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영상] 한국의 근현대 건축 ⑦ 구 서대문형무소
입력 2016.04.24 (09:06) 문화
서대문 형무소는 1908년 10월 21일 일제에 의해 '경성감옥'이라는 이름으로 개소됐다.
일제강점기 때는 주로 민족지도자와 독립운동가들이 수감 되었고, 해방 이후 1987년까지 서울 구치소로 이용되면서 민주화 운동 관련 인사들이 수감되는 등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을 품은 상징적 장소다.
3·1운동 때 유관순 열사가 갇혔던 지하 여자감옥, 윤봉길 의사가 복역중 만들었다는 붉은 벽돌, 여러 독립투사들이 투옥됐던 1평 남짓한 감옥들이 아직까지 남아 있다.
[한국의 근현대 건축 시리즈]
☞ ⑥ 구 부민관
☞ ⑤ 구 한국은행 본관
☞ ④ 구 벨기에 영사관
☞ ③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 ② 대한의원
☞ ① 독립문(獨立門)
일제강점기 때는 주로 민족지도자와 독립운동가들이 수감 되었고, 해방 이후 1987년까지 서울 구치소로 이용되면서 민주화 운동 관련 인사들이 수감되는 등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을 품은 상징적 장소다.
3·1운동 때 유관순 열사가 갇혔던 지하 여자감옥, 윤봉길 의사가 복역중 만들었다는 붉은 벽돌, 여러 독립투사들이 투옥됐던 1평 남짓한 감옥들이 아직까지 남아 있다.
[한국의 근현대 건축 시리즈]
☞ ⑥ 구 부민관
☞ ⑤ 구 한국은행 본관
☞ ④ 구 벨기에 영사관
☞ ③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 ② 대한의원
☞ ① 독립문(獨立門)
- [영상] 한국의 근현대 건축 ⑦ 구 서대문형무소
-
- 입력 2016-04-24 09:06:06

서대문 형무소는 1908년 10월 21일 일제에 의해 '경성감옥'이라는 이름으로 개소됐다.
일제강점기 때는 주로 민족지도자와 독립운동가들이 수감 되었고, 해방 이후 1987년까지 서울 구치소로 이용되면서 민주화 운동 관련 인사들이 수감되는 등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을 품은 상징적 장소다.
3·1운동 때 유관순 열사가 갇혔던 지하 여자감옥, 윤봉길 의사가 복역중 만들었다는 붉은 벽돌, 여러 독립투사들이 투옥됐던 1평 남짓한 감옥들이 아직까지 남아 있다.
[한국의 근현대 건축 시리즈]
☞ ⑥ 구 부민관
☞ ⑤ 구 한국은행 본관
☞ ④ 구 벨기에 영사관
☞ ③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 ② 대한의원
☞ ① 독립문(獨立門)
일제강점기 때는 주로 민족지도자와 독립운동가들이 수감 되었고, 해방 이후 1987년까지 서울 구치소로 이용되면서 민주화 운동 관련 인사들이 수감되는 등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을 품은 상징적 장소다.
3·1운동 때 유관순 열사가 갇혔던 지하 여자감옥, 윤봉길 의사가 복역중 만들었다는 붉은 벽돌, 여러 독립투사들이 투옥됐던 1평 남짓한 감옥들이 아직까지 남아 있다.
[한국의 근현대 건축 시리즈]
☞ ⑥ 구 부민관
☞ ⑤ 구 한국은행 본관
☞ ④ 구 벨기에 영사관
☞ ③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 ② 대한의원
☞ ① 독립문(獨立門)
- 기자 정보
-
-
박준영 기자 cong6412@kbs.co.kr
박준영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