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일 근무, 생활이 바뀐다
입력 2002.05.25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는 7월 1일부터 금융권에서 주 5일 근무제가 실시됨에 따라 주5일 근무는 전국적으로 더 확산될 전망입니다.
주 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생활의 긍정적인 변화와 부작용을 정제혁, 연규선 두 기자가 집중 취재했습니다.
⊙기자: 금요일 오후 5시쯤 휴일을 앞둔 교직원들의 퇴근 채비가 바쁘기만 합니다.
이 대학은 지난해 9월부터 주5일 근무제를 해 오고 있습니다.
⊙한혜경(교직원): 친구들하고 토요일에 만나서 식사도 하고 취미생활도 같이 하고 여행도 짜서 같이 다닐 수 있게 된 점이 가장 좋은 것 같고요.
⊙기자: 서울 여의도공원의 금요일 오후 모습입니다.
넥타이를 풀고 캐주얼 복장으로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는 직장인들은 이제 더 이상 낯선 풍경이 아닙니다.
⊙김종흔(주5일제 근무 직장인): 출근 안 해도 되니까 땀 뻘뻘 흘리고 운동 많이 해도 부담 없고 참 좋은 것 같아요.
⊙하상훈(주5일제 근무 직장인): 회식도 없어요.
오히려 주중에 회식을 하고 금요일에는 일찍 귀가해서 가족들하고 보내죠.
⊙기자: 주 5일 근무로 생긴 여유시간에 뭔가를 배우는 열성파들도 있습니다.
박혜진 씨 등 직장여성 3명이 이탈리아 요리강습을 받고 있습니다.
이탈리아말로 식사예절도 배웁니다.
⊙인터뷰: 친 친, 본 아삐띠또! 너무 맛있어요.
⊙박혜진(회사원): 정말 배우고 싶었던 것을 배우게 되고 그래서 오늘 이 과정에 참여하니까 너무 즐겁고 성취감도 느끼게 되고...
⊙기자: 주 5일제 근무가 확산되면서 삶의 여유를 되찾기 위한 직장인들의 풍속도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KBS뉴스 정제혁입니다.
⊙기자: 동양생명은 벌써 2년째 주 5일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토요일에 쉬다 보니 금요일 오후에 야유회를 떠난 부서도 있습니다.
놀 때는 놀고 일할 때는 일한다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생산성도 10% 이상 높아졌습니다.
⊙김태현(동양생명 과장): 어차피 해야 될 업무량은 정해져 있는데 주5일을 하게 되니까 오히려 근무시간에 일에 대한 집중도는 더 높아지는 것 같아요.
⊙기자: 이처럼 주5일 근무의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일부 기업들은 도입을 꺼리고 있습니다.
공장을 24시간 가동해야 하는 산업이나 1년 내내 생산을 하는 제조업의 경우 인건비 상승을 가장 우려하고 있습니다.
⊙회사 관계자: 주조공장은 하루도 쉴 수 없는 공장이니까 교대근무 인원 증가로 인건비 상승 요인이...
⊙기자: 특히 자금사정이나 경쟁력에서 취약한 중소기업은 불이익이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은행권의 주5일 근무제 합의 이후 이를 도입하려는 기업들은 늘고 있습니다.
⊙한상철(기업체 노조사무국장): 주5일 근무만 가지고 설문을 했을 때는 누구나가 봐도 주5일 근무 좋아하죠.
⊙기자: 하지만 토요일에 근무를 안 하는 대신 휴가 사용분에 대한 임금지급을 놓고 노사간에 입장차이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주 5일 근무제를 전면적으로 도입하기에 앞서 사전에 충분한 준비기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뉴스 연규선입니다.
주 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생활의 긍정적인 변화와 부작용을 정제혁, 연규선 두 기자가 집중 취재했습니다.
⊙기자: 금요일 오후 5시쯤 휴일을 앞둔 교직원들의 퇴근 채비가 바쁘기만 합니다.
이 대학은 지난해 9월부터 주5일 근무제를 해 오고 있습니다.
⊙한혜경(교직원): 친구들하고 토요일에 만나서 식사도 하고 취미생활도 같이 하고 여행도 짜서 같이 다닐 수 있게 된 점이 가장 좋은 것 같고요.
⊙기자: 서울 여의도공원의 금요일 오후 모습입니다.
넥타이를 풀고 캐주얼 복장으로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는 직장인들은 이제 더 이상 낯선 풍경이 아닙니다.
⊙김종흔(주5일제 근무 직장인): 출근 안 해도 되니까 땀 뻘뻘 흘리고 운동 많이 해도 부담 없고 참 좋은 것 같아요.
⊙하상훈(주5일제 근무 직장인): 회식도 없어요.
오히려 주중에 회식을 하고 금요일에는 일찍 귀가해서 가족들하고 보내죠.
⊙기자: 주 5일 근무로 생긴 여유시간에 뭔가를 배우는 열성파들도 있습니다.
박혜진 씨 등 직장여성 3명이 이탈리아 요리강습을 받고 있습니다.
이탈리아말로 식사예절도 배웁니다.
⊙인터뷰: 친 친, 본 아삐띠또! 너무 맛있어요.
⊙박혜진(회사원): 정말 배우고 싶었던 것을 배우게 되고 그래서 오늘 이 과정에 참여하니까 너무 즐겁고 성취감도 느끼게 되고...
