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中, 소액 ‘해외직구’에 과세…인터넷 상거래 타격
입력 2016.04.18 (09:38) 수정 2016.04.18 (10:14) 930뉴스
<앵커 멘트>
중국 정부가 최근 소액 '해외 직구' 상품에 대한 면세 혜택을 전면 폐지했는데요.
그동안 화장품과 의류 등 중국 수출이 급성장하고 있는 우리 전자 상거래 업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베이징 오세균 특파원 보도입니다.
<리포트>
중국 정부는 그동안 50위안, 8천8백 원 미만 해외 직구 상품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지난 8일부터 제품가격의 11.9%를 세금으로 부과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우리 주력 수출품인 화장품은 41.9%의 세금을 내야 합니다.
<인터뷰> 장레이(중국 인터넷 쇼핑몰 대표) : "지난해 한국 상품에 대한 직접구매, 예를 들면 유아용품이나 생활용품, 식품 등에 대한 구매가 급증했는데 이에 대한 세금이 부과됐습니다."
중국정부는 또 온라인 해외 직구가 가능한 품목을 천 백여 개로 제한하고 화장품과 식품에 대해서는 보건당국의 사전 인증까지 받도록 했습니다.
<인터뷰> 김기수(전자 상거래 업체 대표) : "갑작스러운 중국 정부의 세금 정책 변경에 따라 저가의 위생허가를 필요로 하는 상품들을 유통할 수 있는 길이 막혔습니다."
국내 업체들은 과세에 따른 중국 소비자들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재홍(코트라 사장) : "중국의 유명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서 품질 좋은 우리 상품이 소개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업계는 지난해 대 중국 역직구 규모가 3천5백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세제 개편으로 우리 수출기업에 상당한 타격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오세균입니다.
중국 정부가 최근 소액 '해외 직구' 상품에 대한 면세 혜택을 전면 폐지했는데요.
그동안 화장품과 의류 등 중국 수출이 급성장하고 있는 우리 전자 상거래 업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베이징 오세균 특파원 보도입니다.
<리포트>
중국 정부는 그동안 50위안, 8천8백 원 미만 해외 직구 상품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지난 8일부터 제품가격의 11.9%를 세금으로 부과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우리 주력 수출품인 화장품은 41.9%의 세금을 내야 합니다.
<인터뷰> 장레이(중국 인터넷 쇼핑몰 대표) : "지난해 한국 상품에 대한 직접구매, 예를 들면 유아용품이나 생활용품, 식품 등에 대한 구매가 급증했는데 이에 대한 세금이 부과됐습니다."
중국정부는 또 온라인 해외 직구가 가능한 품목을 천 백여 개로 제한하고 화장품과 식품에 대해서는 보건당국의 사전 인증까지 받도록 했습니다.
<인터뷰> 김기수(전자 상거래 업체 대표) : "갑작스러운 중국 정부의 세금 정책 변경에 따라 저가의 위생허가를 필요로 하는 상품들을 유통할 수 있는 길이 막혔습니다."
국내 업체들은 과세에 따른 중국 소비자들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재홍(코트라 사장) : "중국의 유명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서 품질 좋은 우리 상품이 소개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업계는 지난해 대 중국 역직구 규모가 3천5백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세제 개편으로 우리 수출기업에 상당한 타격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오세균입니다.
- 中, 소액 ‘해외직구’에 과세…인터넷 상거래 타격
-
- 입력 2016-04-18 09:39:47
- 수정2016-04-18 10:14:30

<앵커 멘트>
중국 정부가 최근 소액 '해외 직구' 상품에 대한 면세 혜택을 전면 폐지했는데요.
그동안 화장품과 의류 등 중국 수출이 급성장하고 있는 우리 전자 상거래 업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베이징 오세균 특파원 보도입니다.
<리포트>
중국 정부는 그동안 50위안, 8천8백 원 미만 해외 직구 상품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지난 8일부터 제품가격의 11.9%를 세금으로 부과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우리 주력 수출품인 화장품은 41.9%의 세금을 내야 합니다.
<인터뷰> 장레이(중국 인터넷 쇼핑몰 대표) : "지난해 한국 상품에 대한 직접구매, 예를 들면 유아용품이나 생활용품, 식품 등에 대한 구매가 급증했는데 이에 대한 세금이 부과됐습니다."
중국정부는 또 온라인 해외 직구가 가능한 품목을 천 백여 개로 제한하고 화장품과 식품에 대해서는 보건당국의 사전 인증까지 받도록 했습니다.
<인터뷰> 김기수(전자 상거래 업체 대표) : "갑작스러운 중국 정부의 세금 정책 변경에 따라 저가의 위생허가를 필요로 하는 상품들을 유통할 수 있는 길이 막혔습니다."
국내 업체들은 과세에 따른 중국 소비자들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재홍(코트라 사장) : "중국의 유명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서 품질 좋은 우리 상품이 소개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업계는 지난해 대 중국 역직구 규모가 3천5백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세제 개편으로 우리 수출기업에 상당한 타격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오세균입니다.
중국 정부가 최근 소액 '해외 직구' 상품에 대한 면세 혜택을 전면 폐지했는데요.
그동안 화장품과 의류 등 중국 수출이 급성장하고 있는 우리 전자 상거래 업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베이징 오세균 특파원 보도입니다.
<리포트>
중국 정부는 그동안 50위안, 8천8백 원 미만 해외 직구 상품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지난 8일부터 제품가격의 11.9%를 세금으로 부과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우리 주력 수출품인 화장품은 41.9%의 세금을 내야 합니다.
<인터뷰> 장레이(중국 인터넷 쇼핑몰 대표) : "지난해 한국 상품에 대한 직접구매, 예를 들면 유아용품이나 생활용품, 식품 등에 대한 구매가 급증했는데 이에 대한 세금이 부과됐습니다."
중국정부는 또 온라인 해외 직구가 가능한 품목을 천 백여 개로 제한하고 화장품과 식품에 대해서는 보건당국의 사전 인증까지 받도록 했습니다.
<인터뷰> 김기수(전자 상거래 업체 대표) : "갑작스러운 중국 정부의 세금 정책 변경에 따라 저가의 위생허가를 필요로 하는 상품들을 유통할 수 있는 길이 막혔습니다."
국내 업체들은 과세에 따른 중국 소비자들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재홍(코트라 사장) : "중국의 유명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서 품질 좋은 우리 상품이 소개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업계는 지난해 대 중국 역직구 규모가 3천5백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세제 개편으로 우리 수출기업에 상당한 타격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오세균입니다.
930뉴스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오세균 기자 sko@kbs.co.kr
오세균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