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최대 6.5 규모 지진 발생 가능성”

입력 2016.09.13 (16: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2일 오후 경북 경주 인근에서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한 가운데,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라는 인식이 흔들리고 있다. 특히, 이번에 지진이 발생한 경주 일대의 양산단층 지역은 한반도에서 지진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돼 온 곳이다.

"한반도, 최대 6.5규모 지진 발생 가능성"

전문가들은 한반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지진 규모를 최대 리히터 6.5~7.0까지 분석한다.

기상청 역시 규모 6.0 이상의 지진 발생 가능성을 밝혔다. 13일 국회에서 열린 지진대책 당정 협의회에 참석한 고윤희 기장청장은 "규모 5.8에서 6.0 초반의 지진은 언제든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규모 6.5 이상의 지진 발생 가능성은 거의 희박하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유라시아 판 내부에 있어, 판 경계에 있는 일본보다 상대적으로 지진 발생 횟수나 규모 면에서 위험성이 낮다는 이유다.

이에 반해 선창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재해연구실장은 "한반도 어느 지역이든 리히터 규모 6.0 이하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이라며 "최대 규모 6.5의 큰 지진도 발생할 수 있고, 일부 학자들은 규모 7.0까지도 가능하다고 분석한다"고 했다.

이진한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도 "우리나라와 비슷한 환경인 일본과 뉴질랜드에서 규모 7.0 이상의 지진이 관측된 바 있다"며 "우리나라도 7.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어제(12일) 발생한 두 차례의 지진 중, 규모 5.1 지진을 전진, 규모 5.8 지진을 본진으로 보고 있지만, 이것 역시 단정 지을 수 없다"며 "앞으로 더 큰 규모의 지진이 없다고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

[연관 기사] ☞ 기상청, 한반도 지진 38년간 과소평가했다

그렇다면 리히터 규모 6.0 초반 지진은 어느 정도 일까. 지난달 24일 이탈리아에서 발생한 강진(규모 6.2), 2011년 2월 뉴질랜드 크라이스트 처치에서 발생한 지진(규모 6.3)을 참고할 수 있다. 지헌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센터장은 "6.0 초반의 지진은 수백 명의 인명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며 "한반도에서도 이 같은 강진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했다.

한반도 지진 발생, 동일본 대지진 영향?

최근 한반도의 지진 발생 횟수는 눈에 띄게 증가했다. 특히 지난 7월 울산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한 데 이어, 지난달 경북 안동과 경남 합천 등 8월 한 달 동안 9차례의 지진이 관측됐다. 올해 북한을 포함해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은 모두 50여 회로, 이는 1999년 이후 국내 연평균 지진 발생 횟수인 47.6회를 넘어선 것이다.

이렇게 지진 발생이 늘어난 것에 대해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이라는 분석이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헌철 지진센터장은 "이번 경주 지진은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일본의 지각이 태평양 쪽으로 이동하며 우리나라 역시 지각 변동이 있었다. 2013년 서해안 지역에 지진 발생이 급증하는 등 한반도 지진 발생이 잦아진 건, 지각 변동으로 인한 응력이 해소되는 과정이라는 설명이다.

선창국 지질연 실장은 "이번 지진이 동일본 대지진의 파생이라고는 단정할 수는 없다"면서도 "지진의 시기나 규모에 영향을 주는 등 연관성은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한반도 지진의 시기가 앞당겨지거나, 규모가 커지는 등의 연관성은 있지만 지진 발생 횟수 자체가 늘어나는 등의 대응 관계로는 볼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견해는 전문가마다 다르다. 이진한 고려대 교수는 "동일본 대지진 이후 단순히 한반도 지진 횟수가 늘었다는 것을 보고 인과관계를 추정할 뿐"이라며 "이를 설명할 구체적인 근거 자료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활성단층조사 부족…지진 발생 시기·장소 예측 못 해

한반도 전역에 지진 발생 가능성이 있지만, 지진 발생 시기나 지역에 대해서는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다. 활성 단층에 대한 조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선창국 지질연 실장은 "지진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선 활성 단층 조사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단층 조사란 단층이 어디에, 어느 길이 만큼 있는지, 또 언제, 어느 정도 움직였는지에 대한 정보다. 이런 자료를 통해 역으로 향후 지진에 대한 계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한반도가 더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닌 만큼, 이런 차원의 조사가 지진학적인 관점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한다. 선 실장은 "국내에서는 과거 원자력 발전소 영향으로 양산과 언양, 울산 등 일부 지역에 대해서만 단층 조사가 이뤄진 상황"이라며 "내진 대책 등 지진 대응책을 위해서 지질이나 지반 특성에 따른 '지진위험지도' 등의 정보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진한 교수 역시 활성단층 조사와 지표변형 연구의 필요성을 말했다. 이 교수는 "지역마다 지진 발생 위험이 다른 만큼, 단층 조사를 통한 '맞춤형 내진 설계'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이번 경주 지진을 국내에서 리히터 규모 5.8로 분석한 반면, 미국 지질연구소(USGS)와 일본 기상청은 각각 규모 5.4와 규모 5.7로 발표했다. 각 나라별 관측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관측 장소와 각 나라별 계산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유용규 기상청 지진화산감시과장은 "나라별로 지진규모를 측정하는 방법이 다를 수 있다"며 "이럴 경우 발생한 국가의 관측값을 기준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반도, 최대 6.5 규모 지진 발생 가능성”
    • 입력 2016-09-13 16:51:17
    IT·과학
12일 오후 경북 경주 인근에서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한 가운데,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라는 인식이 흔들리고 있다. 특히, 이번에 지진이 발생한 경주 일대의 양산단층 지역은 한반도에서 지진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돼 온 곳이다.

