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요일제 자동차세 감면’ 내년부터 폐지
입력 2016.05.03 (12:21)
수정 2016.05.03 (13: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서울시는 승용차 요일제에 참여하면 자동차세를 감면해주는 제도를 운영중인데요.
요일제를 위반하는 지에 대한 관리. 감독이 어렵다는 이유로 내년부터는 이러한 혜택이 아예 사라집니다.
김소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시의회는 승용차 요일제에 참여하는 차량에게 주던 '자동차세 5% 감면' 혜택을 내년부터 폐지하는 내용을 담은 조례 개정안을 오늘 본회의에서 통과시켰습니다.
승용차 요일제에 대한 관리와 감독이 미흡한 상황에서 제도의 본래 취지가 퇴색됐다는 이유입니다.
서울시의 승용차 요일제 참여 차량은 약 75만대에 달하는데 비해 운행 위반 차량에 대한 단속 지점은 10곳에 불과한 상황입니다.
시의회는 단속이 허술하다보니 일부 가입자가 혜택만 받고 전자태그를 떼는 등 위반 사례가 많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서울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100억 원이 넘는 자동차세를 감면해줬지만 교통량 감축 효과는 단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는 기존의 자동차세 감면 혜택을 없애는 대신 주행거리를 줄이면 인센티브를 주는 승용차 마일리지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서울시는 승용차 요일제에 참여하면 자동차세를 감면해주는 제도를 운영중인데요.
요일제를 위반하는 지에 대한 관리. 감독이 어렵다는 이유로 내년부터는 이러한 혜택이 아예 사라집니다.
김소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시의회는 승용차 요일제에 참여하는 차량에게 주던 '자동차세 5% 감면' 혜택을 내년부터 폐지하는 내용을 담은 조례 개정안을 오늘 본회의에서 통과시켰습니다.
승용차 요일제에 대한 관리와 감독이 미흡한 상황에서 제도의 본래 취지가 퇴색됐다는 이유입니다.
서울시의 승용차 요일제 참여 차량은 약 75만대에 달하는데 비해 운행 위반 차량에 대한 단속 지점은 10곳에 불과한 상황입니다.
시의회는 단속이 허술하다보니 일부 가입자가 혜택만 받고 전자태그를 떼는 등 위반 사례가 많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서울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100억 원이 넘는 자동차세를 감면해줬지만 교통량 감축 효과는 단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는 기존의 자동차세 감면 혜택을 없애는 대신 주행거리를 줄이면 인센티브를 주는 승용차 마일리지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요일제 자동차세 감면’ 내년부터 폐지
-
- 입력 2016-05-03 12:25:09
- 수정2016-05-03 13:26:51
<앵커 멘트>
서울시는 승용차 요일제에 참여하면 자동차세를 감면해주는 제도를 운영중인데요.
요일제를 위반하는 지에 대한 관리. 감독이 어렵다는 이유로 내년부터는 이러한 혜택이 아예 사라집니다.
김소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시의회는 승용차 요일제에 참여하는 차량에게 주던 '자동차세 5% 감면' 혜택을 내년부터 폐지하는 내용을 담은 조례 개정안을 오늘 본회의에서 통과시켰습니다.
승용차 요일제에 대한 관리와 감독이 미흡한 상황에서 제도의 본래 취지가 퇴색됐다는 이유입니다.
서울시의 승용차 요일제 참여 차량은 약 75만대에 달하는데 비해 운행 위반 차량에 대한 단속 지점은 10곳에 불과한 상황입니다.
시의회는 단속이 허술하다보니 일부 가입자가 혜택만 받고 전자태그를 떼는 등 위반 사례가 많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서울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100억 원이 넘는 자동차세를 감면해줬지만 교통량 감축 효과는 단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는 기존의 자동차세 감면 혜택을 없애는 대신 주행거리를 줄이면 인센티브를 주는 승용차 마일리지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서울시는 승용차 요일제에 참여하면 자동차세를 감면해주는 제도를 운영중인데요.
요일제를 위반하는 지에 대한 관리. 감독이 어렵다는 이유로 내년부터는 이러한 혜택이 아예 사라집니다.
김소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시의회는 승용차 요일제에 참여하는 차량에게 주던 '자동차세 5% 감면' 혜택을 내년부터 폐지하는 내용을 담은 조례 개정안을 오늘 본회의에서 통과시켰습니다.
승용차 요일제에 대한 관리와 감독이 미흡한 상황에서 제도의 본래 취지가 퇴색됐다는 이유입니다.
서울시의 승용차 요일제 참여 차량은 약 75만대에 달하는데 비해 운행 위반 차량에 대한 단속 지점은 10곳에 불과한 상황입니다.
시의회는 단속이 허술하다보니 일부 가입자가 혜택만 받고 전자태그를 떼는 등 위반 사례가 많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서울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100억 원이 넘는 자동차세를 감면해줬지만 교통량 감축 효과는 단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는 기존의 자동차세 감면 혜택을 없애는 대신 주행거리를 줄이면 인센티브를 주는 승용차 마일리지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
-
김소영 기자 sos@kbs.co.kr
김소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