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北 GPS 교란 지속…‘항재밍’ 기술은?

입력 2016.04.05 (21:22) 수정 2016.04.05 (22: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한의 GPS 전파 교란이 오늘(5일)까지 6일째 계속되고 있습니다.

현재 영향을 받는 곳은 휴전선 인근 해상이나 강원도 철원 지역 등에 한정돼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이 전파 교란 강도를 높이면 방해 전파가 100㎞까지 퍼져 수도권 전역이 영향권에 포함됩니다.

이렇게 되면 버스 관제 시스템이나 스마트폰을 이용한 일부 금융 시스템 등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보다 더 우려가 큰 것은 우리 군의 무기 체계인데요.

군의 대비 태세를 장덕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北 GPS 교란…軍, 관망 속 고심 중▼

<리포트>

우리 공군의 정밀 유도폭탄 'JDAM'입니다.

최대 3미터의 강화 콘크리트를 뚫을 수 있어 북한의 지하 군 시설에 대한 강력한 타격 수단으로 꼽힙니다.

방해전파 차단 능력을 갖춘 군용 GPS를 사용해 전파 교란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F-15K와 이지스함 등 우리 군의 첨단 무기들도 대부분 군용 GP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파 방해에 취약한 상용 GPS를 사용하는 무기 체계도 적지 않습니다.

도입한 지 오래됐거나 군용 GPS 기술을 적용하지 못한 무기들입니다.

군은 보완 항법장비나 수동 전환을 통해 GPS 전파 교란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무기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녹취> 서지원(연세대 글로벌융합공학부 교수) : "아무래도 정밀도가 떨어지겠죠. 미사일 같은 경우에. GPS가 안 되면 관성항법 장치로만 날아간다면 목표물에 적중할 수 있는 명중률이 더 떨어지겠죠."

북한의 GPS 교란이 계속되고 있지만, 군은 일단 직접적인 대응은 자제하고 있습니다.

기술적으로 GPS 교란을 차단하기가 쉽지 않은 데다 대응 전파를 쏘는 게 국제법 규정에 어긋나기 때문입니다.

군은 만일 북한의 GPS 교란으로 항공기 사고 등 중대한 피해가 발생한다면, 응분의 대가를 치르게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장덕수입니다.

▼항재밍 기술…방식과 한계는?▼

<기자 멘트>

GPS 신호 교란에 대응하는 이른바 항-재밍(anti-jamming) 기술은 여러 형태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군이 고려하는 방식은 이른바 '지상 위성' 시스템으로 알려졌습니다.

공중에 고출력 중계 송신기를 띄워서 GPS 전파를 증폭해 교란 신호를 무력화하는 기술입니다.

고출력 신호가 미치는 곳에서는 1차 대응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호가 미치는 범위가 좁고, 고정식으로 운용될 경우 적의 공격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민간에서는 또 다른 위성 신호를 활용하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지구 궤도에는 미국이 주도하는 GPS뿐 아니라 유럽의 갈릴레오 위성, 러시아 글로나스 등 다양한 위치 정보용 위성들이 있습니다.

GPS 위성 신호에 또 다른 위성 신호까지 활용하는 이른바 '안테나 확장'으로, 정확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 역시 적의 교란 전파 출력이 높아지면 전파 교란을 완전히 피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밖에 교란 방지 안테나를 세워 방해 전파를 제거하고 수신하는 소극적인 방식도 있지만 추가 설치 비용이 문제입니다.

아직 완벽한 대응 방법은 없는 상황인데, 그나마 국내에서는 과도한 규제에 묶여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 자체가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건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항재밍 기술 개발…‘전파법’이 걸림돌▼

<리포트>

북한의 GPS 전파 교란이 나흘째 이어진 지난 3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한국전력 서울지역본부를 찾았습니다.

한강 이북 178만 가구의 전력 수급 상황을 통제하는 이곳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에 GPS가 활용되고 있습니다.

수도권까지 GPS 전파 혼선이 발생할 경우, 전력망에도 영향이 미칠 수 있는 겁니다.

한전은 별다른 피해가 없을 것으로 자신하지만 GPS 교란 자체를 막을 항재밍 기술은 아직 마땅치 않습니다.

일부 이동통신사가 이처럼 기지국 안테나에 방해전파 차단장치를 설치했지만 통신장애 이외의 전방위적인 혼란을 막기에는 아직 역부족입니다.

캐나다와 영국 업체가 공동 개발한 항재밍 장비, 일명 가젯입니다.

지름 29센티미터의 작은 크기지만 교란 전파 대부분을 막아낼 수 있습니다.

반면, 국내에서는 규제에 묶여 관련 연구조차 수월하지 못합니다.

전파법 58조에 따라 다른 통신에 방해를 주지 않을 경우에만 전파 발생 설비를 허가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녹취> 김용대(카이스트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 "(실험용)GPS 신호를 생성할 경우에 기존의 다른 상용 시스템에 영향을 줄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허락을 못 한다고 얘기를 들었습니다."

