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궁중 집기 재현…덕수궁 ‘함녕전’에 새 숨결
입력 2017.02.14 (07:40) 수정 2017.02.14 (08:02) 뉴스광장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덕수궁 '함녕전'은 조선 후기 마지막 왕실의 침전 건물인데요.
최근 이곳 집기들이 고증을 통해 전통 기술로 재현돼 궁궐의 아름다움을 되살리고 있습니다.
김민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한제국 고종 황제가 침전으로 사용했던 덕수궁 함녕전.
최근 전각 외부에 빛깔이 붉고 무늬가 고운 '주렴' 세 개가 걸렸습니다.
대나무 조각을 엮어 만든 '주렴'은 조선시대에 햇빛을 가리는 용도 외에 의례용으로 널리 쓰였습니다.
궁궐 내외부에 걸어 왕실의 위엄을 드러냈습니다.
이 주렴은 문화재청과 협력한 한 시민단체가 궁궐 집기 재현 사업 일환으로 제작한 것입니다.
<인터뷰> 장영석(아름지기 사무국장) : "(궁궐은)당대 최고 수준의 문화 예술품 공예정신이 집약돼 있는곳이기 때문에 그런 것들을 현대에 되살려서 이어 나가야겠다고 생각했고요."
지난 2015년에는 전통 커튼인 '무렴자'도 재현되 낡고 텅 비었던 함녕전 내부에 드리워졌습니다.
이같은 작업에는 유물을 고증하고 실증적 기록자료를 꼼꼼히 검토해 결과물을 만들어 낸 장인들의 땀과 노력이 담겼습니다.
<인터뷰> 유선희(국가무형문화제 제107호 누비장 이수자) :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우리나라에도 이런 게 있었다라는 걸 제시할 수 있는 굉장히 중요한 기회라고 생각했습니다."
전통 집기 재현이 우리나라 대표 문화유산인 궁궐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덕수궁 '함녕전'은 조선 후기 마지막 왕실의 침전 건물인데요.
최근 이곳 집기들이 고증을 통해 전통 기술로 재현돼 궁궐의 아름다움을 되살리고 있습니다.
김민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한제국 고종 황제가 침전으로 사용했던 덕수궁 함녕전.
최근 전각 외부에 빛깔이 붉고 무늬가 고운 '주렴' 세 개가 걸렸습니다.
대나무 조각을 엮어 만든 '주렴'은 조선시대에 햇빛을 가리는 용도 외에 의례용으로 널리 쓰였습니다.
궁궐 내외부에 걸어 왕실의 위엄을 드러냈습니다.
이 주렴은 문화재청과 협력한 한 시민단체가 궁궐 집기 재현 사업 일환으로 제작한 것입니다.
<인터뷰> 장영석(아름지기 사무국장) : "(궁궐은)당대 최고 수준의 문화 예술품 공예정신이 집약돼 있는곳이기 때문에 그런 것들을 현대에 되살려서 이어 나가야겠다고 생각했고요."
지난 2015년에는 전통 커튼인 '무렴자'도 재현되 낡고 텅 비었던 함녕전 내부에 드리워졌습니다.
이같은 작업에는 유물을 고증하고 실증적 기록자료를 꼼꼼히 검토해 결과물을 만들어 낸 장인들의 땀과 노력이 담겼습니다.
<인터뷰> 유선희(국가무형문화제 제107호 누비장 이수자) :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우리나라에도 이런 게 있었다라는 걸 제시할 수 있는 굉장히 중요한 기회라고 생각했습니다."
전통 집기 재현이 우리나라 대표 문화유산인 궁궐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 궁중 집기 재현…덕수궁 ‘함녕전’에 새 숨결
-
- 입력 2017-02-14 07:47:19
- 수정2017-02-14 08:02:54

<앵커 멘트>
덕수궁 '함녕전'은 조선 후기 마지막 왕실의 침전 건물인데요.
최근 이곳 집기들이 고증을 통해 전통 기술로 재현돼 궁궐의 아름다움을 되살리고 있습니다.
김민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한제국 고종 황제가 침전으로 사용했던 덕수궁 함녕전.
최근 전각 외부에 빛깔이 붉고 무늬가 고운 '주렴' 세 개가 걸렸습니다.
대나무 조각을 엮어 만든 '주렴'은 조선시대에 햇빛을 가리는 용도 외에 의례용으로 널리 쓰였습니다.
궁궐 내외부에 걸어 왕실의 위엄을 드러냈습니다.
이 주렴은 문화재청과 협력한 한 시민단체가 궁궐 집기 재현 사업 일환으로 제작한 것입니다.
<인터뷰> 장영석(아름지기 사무국장) : "(궁궐은)당대 최고 수준의 문화 예술품 공예정신이 집약돼 있는곳이기 때문에 그런 것들을 현대에 되살려서 이어 나가야겠다고 생각했고요."
지난 2015년에는 전통 커튼인 '무렴자'도 재현되 낡고 텅 비었던 함녕전 내부에 드리워졌습니다.
이같은 작업에는 유물을 고증하고 실증적 기록자료를 꼼꼼히 검토해 결과물을 만들어 낸 장인들의 땀과 노력이 담겼습니다.
<인터뷰> 유선희(국가무형문화제 제107호 누비장 이수자) :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우리나라에도 이런 게 있었다라는 걸 제시할 수 있는 굉장히 중요한 기회라고 생각했습니다."
전통 집기 재현이 우리나라 대표 문화유산인 궁궐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덕수궁 '함녕전'은 조선 후기 마지막 왕실의 침전 건물인데요.
최근 이곳 집기들이 고증을 통해 전통 기술로 재현돼 궁궐의 아름다움을 되살리고 있습니다.
김민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대한제국 고종 황제가 침전으로 사용했던 덕수궁 함녕전.
최근 전각 외부에 빛깔이 붉고 무늬가 고운 '주렴' 세 개가 걸렸습니다.
대나무 조각을 엮어 만든 '주렴'은 조선시대에 햇빛을 가리는 용도 외에 의례용으로 널리 쓰였습니다.
궁궐 내외부에 걸어 왕실의 위엄을 드러냈습니다.
이 주렴은 문화재청과 협력한 한 시민단체가 궁궐 집기 재현 사업 일환으로 제작한 것입니다.
<인터뷰> 장영석(아름지기 사무국장) : "(궁궐은)당대 최고 수준의 문화 예술품 공예정신이 집약돼 있는곳이기 때문에 그런 것들을 현대에 되살려서 이어 나가야겠다고 생각했고요."
지난 2015년에는 전통 커튼인 '무렴자'도 재현되 낡고 텅 비었던 함녕전 내부에 드리워졌습니다.
이같은 작업에는 유물을 고증하고 실증적 기록자료를 꼼꼼히 검토해 결과물을 만들어 낸 장인들의 땀과 노력이 담겼습니다.
<인터뷰> 유선희(국가무형문화제 제107호 누비장 이수자) :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우리나라에도 이런 게 있었다라는 걸 제시할 수 있는 굉장히 중요한 기회라고 생각했습니다."
전통 집기 재현이 우리나라 대표 문화유산인 궁궐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민경입니다.
뉴스광장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민경 기자 mkdream@kbs.co.kr
김민경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