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부터 ‘말기암 환자’ 가정 호스피스 받는다
입력 2016.02.27 (07:27)
수정 2016.02.27 (08: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말기암 환자들이 편안하게 생을 마무리할 수 있게 돕는 완화 의료가 호스피스인데요.
지금까지는 호스피스는 입원해야만 받을 수 있었는데 다음달부터는 집에서도 받을 수 있게 돼 이용 환자가 더욱 늘 것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윤 상 기자입니다.
<리포트>
말기암 환자들이 있는 호스피스 전문 병동입니다.
5년 전 걸린 충수암이 복막으로까지 퍼진 40대 환자.
약물로 통증을 관리하고, 발 마시지를 받으며 긴장을 풉니다.
10년 전 입원형 호스피스 제도가 도입된 뒤 이용 환자는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인터뷰> 강진숙(호스피스 이용 보호자) : "어차피 나을 수 있는 병이 아니라서 고통을 줄이기 위해서 통증 조절을 하니까 좋은 것 같아요"
<인터뷰> 최윤선(고대구로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신체적 뿐만 아니라 영적 심리적으로 적극적으로 증상을 조절해 줄 수 있는 하나의 의료라는 걸 인식하는 것도 있고요"
하지만 국내 이용률은 아직 14%로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다음달부터는 호스피스를 집에서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일단 시범적으로 시작되며 건강보험도 적용됩니다.
암환자 10명 중 9명이 가정 호스피스를 원할 정도로 수요는 많습니다.
<인터뷰> 이재용(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장) : "가정형 호스피스 제도 도입을 통해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이 높아지고, 또 호스피스 제도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아울러 내년 하반기부터는 암 환자 뿐 아니라 만성폐쇄성 호흡기질환, 만성간경화 등으로 대상 환자도 확대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윤상입니다.
말기암 환자들이 편안하게 생을 마무리할 수 있게 돕는 완화 의료가 호스피스인데요.
지금까지는 호스피스는 입원해야만 받을 수 있었는데 다음달부터는 집에서도 받을 수 있게 돼 이용 환자가 더욱 늘 것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윤 상 기자입니다.
<리포트>
말기암 환자들이 있는 호스피스 전문 병동입니다.
5년 전 걸린 충수암이 복막으로까지 퍼진 40대 환자.
약물로 통증을 관리하고, 발 마시지를 받으며 긴장을 풉니다.
10년 전 입원형 호스피스 제도가 도입된 뒤 이용 환자는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인터뷰> 강진숙(호스피스 이용 보호자) : "어차피 나을 수 있는 병이 아니라서 고통을 줄이기 위해서 통증 조절을 하니까 좋은 것 같아요"
<인터뷰> 최윤선(고대구로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신체적 뿐만 아니라 영적 심리적으로 적극적으로 증상을 조절해 줄 수 있는 하나의 의료라는 걸 인식하는 것도 있고요"
하지만 국내 이용률은 아직 14%로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다음달부터는 호스피스를 집에서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일단 시범적으로 시작되며 건강보험도 적용됩니다.
암환자 10명 중 9명이 가정 호스피스를 원할 정도로 수요는 많습니다.
<인터뷰> 이재용(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장) : "가정형 호스피스 제도 도입을 통해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이 높아지고, 또 호스피스 제도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아울러 내년 하반기부터는 암 환자 뿐 아니라 만성폐쇄성 호흡기질환, 만성간경화 등으로 대상 환자도 확대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윤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내달부터 ‘말기암 환자’ 가정 호스피스 받는다
-
- 입력 2016-02-27 07:29:43
- 수정2016-02-27 08:06:23

<앵커 멘트>
말기암 환자들이 편안하게 생을 마무리할 수 있게 돕는 완화 의료가 호스피스인데요.
지금까지는 호스피스는 입원해야만 받을 수 있었는데 다음달부터는 집에서도 받을 수 있게 돼 이용 환자가 더욱 늘 것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윤 상 기자입니다.
<리포트>
말기암 환자들이 있는 호스피스 전문 병동입니다.
5년 전 걸린 충수암이 복막으로까지 퍼진 40대 환자.
약물로 통증을 관리하고, 발 마시지를 받으며 긴장을 풉니다.
10년 전 입원형 호스피스 제도가 도입된 뒤 이용 환자는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인터뷰> 강진숙(호스피스 이용 보호자) : "어차피 나을 수 있는 병이 아니라서 고통을 줄이기 위해서 통증 조절을 하니까 좋은 것 같아요"
<인터뷰> 최윤선(고대구로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신체적 뿐만 아니라 영적 심리적으로 적극적으로 증상을 조절해 줄 수 있는 하나의 의료라는 걸 인식하는 것도 있고요"
하지만 국내 이용률은 아직 14%로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다음달부터는 호스피스를 집에서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일단 시범적으로 시작되며 건강보험도 적용됩니다.
암환자 10명 중 9명이 가정 호스피스를 원할 정도로 수요는 많습니다.
<인터뷰> 이재용(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장) : "가정형 호스피스 제도 도입을 통해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이 높아지고, 또 호스피스 제도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아울러 내년 하반기부터는 암 환자 뿐 아니라 만성폐쇄성 호흡기질환, 만성간경화 등으로 대상 환자도 확대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윤상입니다.
말기암 환자들이 편안하게 생을 마무리할 수 있게 돕는 완화 의료가 호스피스인데요.
지금까지는 호스피스는 입원해야만 받을 수 있었는데 다음달부터는 집에서도 받을 수 있게 돼 이용 환자가 더욱 늘 것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윤 상 기자입니다.
<리포트>
말기암 환자들이 있는 호스피스 전문 병동입니다.
5년 전 걸린 충수암이 복막으로까지 퍼진 40대 환자.
약물로 통증을 관리하고, 발 마시지를 받으며 긴장을 풉니다.
10년 전 입원형 호스피스 제도가 도입된 뒤 이용 환자는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인터뷰> 강진숙(호스피스 이용 보호자) : "어차피 나을 수 있는 병이 아니라서 고통을 줄이기 위해서 통증 조절을 하니까 좋은 것 같아요"
<인터뷰> 최윤선(고대구로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신체적 뿐만 아니라 영적 심리적으로 적극적으로 증상을 조절해 줄 수 있는 하나의 의료라는 걸 인식하는 것도 있고요"
하지만 국내 이용률은 아직 14%로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다음달부터는 호스피스를 집에서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일단 시범적으로 시작되며 건강보험도 적용됩니다.
암환자 10명 중 9명이 가정 호스피스를 원할 정도로 수요는 많습니다.
<인터뷰> 이재용(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장) : "가정형 호스피스 제도 도입을 통해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이 높아지고, 또 호스피스 제도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아울러 내년 하반기부터는 암 환자 뿐 아니라 만성폐쇄성 호흡기질환, 만성간경화 등으로 대상 환자도 확대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윤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