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사라지는 ‘백두대간 초지’…기후 변화 탓
입력 2016.11.28 (19:23) 수정 2016.11.29 (10:30) 뉴스 7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해발고도 1,300미터 이상의 백두대간에는, 특유의 기후조건으로 형성된 초지가 드물게 남아있는데요.
희귀 식물들의 보고인 산간 초지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소백산 비로봉 일대마저 기후 변화 때문에 면적이 급속히 줄고 있습니다.
진희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해발고도 1,439미터, 드넓게 초지가 펼쳐져 있습니다.
바람이 세고 눈이 자주 내려 나무 대신 풀이 더 잘 자라는 산간지대 초원, 일명 아고산대 초지입니다.
그런데 전에 없던 나무 군락이 작은 섬처럼 생겨나고, 일부 지역은 아예 초지를 에워쌀만큼 세력을 키워갑니다.
이 일대는 원래 키작은 풀들이 나던 곳이지만, 지금은 이렇게 껍질이 두꺼운 나무류들이 무성하게 자라고 있습니다.
미역줄 등 저지대에서 쉽게 관찰되는 나무 덤불들이 올라와 식생 경계를 허물고 있습니다.
실제 20만㎡에 달하던 초지는 28년 만에 15만㎡로 4분의 1이 줄었고, 35년 전 사진과 비교하면 많은 부분이 숲으로 변했습니다.
주로 아고산대에서 관찰되는 복주머니란 등 멸종위기 식물과 희귀종들이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인터뷰> 전세근(소백산국립공원 자원보전과) : "2080년대에는 거의 초지가 사라질 것으로 예측이 되고요. 유전자원을 채취해 복원사업에 쓸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백두대간 전반에서 이런 변화가 진행중이라며 아고산대 초지 관리에 나섰습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해발고도 1,300미터 이상의 백두대간에는, 특유의 기후조건으로 형성된 초지가 드물게 남아있는데요.
희귀 식물들의 보고인 산간 초지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소백산 비로봉 일대마저 기후 변화 때문에 면적이 급속히 줄고 있습니다.
진희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해발고도 1,439미터, 드넓게 초지가 펼쳐져 있습니다.
바람이 세고 눈이 자주 내려 나무 대신 풀이 더 잘 자라는 산간지대 초원, 일명 아고산대 초지입니다.
그런데 전에 없던 나무 군락이 작은 섬처럼 생겨나고, 일부 지역은 아예 초지를 에워쌀만큼 세력을 키워갑니다.
이 일대는 원래 키작은 풀들이 나던 곳이지만, 지금은 이렇게 껍질이 두꺼운 나무류들이 무성하게 자라고 있습니다.
미역줄 등 저지대에서 쉽게 관찰되는 나무 덤불들이 올라와 식생 경계를 허물고 있습니다.
실제 20만㎡에 달하던 초지는 28년 만에 15만㎡로 4분의 1이 줄었고, 35년 전 사진과 비교하면 많은 부분이 숲으로 변했습니다.
주로 아고산대에서 관찰되는 복주머니란 등 멸종위기 식물과 희귀종들이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인터뷰> 전세근(소백산국립공원 자원보전과) : "2080년대에는 거의 초지가 사라질 것으로 예측이 되고요. 유전자원을 채취해 복원사업에 쓸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백두대간 전반에서 이런 변화가 진행중이라며 아고산대 초지 관리에 나섰습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 사라지는 ‘백두대간 초지’…기후 변화 탓
-
- 입력 2016-11-28 19:24:34
- 수정2016-11-29 10:30:42

<앵커 멘트>
해발고도 1,300미터 이상의 백두대간에는, 특유의 기후조건으로 형성된 초지가 드물게 남아있는데요.
희귀 식물들의 보고인 산간 초지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소백산 비로봉 일대마저 기후 변화 때문에 면적이 급속히 줄고 있습니다.
진희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해발고도 1,439미터, 드넓게 초지가 펼쳐져 있습니다.
바람이 세고 눈이 자주 내려 나무 대신 풀이 더 잘 자라는 산간지대 초원, 일명 아고산대 초지입니다.
그런데 전에 없던 나무 군락이 작은 섬처럼 생겨나고, 일부 지역은 아예 초지를 에워쌀만큼 세력을 키워갑니다.
이 일대는 원래 키작은 풀들이 나던 곳이지만, 지금은 이렇게 껍질이 두꺼운 나무류들이 무성하게 자라고 있습니다.
미역줄 등 저지대에서 쉽게 관찰되는 나무 덤불들이 올라와 식생 경계를 허물고 있습니다.
실제 20만㎡에 달하던 초지는 28년 만에 15만㎡로 4분의 1이 줄었고, 35년 전 사진과 비교하면 많은 부분이 숲으로 변했습니다.
주로 아고산대에서 관찰되는 복주머니란 등 멸종위기 식물과 희귀종들이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인터뷰> 전세근(소백산국립공원 자원보전과) : "2080년대에는 거의 초지가 사라질 것으로 예측이 되고요. 유전자원을 채취해 복원사업에 쓸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백두대간 전반에서 이런 변화가 진행중이라며 아고산대 초지 관리에 나섰습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해발고도 1,300미터 이상의 백두대간에는, 특유의 기후조건으로 형성된 초지가 드물게 남아있는데요.
희귀 식물들의 보고인 산간 초지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소백산 비로봉 일대마저 기후 변화 때문에 면적이 급속히 줄고 있습니다.
진희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해발고도 1,439미터, 드넓게 초지가 펼쳐져 있습니다.
바람이 세고 눈이 자주 내려 나무 대신 풀이 더 잘 자라는 산간지대 초원, 일명 아고산대 초지입니다.
그런데 전에 없던 나무 군락이 작은 섬처럼 생겨나고, 일부 지역은 아예 초지를 에워쌀만큼 세력을 키워갑니다.
이 일대는 원래 키작은 풀들이 나던 곳이지만, 지금은 이렇게 껍질이 두꺼운 나무류들이 무성하게 자라고 있습니다.
미역줄 등 저지대에서 쉽게 관찰되는 나무 덤불들이 올라와 식생 경계를 허물고 있습니다.
실제 20만㎡에 달하던 초지는 28년 만에 15만㎡로 4분의 1이 줄었고, 35년 전 사진과 비교하면 많은 부분이 숲으로 변했습니다.
주로 아고산대에서 관찰되는 복주머니란 등 멸종위기 식물과 희귀종들이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습니다.
<인터뷰> 전세근(소백산국립공원 자원보전과) : "2080년대에는 거의 초지가 사라질 것으로 예측이 되고요. 유전자원을 채취해 복원사업에 쓸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백두대간 전반에서 이런 변화가 진행중이라며 아고산대 초지 관리에 나섰습니다.
KBS 뉴스 진희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뉴스 7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진희정 기자 5w1h@kbs.co.kr
진희정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