국민 안전을 위한 제도가 전파 교란이라는 공격 앞에서는 오히려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건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北 GPS 교란 지속…‘항재밍’ 기술은?
    • 입력 2016-04-05 21:23:44
    • 수정2016-04-05 22:30:25
    뉴스 9
<앵커 멘트>

북한의 GPS 전파 교란이 오늘(5일)까지 6일째 계속되고 있습니다.

현재 영향을 받는 곳은 휴전선 인근 해상이나 강원도 철원 지역 등에 한정돼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이 전파 교란 강도를 높이면 방해 전파가 100㎞까지 퍼져 수도권 전역이 영향권에 포함됩니다.

이렇게 되면 버스 관제 시스템이나 스마트폰을 이용한 일부 금융 시스템 등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보다 더 우려가 큰 것은 우리 군의 무기 체계인데요.

군의 대비 태세를 장덕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北 GPS 교란…軍, 관망 속 고심 중▼

<리포트>

우리 공군의 정밀 유도폭탄 'JDAM'입니다.

최대 3미터의 강화 콘크리트를 뚫을 수 있어 북한의 지하 군 시설에 대한 강력한 타격 수단으로 꼽힙니다.

방해전파 차단 능력을 갖춘 군용 GPS를 사용해 전파 교란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F-15K와 이지스함 등 우리 군의 첨단 무기들도 대부분 군용 GP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파 방해에 취약한 상용 GPS를 사용하는 무기 체계도 적지 않습니다.

도입한 지 오래됐거나 군용 GPS 기술을 적용하지 못한 무기들입니다.

군은 보완 항법장비나 수동 전환을 통해 GPS 전파 교란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무기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녹취> 서지원(연세대 글로벌융합공학부 교수) : "아무래도 정밀도가 떨어지겠죠. 미사일 같은 경우에. GPS가 안 되면 관성항법 장치로만 날아간다면 목표물에 적중할 수 있는 명중률이 더 떨어지겠죠."

북한의 GPS 교란이 계속되고 있지만, 군은 일단 직접적인 대응은 자제하고 있습니다.

기술적으로 GPS 교란을 차단하기가 쉽지 않은 데다 대응 전파를 쏘는 게 국제법 규정에 어긋나기 때문입니다.

군은 만일 북한의 GPS 교란으로 항공기 사고 등 중대한 피해가 발생한다면, 응분의 대가를 치르게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장덕수입니다.

▼항재밍 기술…방식과 한계는?▼

<기자 멘트>

GPS 신호 교란에 대응하는 이른바 항-재밍(anti-jamming) 기술은 여러 형태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군이 고려하는 방식은 이른바 '지상 위성' 시스템으로 알려졌습니다.

공중에 고출력 중계 송신기를 띄워서 GPS 전파를 증폭해 교란 신호를 무력화하는 기술입니다.

고출력 신호가 미치는 곳에서는 1차 대응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호가 미치는 범위가 좁고, 고정식으로 운용될 경우 적의 공격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민간에서는 또 다른 위성 신호를 활용하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지구 궤도에는 미국이 주도하는 GPS뿐 아니라 유럽의 갈릴레오 위성, 러시아 글로나스 등 다양한 위치 정보용 위성들이 있습니다.

GPS 위성 신호에 또 다른 위성 신호까지 활용하는 이른바 '안테나 확장'으로, 정확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 역시 적의 교란 전파 출력이 높아지면 전파 교란을 완전히 피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밖에 교란 방지 안테나를 세워 방해 전파를 제거하고 수신하는 소극적인 방식도 있지만 추가 설치 비용이 문제입니다.

아직 완벽한 대응 방법은 없는 상황인데, 그나마 국내에서는 과도한 규제에 묶여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 자체가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건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항재밍 기술 개발…‘전파법’이 걸림돌▼

<리포트>

북한의 GPS 전파 교란이 나흘째 이어진 지난 3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이 한국전력 서울지역본부를 찾았습니다.

한강 이북 178만 가구의 전력 수급 상황을 통제하는 이곳의 원격감시 제어시스템에 GPS가 활용되고 있습니다.

수도권까지 GPS 전파 혼선이 발생할 경우, 전력망에도 영향이 미칠 수 있는 겁니다.

한전은 별다른 피해가 없을 것으로 자신하지만 GPS 교란 자체를 막을 항재밍 기술은 아직 마땅치 않습니다.

일부 이동통신사가 이처럼 기지국 안테나에 방해전파 차단장치를 설치했지만 통신장애 이외의 전방위적인 혼란을 막기에는 아직 역부족입니다.

캐나다와 영국 업체가 공동 개발한 항재밍 장비, 일명 가젯입니다.

지름 29센티미터의 작은 크기지만 교란 전파 대부분을 막아낼 수 있습니다.

반면, 국내에서는 규제에 묶여 관련 연구조차 수월하지 못합니다.

전파법 58조에 따라 다른 통신에 방해를 주지 않을 경우에만 전파 발생 설비를 허가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녹취> 김용대(카이스트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 "(실험용)GPS 신호를 생성할 경우에 기존의 다른 상용 시스템에 영향을 줄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허락을 못 한다고 얘기를 들었습니다."

국민 안전을 위한 제도가 전파 교란이라는 공격 앞에서는 오히려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건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