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벼 쭉정이만 남아…태풍 북상에 ‘한숨’
입력 2016.10.05 (06:41) 수정 2016.10.05 (07:37) 뉴스광장 1부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태풍 북상 소식에 한창 수확기를 맞은 벼 재배 농민들은 근심이 깊은데요.
우리나라 최대의 곡창, 김제평야에선 이 와중에 벼 이삭이 말라죽는 '백수 현상'까지 발생해 농민들의 속이 타들어가고 있습니다.
진유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우리나라 유일의 지평선 김제평야입니다.
그런데 들녘 곳곳이 가을 걷이를 앞두고 황금색으로 일렁이던 옛 모습을 잃어버렸습니다.
벼를 살펴보니 낟알이 텅 비어, 쭉정이만 남았습니다.
벼 이삭이 하얗게 말라가는 백수 현상이 발생한 겁니다.
수확을 앞두고 있지만 피해를 입은 벼 이삭은 알맹이는 없고 이렇게 껍질만 남은 상탭니다.
백수현상은 2만 헥타르 김제 평야 상당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생산량이 평년보다 5% 정도 줄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유석용(농민) : "수확을 지금 해야 되는데 쭉정이가 많고, 낟알이 알에 쌀이 없어가지고 도정을 해도 도정률이 낮아지고.."
백수현상이 발생한 건 벼 이삭이 여물 무렵 김제평야에 내린 잦은 비로 일조 시간이 25%나 줄어 이삭이 제대로 여물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강풍까지 몰아쳐, 피해를 더 키웠습니다.
<인터뷰> 조중식(김제시 농업기술센터) : "(김제 지역은) 8월 말에 10m/s의 강풍이 불었습니다. 그래서 벼 잎끝이 기계적 손상에 의해서 상처를 입고 그것이 말라서.."
바람. 태풍 차바의 영향으로, 김제평야에는 오늘 새벽부터 비바람이 몰아치고 있어서 농민들의 마음은 더 타들어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진유민입니다.
태풍 북상 소식에 한창 수확기를 맞은 벼 재배 농민들은 근심이 깊은데요.
우리나라 최대의 곡창, 김제평야에선 이 와중에 벼 이삭이 말라죽는 '백수 현상'까지 발생해 농민들의 속이 타들어가고 있습니다.
진유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우리나라 유일의 지평선 김제평야입니다.
그런데 들녘 곳곳이 가을 걷이를 앞두고 황금색으로 일렁이던 옛 모습을 잃어버렸습니다.
벼를 살펴보니 낟알이 텅 비어, 쭉정이만 남았습니다.
벼 이삭이 하얗게 말라가는 백수 현상이 발생한 겁니다.
수확을 앞두고 있지만 피해를 입은 벼 이삭은 알맹이는 없고 이렇게 껍질만 남은 상탭니다.
백수현상은 2만 헥타르 김제 평야 상당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생산량이 평년보다 5% 정도 줄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유석용(농민) : "수확을 지금 해야 되는데 쭉정이가 많고, 낟알이 알에 쌀이 없어가지고 도정을 해도 도정률이 낮아지고.."
백수현상이 발생한 건 벼 이삭이 여물 무렵 김제평야에 내린 잦은 비로 일조 시간이 25%나 줄어 이삭이 제대로 여물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강풍까지 몰아쳐, 피해를 더 키웠습니다.
<인터뷰> 조중식(김제시 농업기술센터) : "(김제 지역은) 8월 말에 10m/s의 강풍이 불었습니다. 그래서 벼 잎끝이 기계적 손상에 의해서 상처를 입고 그것이 말라서.."
바람. 태풍 차바의 영향으로, 김제평야에는 오늘 새벽부터 비바람이 몰아치고 있어서 농민들의 마음은 더 타들어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진유민입니다.
- 벼 쭉정이만 남아…태풍 북상에 ‘한숨’
-
- 입력 2016-10-05 06:42:45
- 수정2016-10-05 07:37:16

<앵커 멘트>
태풍 북상 소식에 한창 수확기를 맞은 벼 재배 농민들은 근심이 깊은데요.
우리나라 최대의 곡창, 김제평야에선 이 와중에 벼 이삭이 말라죽는 '백수 현상'까지 발생해 농민들의 속이 타들어가고 있습니다.
진유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우리나라 유일의 지평선 김제평야입니다.
그런데 들녘 곳곳이 가을 걷이를 앞두고 황금색으로 일렁이던 옛 모습을 잃어버렸습니다.
벼를 살펴보니 낟알이 텅 비어, 쭉정이만 남았습니다.
벼 이삭이 하얗게 말라가는 백수 현상이 발생한 겁니다.
수확을 앞두고 있지만 피해를 입은 벼 이삭은 알맹이는 없고 이렇게 껍질만 남은 상탭니다.
백수현상은 2만 헥타르 김제 평야 상당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생산량이 평년보다 5% 정도 줄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유석용(농민) : "수확을 지금 해야 되는데 쭉정이가 많고, 낟알이 알에 쌀이 없어가지고 도정을 해도 도정률이 낮아지고.."
백수현상이 발생한 건 벼 이삭이 여물 무렵 김제평야에 내린 잦은 비로 일조 시간이 25%나 줄어 이삭이 제대로 여물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강풍까지 몰아쳐, 피해를 더 키웠습니다.
<인터뷰> 조중식(김제시 농업기술센터) : "(김제 지역은) 8월 말에 10m/s의 강풍이 불었습니다. 그래서 벼 잎끝이 기계적 손상에 의해서 상처를 입고 그것이 말라서.."
바람. 태풍 차바의 영향으로, 김제평야에는 오늘 새벽부터 비바람이 몰아치고 있어서 농민들의 마음은 더 타들어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진유민입니다.
태풍 북상 소식에 한창 수확기를 맞은 벼 재배 농민들은 근심이 깊은데요.
우리나라 최대의 곡창, 김제평야에선 이 와중에 벼 이삭이 말라죽는 '백수 현상'까지 발생해 농민들의 속이 타들어가고 있습니다.
진유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우리나라 유일의 지평선 김제평야입니다.
그런데 들녘 곳곳이 가을 걷이를 앞두고 황금색으로 일렁이던 옛 모습을 잃어버렸습니다.
벼를 살펴보니 낟알이 텅 비어, 쭉정이만 남았습니다.
벼 이삭이 하얗게 말라가는 백수 현상이 발생한 겁니다.
수확을 앞두고 있지만 피해를 입은 벼 이삭은 알맹이는 없고 이렇게 껍질만 남은 상탭니다.
백수현상은 2만 헥타르 김제 평야 상당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생산량이 평년보다 5% 정도 줄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유석용(농민) : "수확을 지금 해야 되는데 쭉정이가 많고, 낟알이 알에 쌀이 없어가지고 도정을 해도 도정률이 낮아지고.."
백수현상이 발생한 건 벼 이삭이 여물 무렵 김제평야에 내린 잦은 비로 일조 시간이 25%나 줄어 이삭이 제대로 여물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강풍까지 몰아쳐, 피해를 더 키웠습니다.
<인터뷰> 조중식(김제시 농업기술센터) : "(김제 지역은) 8월 말에 10m/s의 강풍이 불었습니다. 그래서 벼 잎끝이 기계적 손상에 의해서 상처를 입고 그것이 말라서.."
바람. 태풍 차바의 영향으로, 김제평야에는 오늘 새벽부터 비바람이 몰아치고 있어서 농민들의 마음은 더 타들어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진유민입니다.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진유민 기자 realjin@kbs.co.kr
진유민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