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룩꽃’이 피었습니다”…주목받는 천연 효모
입력 2016.05.06 (21:41)
수정 2016.05.06 (22: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누룩, 보통 막걸리 원료로 알고 계시는데요.
최근, 빵을 만드는데 천연효모로 쓰이고 있습니다.
건강에도 좋고 외국으로부터 효모 수입도 줄이고, 제빵업계에서 누룩의 가치가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김영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스름 속에서 불을 밝힌 시골 빵집.
누룩으로 천연 발효빵을 만드는 곳입니다.
섭씨 27도 따뜻한 물에 잘게 썬 사과를 넣고 갈아줍니다.
설탕도 조금 더합니다.
빵 짓는 일꾼, 누룩 속 균들이 당을 좋아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조유성(시골 빵집 주인) : "미생물이 좋아하는 밥을 줘서, 얘네들이 빨리 24시간 안에 깨어날 수 있게끔…."
여기에 누룩을 넣어주고 하루쯤 발효시키면, 유산균,고초균,초산균 등 누룩 속 균이 깨어납니다.
찌꺼기를 건진 뒤 10시간 정도 더 발효를 시키면 빵을 부풀려줄 누룩 천연효모 완성.
밀가루와 어우러져 반죽이 되고, 오븐 속에서 열을 머금으면 긴 과정이 끝납니다.
천연 효모 덕분에 단백질 성분인 글루텐도 탄수화물도 거의 없습니다.
국내 한 제빵업체도 11년 연구 끝에 누룩에서 토종 천연 효모를 발굴해 대량화하는 데에 최근 성공했습니다.
연간 70억 원에 이르는 효모 수입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인터뷰> 김지영(경기도 광주시) : "웰빙 시대여서 건강에 좋은 빵을 찾다가 천연 효모빵을 찾게 됐어요."
막걸리 원료인 줄만 알았던 누룩의 변신, 빵에 건강과 부가가치를 더하는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인입니다.
누룩, 보통 막걸리 원료로 알고 계시는데요.
최근, 빵을 만드는데 천연효모로 쓰이고 있습니다.
건강에도 좋고 외국으로부터 효모 수입도 줄이고, 제빵업계에서 누룩의 가치가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김영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스름 속에서 불을 밝힌 시골 빵집.
누룩으로 천연 발효빵을 만드는 곳입니다.
섭씨 27도 따뜻한 물에 잘게 썬 사과를 넣고 갈아줍니다.
설탕도 조금 더합니다.
빵 짓는 일꾼, 누룩 속 균들이 당을 좋아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조유성(시골 빵집 주인) : "미생물이 좋아하는 밥을 줘서, 얘네들이 빨리 24시간 안에 깨어날 수 있게끔…."
여기에 누룩을 넣어주고 하루쯤 발효시키면, 유산균,고초균,초산균 등 누룩 속 균이 깨어납니다.
찌꺼기를 건진 뒤 10시간 정도 더 발효를 시키면 빵을 부풀려줄 누룩 천연효모 완성.
밀가루와 어우러져 반죽이 되고, 오븐 속에서 열을 머금으면 긴 과정이 끝납니다.
천연 효모 덕분에 단백질 성분인 글루텐도 탄수화물도 거의 없습니다.
국내 한 제빵업체도 11년 연구 끝에 누룩에서 토종 천연 효모를 발굴해 대량화하는 데에 최근 성공했습니다.
연간 70억 원에 이르는 효모 수입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인터뷰> 김지영(경기도 광주시) : "웰빙 시대여서 건강에 좋은 빵을 찾다가 천연 효모빵을 찾게 됐어요."
막걸리 원료인 줄만 알았던 누룩의 변신, 빵에 건강과 부가가치를 더하는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누룩꽃’이 피었습니다”…주목받는 천연 효모
-
- 입력 2016-05-06 21:45:31
- 수정2016-05-06 22:33:57
<앵커 멘트>
누룩, 보통 막걸리 원료로 알고 계시는데요.
최근, 빵을 만드는데 천연효모로 쓰이고 있습니다.
건강에도 좋고 외국으로부터 효모 수입도 줄이고, 제빵업계에서 누룩의 가치가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김영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스름 속에서 불을 밝힌 시골 빵집.
누룩으로 천연 발효빵을 만드는 곳입니다.
섭씨 27도 따뜻한 물에 잘게 썬 사과를 넣고 갈아줍니다.
설탕도 조금 더합니다.
빵 짓는 일꾼, 누룩 속 균들이 당을 좋아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조유성(시골 빵집 주인) : "미생물이 좋아하는 밥을 줘서, 얘네들이 빨리 24시간 안에 깨어날 수 있게끔…."
여기에 누룩을 넣어주고 하루쯤 발효시키면, 유산균,고초균,초산균 등 누룩 속 균이 깨어납니다.
찌꺼기를 건진 뒤 10시간 정도 더 발효를 시키면 빵을 부풀려줄 누룩 천연효모 완성.
밀가루와 어우러져 반죽이 되고, 오븐 속에서 열을 머금으면 긴 과정이 끝납니다.
천연 효모 덕분에 단백질 성분인 글루텐도 탄수화물도 거의 없습니다.
국내 한 제빵업체도 11년 연구 끝에 누룩에서 토종 천연 효모를 발굴해 대량화하는 데에 최근 성공했습니다.
연간 70억 원에 이르는 효모 수입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인터뷰> 김지영(경기도 광주시) : "웰빙 시대여서 건강에 좋은 빵을 찾다가 천연 효모빵을 찾게 됐어요."
막걸리 원료인 줄만 알았던 누룩의 변신, 빵에 건강과 부가가치를 더하는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인입니다.
누룩, 보통 막걸리 원료로 알고 계시는데요.
최근, 빵을 만드는데 천연효모로 쓰이고 있습니다.
건강에도 좋고 외국으로부터 효모 수입도 줄이고, 제빵업계에서 누룩의 가치가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김영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어스름 속에서 불을 밝힌 시골 빵집.
누룩으로 천연 발효빵을 만드는 곳입니다.
섭씨 27도 따뜻한 물에 잘게 썬 사과를 넣고 갈아줍니다.
설탕도 조금 더합니다.
빵 짓는 일꾼, 누룩 속 균들이 당을 좋아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조유성(시골 빵집 주인) : "미생물이 좋아하는 밥을 줘서, 얘네들이 빨리 24시간 안에 깨어날 수 있게끔…."
여기에 누룩을 넣어주고 하루쯤 발효시키면, 유산균,고초균,초산균 등 누룩 속 균이 깨어납니다.
찌꺼기를 건진 뒤 10시간 정도 더 발효를 시키면 빵을 부풀려줄 누룩 천연효모 완성.
밀가루와 어우러져 반죽이 되고, 오븐 속에서 열을 머금으면 긴 과정이 끝납니다.
천연 효모 덕분에 단백질 성분인 글루텐도 탄수화물도 거의 없습니다.
국내 한 제빵업체도 11년 연구 끝에 누룩에서 토종 천연 효모를 발굴해 대량화하는 데에 최근 성공했습니다.
연간 70억 원에 이르는 효모 수입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인터뷰> 김지영(경기도 광주시) : "웰빙 시대여서 건강에 좋은 빵을 찾다가 천연 효모빵을 찾게 됐어요."
막걸리 원료인 줄만 알았던 누룩의 변신, 빵에 건강과 부가가치를 더하는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인입니다.
-
-
김영인 기자 heemang@kbs.co.kr
김영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