⊙기자: 주 5일제 근무가 확산되면서 삶의 여유를 되찾기 위한 직장인들의 풍속도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KBS뉴스 정제혁입니다.
⊙기자: 동양생명은 벌써 2년째 주 5일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토요일에 쉬다 보니 금요일 오후에 야유회를 떠난 부서도 있습니다.
놀 때는 놀고 일할 때는 일한다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생산성도 10% 이상 높아졌습니다.
⊙김태현(동양생명 과장): 어차피 해야 될 업무량은 정해져 있는데 주5일을 하게 되니까 오히려 근무시간에 일에 대한 집중도는 더 높아지는 것 같아요.
⊙기자: 이처럼 주5일 근무의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일부 기업들은 도입을 꺼리고 있습니다.
공장을 24시간 가동해야 하는 산업이나 1년 내내 생산을 하는 제조업의 경우 인건비 상승을 가장 우려하고 있습니다.
⊙회사 관계자: 주조공장은 하루도 쉴 수 없는 공장이니까 교대근무 인원 증가로 인건비 상승 요인이...
⊙기자: 특히 자금사정이나 경쟁력에서 취약한 중소기업은 불이익이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은행권의 주5일 근무제 합의 이후 이를 도입하려는 기업들은 늘고 있습니다.
⊙한상철(기업체 노조사무국장): 주5일 근무만 가지고 설문을 했을 때는 누구나가 봐도 주5일 근무 좋아하죠.
⊙기자: 하지만 토요일에 근무를 안 하는 대신 휴가 사용분에 대한 임금지급을 놓고 노사간에 입장차이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주 5일 근무제를 전면적으로 도입하기에 앞서 사전에 충분한 준비기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뉴스 연규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5일 근무, 생활이 바뀐다
-
- 입력 2002-05-25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오는 7월 1일부터 금융권에서 주 5일 근무제가 실시됨에 따라 주5일 근무는 전국적으로 더 확산될 전망입니다.
주 5일 근무제 도입에 따른 생활의 긍정적인 변화와 부작용을 정제혁, 연규선 두 기자가 집중 취재했습니다.
⊙기자: 금요일 오후 5시쯤 휴일을 앞둔 교직원들의 퇴근 채비가 바쁘기만 합니다.
이 대학은 지난해 9월부터 주5일 근무제를 해 오고 있습니다.
⊙한혜경(교직원): 친구들하고 토요일에 만나서 식사도 하고 취미생활도 같이 하고 여행도 짜서 같이 다닐 수 있게 된 점이 가장 좋은 것 같고요.
⊙기자: 서울 여의도공원의 금요일 오후 모습입니다.
넥타이를 풀고 캐주얼 복장으로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는 직장인들은 이제 더 이상 낯선 풍경이 아닙니다.
⊙김종흔(주5일제 근무 직장인): 출근 안 해도 되니까 땀 뻘뻘 흘리고 운동 많이 해도 부담 없고 참 좋은 것 같아요.
⊙하상훈(주5일제 근무 직장인): 회식도 없어요.
오히려 주중에 회식을 하고 금요일에는 일찍 귀가해서 가족들하고 보내죠.
⊙기자: 주 5일 근무로 생긴 여유시간에 뭔가를 배우는 열성파들도 있습니다.
박혜진 씨 등 직장여성 3명이 이탈리아 요리강습을 받고 있습니다.
이탈리아말로 식사예절도 배웁니다.
⊙인터뷰: 친 친, 본 아삐띠또! 너무 맛있어요.
⊙박혜진(회사원): 정말 배우고 싶었던 것을 배우게 되고 그래서 오늘 이 과정에 참여하니까 너무 즐겁고 성취감도 느끼게 되고...
⊙기자: 주 5일제 근무가 확산되면서 삶의 여유를 되찾기 위한 직장인들의 풍속도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KBS뉴스 정제혁입니다.
⊙기자: 동양생명은 벌써 2년째 주 5일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토요일에 쉬다 보니 금요일 오후에 야유회를 떠난 부서도 있습니다.
놀 때는 놀고 일할 때는 일한다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생산성도 10% 이상 높아졌습니다.
⊙김태현(동양생명 과장): 어차피 해야 될 업무량은 정해져 있는데 주5일을 하게 되니까 오히려 근무시간에 일에 대한 집중도는 더 높아지는 것 같아요.
⊙기자: 이처럼 주5일 근무의 긍정적인 효과에도 불구하고 일부 기업들은 도입을 꺼리고 있습니다.
공장을 24시간 가동해야 하는 산업이나 1년 내내 생산을 하는 제조업의 경우 인건비 상승을 가장 우려하고 있습니다.
⊙회사 관계자: 주조공장은 하루도 쉴 수 없는 공장이니까 교대근무 인원 증가로 인건비 상승 요인이...
⊙기자: 특히 자금사정이나 경쟁력에서 취약한 중소기업은 불이익이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은행권의 주5일 근무제 합의 이후 이를 도입하려는 기업들은 늘고 있습니다.
⊙한상철(기업체 노조사무국장): 주5일 근무만 가지고 설문을 했을 때는 누구나가 봐도 주5일 근무 좋아하죠.
⊙기자: 하지만 토요일에 근무를 안 하는 대신 휴가 사용분에 대한 임금지급을 놓고 노사간에 입장차이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주 5일 근무제를 전면적으로 도입하기에 앞서 사전에 충분한 준비기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뉴스 연규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