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사업체 1곳당 종사자 2.5명…고용여력 1.5명
입력 2016.12.21 (21:33)
수정 2016.12.21 (22: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 소비심리도 얼어붙었죠.
매출이 떨어지다보니 고용도 줄고 있습니다.
전체 사업체의 80%를 차지하는 개인사업체의 업체당 종사자 수가 3명이 채 안 되는 걸로 나타났는데요.
업주 본인을 빼고 나면 1명 밖에 고용을 못한다는 얘기입니다.
보도에 최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수능을 마친 예비대학생들과 성탄절 선물을 사려는 사람들로 붐벼야 할 휴대전화 판매점이 썰렁합니다.
갤럭시 노트7 단종 사태와 어수선한 정국 등으로 사람들이 지갑을 꽉 닫은 탓입니다.
<인터뷰> 김석환(휴대전화 판매점 사장) : "작년에 비해서 (매출이)30~40% 정도 감소한 편이고요, 이쪽 업종을 오래 했는데 이렇게 힘든 12월은 처음 본 것 같아요."
이 가게의 직원은 사장을 포함해 2명 뿐, 손님이 줄고 매출은 떨어지니 종업원을 더 뽑을 여유는 없습니다.
<인터뷰> 김석환(휴대전화 판매점 사장) : "경기가 더 좋아지지 않는 이상 더 이상의 인원을 충원할 예정은 없는 상태입니다."
개인 사업체의 업체당 종사자는 2.5명, 5년 전과 비교해 증가율이 0% 수준입니다.
사정이 비교적 낫다는 회사법인의 업체당 종사자 수는 5년 전보다 오히려 하락했습니다.
고용 없는 성장이 현실화되는 모양새입니다.
사업체들의 실적 역시 제자리걸음입니다.
최근 5년간 사업체당 연평균 매출액과 종사자 1인당 매출액 증가율 모두 1% 안팎에 그쳤습니다.
KBS 뉴스 최대수입니다.
요즘 소비심리도 얼어붙었죠.
매출이 떨어지다보니 고용도 줄고 있습니다.
전체 사업체의 80%를 차지하는 개인사업체의 업체당 종사자 수가 3명이 채 안 되는 걸로 나타났는데요.
업주 본인을 빼고 나면 1명 밖에 고용을 못한다는 얘기입니다.
보도에 최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수능을 마친 예비대학생들과 성탄절 선물을 사려는 사람들로 붐벼야 할 휴대전화 판매점이 썰렁합니다.
갤럭시 노트7 단종 사태와 어수선한 정국 등으로 사람들이 지갑을 꽉 닫은 탓입니다.
<인터뷰> 김석환(휴대전화 판매점 사장) : "작년에 비해서 (매출이)30~40% 정도 감소한 편이고요, 이쪽 업종을 오래 했는데 이렇게 힘든 12월은 처음 본 것 같아요."
이 가게의 직원은 사장을 포함해 2명 뿐, 손님이 줄고 매출은 떨어지니 종업원을 더 뽑을 여유는 없습니다.
<인터뷰> 김석환(휴대전화 판매점 사장) : "경기가 더 좋아지지 않는 이상 더 이상의 인원을 충원할 예정은 없는 상태입니다."
개인 사업체의 업체당 종사자는 2.5명, 5년 전과 비교해 증가율이 0% 수준입니다.
사정이 비교적 낫다는 회사법인의 업체당 종사자 수는 5년 전보다 오히려 하락했습니다.
고용 없는 성장이 현실화되는 모양새입니다.
사업체들의 실적 역시 제자리걸음입니다.
최근 5년간 사업체당 연평균 매출액과 종사자 1인당 매출액 증가율 모두 1% 안팎에 그쳤습니다.
KBS 뉴스 최대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개인사업체 1곳당 종사자 2.5명…고용여력 1.5명
-
- 입력 2016-12-21 21:35:16
- 수정2016-12-21 22:25:39

<앵커 멘트>
요즘 소비심리도 얼어붙었죠.
매출이 떨어지다보니 고용도 줄고 있습니다.
전체 사업체의 80%를 차지하는 개인사업체의 업체당 종사자 수가 3명이 채 안 되는 걸로 나타났는데요.
업주 본인을 빼고 나면 1명 밖에 고용을 못한다는 얘기입니다.
보도에 최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수능을 마친 예비대학생들과 성탄절 선물을 사려는 사람들로 붐벼야 할 휴대전화 판매점이 썰렁합니다.
갤럭시 노트7 단종 사태와 어수선한 정국 등으로 사람들이 지갑을 꽉 닫은 탓입니다.
<인터뷰> 김석환(휴대전화 판매점 사장) : "작년에 비해서 (매출이)30~40% 정도 감소한 편이고요, 이쪽 업종을 오래 했는데 이렇게 힘든 12월은 처음 본 것 같아요."
이 가게의 직원은 사장을 포함해 2명 뿐, 손님이 줄고 매출은 떨어지니 종업원을 더 뽑을 여유는 없습니다.
<인터뷰> 김석환(휴대전화 판매점 사장) : "경기가 더 좋아지지 않는 이상 더 이상의 인원을 충원할 예정은 없는 상태입니다."
개인 사업체의 업체당 종사자는 2.5명, 5년 전과 비교해 증가율이 0% 수준입니다.
사정이 비교적 낫다는 회사법인의 업체당 종사자 수는 5년 전보다 오히려 하락했습니다.
고용 없는 성장이 현실화되는 모양새입니다.
사업체들의 실적 역시 제자리걸음입니다.
최근 5년간 사업체당 연평균 매출액과 종사자 1인당 매출액 증가율 모두 1% 안팎에 그쳤습니다.
KBS 뉴스 최대수입니다.
요즘 소비심리도 얼어붙었죠.
매출이 떨어지다보니 고용도 줄고 있습니다.
전체 사업체의 80%를 차지하는 개인사업체의 업체당 종사자 수가 3명이 채 안 되는 걸로 나타났는데요.
업주 본인을 빼고 나면 1명 밖에 고용을 못한다는 얘기입니다.
보도에 최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수능을 마친 예비대학생들과 성탄절 선물을 사려는 사람들로 붐벼야 할 휴대전화 판매점이 썰렁합니다.
갤럭시 노트7 단종 사태와 어수선한 정국 등으로 사람들이 지갑을 꽉 닫은 탓입니다.
<인터뷰> 김석환(휴대전화 판매점 사장) : "작년에 비해서 (매출이)30~40% 정도 감소한 편이고요, 이쪽 업종을 오래 했는데 이렇게 힘든 12월은 처음 본 것 같아요."
이 가게의 직원은 사장을 포함해 2명 뿐, 손님이 줄고 매출은 떨어지니 종업원을 더 뽑을 여유는 없습니다.
<인터뷰> 김석환(휴대전화 판매점 사장) : "경기가 더 좋아지지 않는 이상 더 이상의 인원을 충원할 예정은 없는 상태입니다."
개인 사업체의 업체당 종사자는 2.5명, 5년 전과 비교해 증가율이 0% 수준입니다.
사정이 비교적 낫다는 회사법인의 업체당 종사자 수는 5년 전보다 오히려 하락했습니다.
고용 없는 성장이 현실화되는 모양새입니다.
사업체들의 실적 역시 제자리걸음입니다.
최근 5년간 사업체당 연평균 매출액과 종사자 1인당 매출액 증가율 모두 1% 안팎에 그쳤습니다.
KBS 뉴스 최대수입니다.
-
-
최대수 기자 freehead@kbs.co.kr
최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