"한반도, 최대 6.5규모 지진 발생 가능성"

전문가들은 한반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지진 규모를 최대 리히터 6.5~7.0까지 분석한다.

기상청 역시 규모 6.0 이상의 지진 발생 가능성을 밝혔다. 13일 국회에서 열린 지진대책 당정 협의회에 참석한 고윤희 기장청장은 "규모 5.8에서 6.0 초반의 지진은 언제든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규모 6.5 이상의 지진 발생 가능성은 거의 희박하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유라시아 판 내부에 있어, 판 경계에 있는 일본보다 상대적으로 지진 발생 횟수나 규모 면에서 위험성이 낮다는 이유다.

이에 반해 선창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재해연구실장은 "한반도 어느 지역이든 리히터 규모 6.0 이하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이라며 "최대 규모 6.5의 큰 지진도 발생할 수 있고, 일부 학자들은 규모 7.0까지도 가능하다고 분석한다"고 했다.

이진한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도 "우리나라와 비슷한 환경인 일본과 뉴질랜드에서 규모 7.0 이상의 지진이 관측된 바 있다"며 "우리나라도 7.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어제(12일) 발생한 두 차례의 지진 중, 규모 5.1 지진을 전진, 규모 5.8 지진을 본진으로 보고 있지만, 이것 역시 단정 지을 수 없다"며 "앞으로 더 큰 규모의 지진이 없다고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

[연관 기사] ☞ 기상청, 한반도 지진 38년간 과소평가했다

그렇다면 리히터 규모 6.0 초반 지진은 어느 정도 일까. 지난달 24일 이탈리아에서 발생한 강진(규모 6.2), 2011년 2월 뉴질랜드 크라이스트 처치에서 발생한 지진(규모 6.3)을 참고할 수 있다. 지헌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센터장은 "6.0 초반의 지진은 수백 명의 인명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며 "한반도에서도 이 같은 강진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했다.

한반도 지진 발생, 동일본 대지진 영향?

최근 한반도의 지진 발생 횟수는 눈에 띄게 증가했다. 특히 지난 7월 울산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한 데 이어, 지난달 경북 안동과 경남 합천 등 8월 한 달 동안 9차례의 지진이 관측됐다. 올해 북한을 포함해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은 모두 50여 회로, 이는 1999년 이후 국내 연평균 지진 발생 횟수인 47.6회를 넘어선 것이다.

이렇게 지진 발생이 늘어난 것에 대해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이라는 분석이 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헌철 지진센터장은 "이번 경주 지진은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일본의 지각이 태평양 쪽으로 이동하며 우리나라 역시 지각 변동이 있었다. 2013년 서해안 지역에 지진 발생이 급증하는 등 한반도 지진 발생이 잦아진 건, 지각 변동으로 인한 응력이 해소되는 과정이라는 설명이다.

선창국 지질연 실장은 "이번 지진이 동일본 대지진의 파생이라고는 단정할 수는 없다"면서도 "지진의 시기나 규모에 영향을 주는 등 연관성은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한반도 지진의 시기가 앞당겨지거나, 규모가 커지는 등의 연관성은 있지만 지진 발생 횟수 자체가 늘어나는 등의 대응 관계로는 볼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견해는 전문가마다 다르다. 이진한 고려대 교수는 "동일본 대지진 이후 단순히 한반도 지진 횟수가 늘었다는 것을 보고 인과관계를 추정할 뿐"이라며 "이를 설명할 구체적인 근거 자료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활성단층조사 부족…지진 발생 시기·장소 예측 못 해

한반도 전역에 지진 발생 가능성이 있지만, 지진 발생 시기나 지역에 대해서는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다. 활성 단층에 대한 조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선창국 지질연 실장은 "지진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위해선 활성 단층 조사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단층 조사란 단층이 어디에, 어느 길이 만큼 있는지, 또 언제, 어느 정도 움직였는지에 대한 정보다. 이런 자료를 통해 역으로 향후 지진에 대한 계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한반도가 더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닌 만큼, 이런 차원의 조사가 지진학적인 관점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한다. 선 실장은 "국내에서는 과거 원자력 발전소 영향으로 양산과 언양, 울산 등 일부 지역에 대해서만 단층 조사가 이뤄진 상황"이라며 "내진 대책 등 지진 대응책을 위해서 지질이나 지반 특성에 따른 '지진위험지도' 등의 정보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진한 교수 역시 활성단층 조사와 지표변형 연구의 필요성을 말했다. 이 교수는 "지역마다 지진 발생 위험이 다른 만큼, 단층 조사를 통한 '맞춤형 내진 설계'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편, 이번 경주 지진을 국내에서 리히터 규모 5.8로 분석한 반면, 미국 지질연구소(USGS)와 일본 기상청은 각각 규모 5.4와 규모 5.7로 발표했다. 각 나라별 관측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관측 장소와 각 나라별 계산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유용규 기상청 지진화산감시과장은 "나라별로 지진규모를 측정하는 방법이 다를 수 있다"며 "이럴 경우 발생한 국가의 관측값을 기준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