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베일 벗는 월성…통일신라 관청 발견
입력 2016.03.31 (06:54) 수정 2016.03.31 (07:53)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신라 천년의 왕궁이었던 경주 월성에서 지난해부터 발굴조사가 진행중인데요, 그 성과가 처음 공개됐습니다.
관청으로 추정되는 통일신라 후기 건물터와 성벽, 수백여 점의 유물들이 함께 발굴됐습니다.
정혜미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거대한 규모의 건물터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건물을 올리는 데 썼던 돌들도 군데군데 모여있습니다.
가로, 세로 51미터 규모에 담장 안팎으로 건물 14개동이 배치돼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건물터 안에서는 이런 벼루 50점이 발견됐는데요.
때문에 이 건물터는 궁궐 안에서 문서작업을 했던 관청으로 보입니다.
건물터 아래에서는 4세기부터 9세기까지 걸쳐 쌓은 9개 토층도 발견됐습니다.
각 층에서는 토기와 기와, 그릇 등 시대별 유물들이 대거 발굴돼 6백년 가까운 시간동안 왕궁 등 관련 시설을 고쳐서 쌓은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이종훈(신라 월성 학술조사단) : "토층을 조사한 그 지점에서는 사람들의 행위들, 인위적인 행위들, 사람들이 생활을 한 흔적들을 찾을 수 있었다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월성을 둘러싼 길이 2킬로미터의 성벽과 함께 지금까지 발견된 적이 없는 형태의 특수기와 수십 점도 발굴됐습니다.
<인터뷰> 심영섭(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장) : "해자와 성벽, 문지 이 부분에 대해서, 월성의 외연 부분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집중적으로 조사할 계획입니다."
신라 천년의 왕궁 문화를 고스란히 간직한 월성유적에서 고대 왕실의 삶이 조금씩 모습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혜미입니다.
신라 천년의 왕궁이었던 경주 월성에서 지난해부터 발굴조사가 진행중인데요, 그 성과가 처음 공개됐습니다.
관청으로 추정되는 통일신라 후기 건물터와 성벽, 수백여 점의 유물들이 함께 발굴됐습니다.
정혜미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거대한 규모의 건물터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건물을 올리는 데 썼던 돌들도 군데군데 모여있습니다.
가로, 세로 51미터 규모에 담장 안팎으로 건물 14개동이 배치돼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건물터 안에서는 이런 벼루 50점이 발견됐는데요.
때문에 이 건물터는 궁궐 안에서 문서작업을 했던 관청으로 보입니다.
건물터 아래에서는 4세기부터 9세기까지 걸쳐 쌓은 9개 토층도 발견됐습니다.
각 층에서는 토기와 기와, 그릇 등 시대별 유물들이 대거 발굴돼 6백년 가까운 시간동안 왕궁 등 관련 시설을 고쳐서 쌓은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이종훈(신라 월성 학술조사단) : "토층을 조사한 그 지점에서는 사람들의 행위들, 인위적인 행위들, 사람들이 생활을 한 흔적들을 찾을 수 있었다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월성을 둘러싼 길이 2킬로미터의 성벽과 함께 지금까지 발견된 적이 없는 형태의 특수기와 수십 점도 발굴됐습니다.
<인터뷰> 심영섭(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장) : "해자와 성벽, 문지 이 부분에 대해서, 월성의 외연 부분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집중적으로 조사할 계획입니다."
신라 천년의 왕궁 문화를 고스란히 간직한 월성유적에서 고대 왕실의 삶이 조금씩 모습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혜미입니다.
- 베일 벗는 월성…통일신라 관청 발견
-
- 입력 2016-03-31 06:57:29
- 수정2016-03-31 07:53:10

<앵커 멘트>
신라 천년의 왕궁이었던 경주 월성에서 지난해부터 발굴조사가 진행중인데요, 그 성과가 처음 공개됐습니다.
관청으로 추정되는 통일신라 후기 건물터와 성벽, 수백여 점의 유물들이 함께 발굴됐습니다.
정혜미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거대한 규모의 건물터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건물을 올리는 데 썼던 돌들도 군데군데 모여있습니다.
가로, 세로 51미터 규모에 담장 안팎으로 건물 14개동이 배치돼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건물터 안에서는 이런 벼루 50점이 발견됐는데요.
때문에 이 건물터는 궁궐 안에서 문서작업을 했던 관청으로 보입니다.
건물터 아래에서는 4세기부터 9세기까지 걸쳐 쌓은 9개 토층도 발견됐습니다.
각 층에서는 토기와 기와, 그릇 등 시대별 유물들이 대거 발굴돼 6백년 가까운 시간동안 왕궁 등 관련 시설을 고쳐서 쌓은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이종훈(신라 월성 학술조사단) : "토층을 조사한 그 지점에서는 사람들의 행위들, 인위적인 행위들, 사람들이 생활을 한 흔적들을 찾을 수 있었다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월성을 둘러싼 길이 2킬로미터의 성벽과 함께 지금까지 발견된 적이 없는 형태의 특수기와 수십 점도 발굴됐습니다.
<인터뷰> 심영섭(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장) : "해자와 성벽, 문지 이 부분에 대해서, 월성의 외연 부분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집중적으로 조사할 계획입니다."
신라 천년의 왕궁 문화를 고스란히 간직한 월성유적에서 고대 왕실의 삶이 조금씩 모습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혜미입니다.
신라 천년의 왕궁이었던 경주 월성에서 지난해부터 발굴조사가 진행중인데요, 그 성과가 처음 공개됐습니다.
관청으로 추정되는 통일신라 후기 건물터와 성벽, 수백여 점의 유물들이 함께 발굴됐습니다.
정혜미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거대한 규모의 건물터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건물을 올리는 데 썼던 돌들도 군데군데 모여있습니다.
가로, 세로 51미터 규모에 담장 안팎으로 건물 14개동이 배치돼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건물터 안에서는 이런 벼루 50점이 발견됐는데요.
때문에 이 건물터는 궁궐 안에서 문서작업을 했던 관청으로 보입니다.
건물터 아래에서는 4세기부터 9세기까지 걸쳐 쌓은 9개 토층도 발견됐습니다.
각 층에서는 토기와 기와, 그릇 등 시대별 유물들이 대거 발굴돼 6백년 가까운 시간동안 왕궁 등 관련 시설을 고쳐서 쌓은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이종훈(신라 월성 학술조사단) : "토층을 조사한 그 지점에서는 사람들의 행위들, 인위적인 행위들, 사람들이 생활을 한 흔적들을 찾을 수 있었다는 데 의미가 있습니다."
월성을 둘러싼 길이 2킬로미터의 성벽과 함께 지금까지 발견된 적이 없는 형태의 특수기와 수십 점도 발굴됐습니다.
<인터뷰> 심영섭(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장) : "해자와 성벽, 문지 이 부분에 대해서, 월성의 외연 부분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집중적으로 조사할 계획입니다."
신라 천년의 왕궁 문화를 고스란히 간직한 월성유적에서 고대 왕실의 삶이 조금씩 모습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정혜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정혜미 기자 with@kbs.co.kr
정혜미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