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지구촌 이모저모] 英 의회, ‘설탕세’ 도입 촉구
입력 2015.12.02 (10:49) 수정 2015.12.02 (11:29) 지구촌뉴스
<앵커 멘트>
영국 의회가 설탕 함유량이 높은 음료에 세금을 부과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소아 비만을 막으려면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지구촌 이모저모에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달콤한 토핑이 올려진 도넛과 탄산음료….
어른이나 아이 할 것 없이 유혹을 쉽게 뿌리치기 힘든 간식들인데요.
영국 하원 보건위원회가 급증하고 있는 소아 비만을 막기 위해 설탕 함유 음식에 세금을 물리는 '설탕 세' 도입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보건위원회는 설탕 세 도입이 비만을 줄일 수 있다는 증거로 멕시코의 사례를 들었는데요.
멕시코에서 설탕 함유 음료에 세금 10%를 부과한 이후 이들 음료의 소비가 6% 정도 감소했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재클린 에르브(가정보육교사) : "설탕을 많이 섭취하면 아이들의 미각이 단 음식에 익숙해집니다. 그러면 고구마나 브로콜리 같은 음식을 먹지 않으려고 하죠."
보건 위원회는 설탕 세 도입과 함께 설탕 함유 음료의 가격 할인과 만화 광고를 금지하는 방안도 함께 제시했는데요.
실제로 추가로 부과되는 세금이 아이들의 식단을 변화시킬 수 있을지, 설탕 세 도입을 둘러싼 논쟁이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스타워즈 빈티지 장난감의 몸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35년 전 출시된 이 스타워즈 장난감은 당시에 가격이 1.5파운드였는데요.
놀랍게도 현재 몸값이 만 8천 파운드, 우리 돈 3,145만 원으로 만 배 넘게 뛰었습니다.
역대 스타워즈 장난감 경매 중 최고액은 45만 달러로, 지난 9월 스타워즈 우주선의 미니어처가 우리 돈 5억 2천만 원에 팔렸습니다.
<인터뷰> 캐시 테일러(영국 경매업체 직원) : "단순한 장난감이 아닙니다. 삶의 한 방식이자 문화입니다."
포장을 뜯지도 않은 희귀 스타워즈 장난감을 다수 보유한 영국 경매 업체는 오는 8일 열릴 경매에 큰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자신만의 예술 작품을 완성하느라 여념이 없는 사람들.
뜨개질이나 구슬 꿰기에 놀라운 집중력을 발휘하기도 합니다.
보스턴 한 교회에서 운영하는 '보통의 예술' 프로그램인데요.
이곳에 있는 사람들은 현재 노숙인이거나 과거에 길거리를 전전해 본 적이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백여 명의 수강생들은 다양한 예술 활동을 하면서 삶의 의욕을 되찾고, 몇몇 작품은 판매해 소득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뇨칭 미술관'은 식물원을 겸하는 자연 속 미술관입니다.
80만㎡ 규모의 정원에 초대형 망원경 등 5백여 개 이상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는데요.
브라질 광산 재벌 베르나르도 파즈는 노천 철광석이 널려있는 이곳에 지난 2006년 이뇨칭 미술관을 세웠습니다.
<인터뷰> 안토니오 그라시(이뇨칭 미술관 직원) : "사실 이뇨칭은 미술관도 아니고 식물원도 아닙니다. 예술과 식물 간에 독점적인 만남이 있는 곳이죠."
매년 전 세계 30만 명 이상이 이뇨칭 미술관을 방문해 열대 우림 속 신세계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외관은 여느 사무실과 다름이 없지만, 이 건물은 에너지를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이른바 '액티브 하우스'입니다.
태양열 흡수 장치 등 다양한 기계 장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이 건물에서 필요한 에너지의 2배 가량을 생산하고 있는데요.
쓰고 남은 에너지는 전기차 운행과 인근 박물관 난방에 활용됩니다.
