2015.11.11 (13:05) 뉴스 12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최근 부진한 수출이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말이 곳곳에서 나오죠.
정부가 수출 부진을 벗어나기 위해 지원책을 발표했습니다.
차세대 수출 품목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게 핵심입니다.
박예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는 오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주재로 10여 개 관계 부처 차관 등이 모여 수출진흥대책회의를 열고 지원 대책을 확정했습니다.
우선순위를 두고 지원하기로 한 것은 올레드와 화장품, 신약 등 신규 수출 유망 품목들입니다.
특히 올레드의 경우 제조장비 수입 관세를 한시적으로 면제하고 연구개발 투자에 대해 20%의 세액 공제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 중국과의 FTA 타결로 기대를 모으는 소비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연말까지 TF를 운영하고, 글로벌 명품 육성전략 5개년 계획도 수립합니다.
우수 중소, 중견기업에 대한 무역보험료 할인율은 현행 30%에서 50%로 확대합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다음 달 초 해외 바이어 5백 개 사와 국내 기업 2천 곳이 참여하는 대형 수출 상담회를 열기로 했습니다.
쌀과 삼계탕의 중국 수출을 위해서는 농식품부 차관을 단장으로 수출 추진단을 꾸리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특히 수출 부진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한-중, 한-베트남, 한-뉴질랜드 등 3개 FTA의 조기 발효가 필수적이라며 조속한 국회 협의를 촉구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박예원입니다.
최근 부진한 수출이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말이 곳곳에서 나오죠.
정부가 수출 부진을 벗어나기 위해 지원책을 발표했습니다.
차세대 수출 품목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게 핵심입니다.
박예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는 오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주재로 10여 개 관계 부처 차관 등이 모여 수출진흥대책회의를 열고 지원 대책을 확정했습니다.
우선순위를 두고 지원하기로 한 것은 올레드와 화장품, 신약 등 신규 수출 유망 품목들입니다.
특히 올레드의 경우 제조장비 수입 관세를 한시적으로 면제하고 연구개발 투자에 대해 20%의 세액 공제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 중국과의 FTA 타결로 기대를 모으는 소비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연말까지 TF를 운영하고, 글로벌 명품 육성전략 5개년 계획도 수립합니다.
우수 중소, 중견기업에 대한 무역보험료 할인율은 현행 30%에서 50%로 확대합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다음 달 초 해외 바이어 5백 개 사와 국내 기업 2천 곳이 참여하는 대형 수출 상담회를 열기로 했습니다.
쌀과 삼계탕의 중국 수출을 위해서는 농식품부 차관을 단장으로 수출 추진단을 꾸리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특히 수출 부진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한-중, 한-베트남, 한-뉴질랜드 등 3개 FTA의 조기 발효가 필수적이라며 조속한 국회 협의를 촉구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박예원입니다.
- 수출진흥대책회의…차세대 수출 품목 지원
-
- 입력 2015-11-11 12:14:19
- 수정2015-11-11 13:05:22

<앵커 멘트>
최근 부진한 수출이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말이 곳곳에서 나오죠.
정부가 수출 부진을 벗어나기 위해 지원책을 발표했습니다.
차세대 수출 품목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게 핵심입니다.
박예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는 오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주재로 10여 개 관계 부처 차관 등이 모여 수출진흥대책회의를 열고 지원 대책을 확정했습니다.
우선순위를 두고 지원하기로 한 것은 올레드와 화장품, 신약 등 신규 수출 유망 품목들입니다.
특히 올레드의 경우 제조장비 수입 관세를 한시적으로 면제하고 연구개발 투자에 대해 20%의 세액 공제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 중국과의 FTA 타결로 기대를 모으는 소비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연말까지 TF를 운영하고, 글로벌 명품 육성전략 5개년 계획도 수립합니다.
우수 중소, 중견기업에 대한 무역보험료 할인율은 현행 30%에서 50%로 확대합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다음 달 초 해외 바이어 5백 개 사와 국내 기업 2천 곳이 참여하는 대형 수출 상담회를 열기로 했습니다.
쌀과 삼계탕의 중국 수출을 위해서는 농식품부 차관을 단장으로 수출 추진단을 꾸리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특히 수출 부진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한-중, 한-베트남, 한-뉴질랜드 등 3개 FTA의 조기 발효가 필수적이라며 조속한 국회 협의를 촉구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박예원입니다.
최근 부진한 수출이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말이 곳곳에서 나오죠.
정부가 수출 부진을 벗어나기 위해 지원책을 발표했습니다.
차세대 수출 품목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게 핵심입니다.
박예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는 오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주재로 10여 개 관계 부처 차관 등이 모여 수출진흥대책회의를 열고 지원 대책을 확정했습니다.
우선순위를 두고 지원하기로 한 것은 올레드와 화장품, 신약 등 신규 수출 유망 품목들입니다.
특히 올레드의 경우 제조장비 수입 관세를 한시적으로 면제하고 연구개발 투자에 대해 20%의 세액 공제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 중국과의 FTA 타결로 기대를 모으는 소비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연말까지 TF를 운영하고, 글로벌 명품 육성전략 5개년 계획도 수립합니다.
우수 중소, 중견기업에 대한 무역보험료 할인율은 현행 30%에서 50%로 확대합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다음 달 초 해외 바이어 5백 개 사와 국내 기업 2천 곳이 참여하는 대형 수출 상담회를 열기로 했습니다.
쌀과 삼계탕의 중국 수출을 위해서는 농식품부 차관을 단장으로 수출 추진단을 꾸리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특히 수출 부진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한-중, 한-베트남, 한-뉴질랜드 등 3개 FTA의 조기 발효가 필수적이라며 조속한 국회 협의를 촉구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박예원입니다.
뉴스 12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박예원 기자 air@kbs.co.kr
박예원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