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활용해 수출시장 개척…‘붐업 코리아’

입력 2015.12.09 (08:01) 수정 2015.12.09 (08: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내년엔 중국과 베트남, 뉴질랜드 등 3개 FTA가 발효되면 우리나라는 전 세계 4분 3의 경제권과 자유무역을 하는 나라가 되는데요.

FTA를 활용해 수출 부진을 극복하자는 수출상담회가 열렸습니다.

홍찬의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창문의 잠금장치와 손잡이를 제조하는 중소기업입니다.

1년 넘는 노력 끝에 독일 업체가 장악한 베트남 시장에 수출길을 열었습니다.

비싸고 다소 투박한 독일제 창문 손잡이에 맞서 저렴하면서도 세련되고 다양한 디자인으로 승부를 건 것이 주효했습니다.

내년 FTA까지 발효되면 10년 안에 14% 관세도 철폐될 예정입니다.

<인터뷰> 이재선(씨에스테크 대표이사) : "가격 경쟁력이 확보되면 시장 진출이 훨씬 더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질병 진단기계를 생산하는 이 업체는 중국 업체와 협력을 조건으로 수출 계약을 맺었습니다.

내년 한중 FTA가 발효되면 5년 내에 4% 관세가 없어지지만, 중국 보건 당국의 인증을 받아야 수출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권성훈(퀸타매트릭스 대표이사) : "비관세 장벽을 낮추기 위해서 이제 어쩔 수 없이 중국업체들이랑 같이 협력을 하는 그런 부분입니다."

때문에 FTA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관세 철폐는 물론 인증 같은 비관세 장벽을 낮추는 것도 중요합니다.

<인터뷰> 김재홍(코트라 사장) : "그것은 민간 차원에서 노력하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정부가 전면에 나서서 정부와 유관기관과 같이 노력을 해야 합니다."

수출상담회에는 해외 바이어 450여 개사와 천 개가 넘는 중소기업이 참여했으며, 57개 기업은 합동 수출 계약도 맺었습니다.

KBS 뉴스 홍찬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FTA 활용해 수출시장 개척…‘붐업 코리아’
    • 입력 2015-12-09 06:41:31
    • 수정2015-12-09 08:14:20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내년엔 중국과 베트남, 뉴질랜드 등 3개 FTA가 발효되면 우리나라는 전 세계 4분 3의 경제권과 자유무역을 하는 나라가 되는데요.

FTA를 활용해 수출 부진을 극복하자는 수출상담회가 열렸습니다.

홍찬의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창문의 잠금장치와 손잡이를 제조하는 중소기업입니다.

1년 넘는 노력 끝에 독일 업체가 장악한 베트남 시장에 수출길을 열었습니다.

비싸고 다소 투박한 독일제 창문 손잡이에 맞서 저렴하면서도 세련되고 다양한 디자인으로 승부를 건 것이 주효했습니다.

내년 FTA까지 발효되면 10년 안에 14% 관세도 철폐될 예정입니다.

<인터뷰> 이재선(씨에스테크 대표이사) : "가격 경쟁력이 확보되면 시장 진출이 훨씬 더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질병 진단기계를 생산하는 이 업체는 중국 업체와 협력을 조건으로 수출 계약을 맺었습니다.

내년 한중 FTA가 발효되면 5년 내에 4% 관세가 없어지지만, 중국 보건 당국의 인증을 받아야 수출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권성훈(퀸타매트릭스 대표이사) : "비관세 장벽을 낮추기 위해서 이제 어쩔 수 없이 중국업체들이랑 같이 협력을 하는 그런 부분입니다."

때문에 FTA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관세 철폐는 물론 인증 같은 비관세 장벽을 낮추는 것도 중요합니다.

<인터뷰> 김재홍(코트라 사장) : "그것은 민간 차원에서 노력하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정부가 전면에 나서서 정부와 유관기관과 같이 노력을 해야 합니다."

수출상담회에는 해외 바이어 450여 개사와 천 개가 넘는 중소기업이 참여했으며, 57개 기업은 합동 수출 계약도 맺었습니다.

KBS 뉴스 홍찬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