에너지를 자급자족하는 '액티브 하우스'는 미래 친환경 건축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구촌 이모저모였습니다.
영국 의회가 설탕 함유량이 높은 음료에 세금을 부과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소아 비만을 막으려면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지구촌 이모저모에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달콤한 토핑이 올려진 도넛과 탄산음료….
어른이나 아이 할 것 없이 유혹을 쉽게 뿌리치기 힘든 간식들인데요.
영국 하원 보건위원회가 급증하고 있는 소아 비만을 막기 위해 설탕 함유 음식에 세금을 물리는 '설탕 세' 도입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보건위원회는 설탕 세 도입이 비만을 줄일 수 있다는 증거로 멕시코의 사례를 들었는데요.
멕시코에서 설탕 함유 음료에 세금 10%를 부과한 이후 이들 음료의 소비가 6% 정도 감소했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재클린 에르브(가정보육교사) : "설탕을 많이 섭취하면 아이들의 미각이 단 음식에 익숙해집니다. 그러면 고구마나 브로콜리 같은 음식을 먹지 않으려고 하죠."
보건 위원회는 설탕 세 도입과 함께 설탕 함유 음료의 가격 할인과 만화 광고를 금지하는 방안도 함께 제시했는데요.
실제로 추가로 부과되는 세금이 아이들의 식단을 변화시킬 수 있을지, 설탕 세 도입을 둘러싼 논쟁이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스타워즈 빈티지 장난감의 몸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35년 전 출시된 이 스타워즈 장난감은 당시에 가격이 1.5파운드였는데요.
놀랍게도 현재 몸값이 만 8천 파운드, 우리 돈 3,145만 원으로 만 배 넘게 뛰었습니다.
역대 스타워즈 장난감 경매 중 최고액은 45만 달러로, 지난 9월 스타워즈 우주선의 미니어처가 우리 돈 5억 2천만 원에 팔렸습니다.
<인터뷰> 캐시 테일러(영국 경매업체 직원) : "단순한 장난감이 아닙니다. 삶의 한 방식이자 문화입니다."
포장을 뜯지도 않은 희귀 스타워즈 장난감을 다수 보유한 영국 경매 업체는 오는 8일 열릴 경매에 큰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자신만의 예술 작품을 완성하느라 여념이 없는 사람들.
뜨개질이나 구슬 꿰기에 놀라운 집중력을 발휘하기도 합니다.
보스턴 한 교회에서 운영하는 '보통의 예술' 프로그램인데요.
이곳에 있는 사람들은 현재 노숙인이거나 과거에 길거리를 전전해 본 적이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백여 명의 수강생들은 다양한 예술 활동을 하면서 삶의 의욕을 되찾고, 몇몇 작품은 판매해 소득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뇨칭 미술관'은 식물원을 겸하는 자연 속 미술관입니다.
80만㎡ 규모의 정원에 초대형 망원경 등 5백여 개 이상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는데요.
브라질 광산 재벌 베르나르도 파즈는 노천 철광석이 널려있는 이곳에 지난 2006년 이뇨칭 미술관을 세웠습니다.
<인터뷰> 안토니오 그라시(이뇨칭 미술관 직원) : "사실 이뇨칭은 미술관도 아니고 식물원도 아닙니다. 예술과 식물 간에 독점적인 만남이 있는 곳이죠."
매년 전 세계 30만 명 이상이 이뇨칭 미술관을 방문해 열대 우림 속 신세계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외관은 여느 사무실과 다름이 없지만, 이 건물은 에너지를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이른바 '액티브 하우스'입니다.
태양열 흡수 장치 등 다양한 기계 장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이 건물에서 필요한 에너지의 2배 가량을 생산하고 있는데요.
쓰고 남은 에너지는 전기차 운행과 인근 박물관 난방에 활용됩니다.
에너지를 자급자족하는 '액티브 하우스'는 미래 친환경 건축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구촌 이모저모였습니다.
- [지구촌 이모저모] 英 의회, ‘설탕세’ 도입 촉구
-
- 입력 2015-12-02 10:50:17
- 수정2015-12-02 11:29:28

<앵커 멘트>
영국 의회가 설탕 함유량이 높은 음료에 세금을 부과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소아 비만을 막으려면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지구촌 이모저모에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달콤한 토핑이 올려진 도넛과 탄산음료….
어른이나 아이 할 것 없이 유혹을 쉽게 뿌리치기 힘든 간식들인데요.
영국 하원 보건위원회가 급증하고 있는 소아 비만을 막기 위해 설탕 함유 음식에 세금을 물리는 '설탕 세' 도입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보건위원회는 설탕 세 도입이 비만을 줄일 수 있다는 증거로 멕시코의 사례를 들었는데요.
멕시코에서 설탕 함유 음료에 세금 10%를 부과한 이후 이들 음료의 소비가 6% 정도 감소했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재클린 에르브(가정보육교사) : "설탕을 많이 섭취하면 아이들의 미각이 단 음식에 익숙해집니다. 그러면 고구마나 브로콜리 같은 음식을 먹지 않으려고 하죠."
보건 위원회는 설탕 세 도입과 함께 설탕 함유 음료의 가격 할인과 만화 광고를 금지하는 방안도 함께 제시했는데요.
실제로 추가로 부과되는 세금이 아이들의 식단을 변화시킬 수 있을지, 설탕 세 도입을 둘러싼 논쟁이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스타워즈 빈티지 장난감의 몸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35년 전 출시된 이 스타워즈 장난감은 당시에 가격이 1.5파운드였는데요.
놀랍게도 현재 몸값이 만 8천 파운드, 우리 돈 3,145만 원으로 만 배 넘게 뛰었습니다.
역대 스타워즈 장난감 경매 중 최고액은 45만 달러로, 지난 9월 스타워즈 우주선의 미니어처가 우리 돈 5억 2천만 원에 팔렸습니다.
<인터뷰> 캐시 테일러(영국 경매업체 직원) : "단순한 장난감이 아닙니다. 삶의 한 방식이자 문화입니다."
포장을 뜯지도 않은 희귀 스타워즈 장난감을 다수 보유한 영국 경매 업체는 오는 8일 열릴 경매에 큰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자신만의 예술 작품을 완성하느라 여념이 없는 사람들.
뜨개질이나 구슬 꿰기에 놀라운 집중력을 발휘하기도 합니다.
보스턴 한 교회에서 운영하는 '보통의 예술' 프로그램인데요.
이곳에 있는 사람들은 현재 노숙인이거나 과거에 길거리를 전전해 본 적이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백여 명의 수강생들은 다양한 예술 활동을 하면서 삶의 의욕을 되찾고, 몇몇 작품은 판매해 소득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뇨칭 미술관'은 식물원을 겸하는 자연 속 미술관입니다.
80만㎡ 규모의 정원에 초대형 망원경 등 5백여 개 이상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는데요.
브라질 광산 재벌 베르나르도 파즈는 노천 철광석이 널려있는 이곳에 지난 2006년 이뇨칭 미술관을 세웠습니다.
<인터뷰> 안토니오 그라시(이뇨칭 미술관 직원) : "사실 이뇨칭은 미술관도 아니고 식물원도 아닙니다. 예술과 식물 간에 독점적인 만남이 있는 곳이죠."
매년 전 세계 30만 명 이상이 이뇨칭 미술관을 방문해 열대 우림 속 신세계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외관은 여느 사무실과 다름이 없지만, 이 건물은 에너지를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이른바 '액티브 하우스'입니다.
태양열 흡수 장치 등 다양한 기계 장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이 건물에서 필요한 에너지의 2배 가량을 생산하고 있는데요.
쓰고 남은 에너지는 전기차 운행과 인근 박물관 난방에 활용됩니다.
에너지를 자급자족하는 '액티브 하우스'는 미래 친환경 건축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구촌 이모저모였습니다.
영국 의회가 설탕 함유량이 높은 음료에 세금을 부과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소아 비만을 막으려면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지구촌 이모저모에서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달콤한 토핑이 올려진 도넛과 탄산음료….
어른이나 아이 할 것 없이 유혹을 쉽게 뿌리치기 힘든 간식들인데요.
영국 하원 보건위원회가 급증하고 있는 소아 비만을 막기 위해 설탕 함유 음식에 세금을 물리는 '설탕 세' 도입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보건위원회는 설탕 세 도입이 비만을 줄일 수 있다는 증거로 멕시코의 사례를 들었는데요.
멕시코에서 설탕 함유 음료에 세금 10%를 부과한 이후 이들 음료의 소비가 6% 정도 감소했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재클린 에르브(가정보육교사) : "설탕을 많이 섭취하면 아이들의 미각이 단 음식에 익숙해집니다. 그러면 고구마나 브로콜리 같은 음식을 먹지 않으려고 하죠."
보건 위원회는 설탕 세 도입과 함께 설탕 함유 음료의 가격 할인과 만화 광고를 금지하는 방안도 함께 제시했는데요.
실제로 추가로 부과되는 세금이 아이들의 식단을 변화시킬 수 있을지, 설탕 세 도입을 둘러싼 논쟁이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스타워즈 빈티지 장난감의 몸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35년 전 출시된 이 스타워즈 장난감은 당시에 가격이 1.5파운드였는데요.
놀랍게도 현재 몸값이 만 8천 파운드, 우리 돈 3,145만 원으로 만 배 넘게 뛰었습니다.
역대 스타워즈 장난감 경매 중 최고액은 45만 달러로, 지난 9월 스타워즈 우주선의 미니어처가 우리 돈 5억 2천만 원에 팔렸습니다.
<인터뷰> 캐시 테일러(영국 경매업체 직원) : "단순한 장난감이 아닙니다. 삶의 한 방식이자 문화입니다."
포장을 뜯지도 않은 희귀 스타워즈 장난감을 다수 보유한 영국 경매 업체는 오는 8일 열릴 경매에 큰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자신만의 예술 작품을 완성하느라 여념이 없는 사람들.
뜨개질이나 구슬 꿰기에 놀라운 집중력을 발휘하기도 합니다.
보스턴 한 교회에서 운영하는 '보통의 예술' 프로그램인데요.
이곳에 있는 사람들은 현재 노숙인이거나 과거에 길거리를 전전해 본 적이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백여 명의 수강생들은 다양한 예술 활동을 하면서 삶의 의욕을 되찾고, 몇몇 작품은 판매해 소득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뇨칭 미술관'은 식물원을 겸하는 자연 속 미술관입니다.
80만㎡ 규모의 정원에 초대형 망원경 등 5백여 개 이상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는데요.
브라질 광산 재벌 베르나르도 파즈는 노천 철광석이 널려있는 이곳에 지난 2006년 이뇨칭 미술관을 세웠습니다.
<인터뷰> 안토니오 그라시(이뇨칭 미술관 직원) : "사실 이뇨칭은 미술관도 아니고 식물원도 아닙니다. 예술과 식물 간에 독점적인 만남이 있는 곳이죠."
매년 전 세계 30만 명 이상이 이뇨칭 미술관을 방문해 열대 우림 속 신세계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외관은 여느 사무실과 다름이 없지만, 이 건물은 에너지를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이른바 '액티브 하우스'입니다.
태양열 흡수 장치 등 다양한 기계 장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이 건물에서 필요한 에너지의 2배 가량을 생산하고 있는데요.
쓰고 남은 에너지는 전기차 운행과 인근 박물관 난방에 활용됩니다.
에너지를 자급자족하는 '액티브 하우스'는 미래 친환경 건축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구촌 이모저모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지구촌뉴스 전체보기
-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