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이 밝힌 1500년 전 비밀…‘최소 6일 장례’
입력 2017.04.18 (12:32)
수정 2017.04.18 (12: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삼국시대 영산강 유역에서 시신을 매장하기 전의 장례절차인 '빈장'이 있었던 점이 과학적으로 입증됐습니다.
천5백년 전 무덤에서 나온 파리의 번데기 껍질이 단서가 됐습니다.
지종익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14년 나주 정촌고분에서 출토된 금동신발입니다.
신발 안에서 사람 발뒤꿈치 뼛조각과 함께 나온 것은 검정뺨금파리의 번데기 껍질 십여 개.
천5백년 전의 것입니다.
<녹취> 이혜연(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 "금동신발 내부에서 나온 뒷꿈치 뼈라고 추정되는 편이고요. 거기에 이 유충이 같이 섞여서 고착되어 있는 상태로..."
파리의 번데기 껍질을 확대해보면, 금동신발이 녹이 슬면서 푸르스름한 부식물이 아직까지도 남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가 금동신발이 출토된 석실과 똑같은 조건에서 실험한 결과 파리의 알이나 유충이 땅속에서 번데기가 되지 못했습니다.
결국 알에서 번데기가 되기까지 평균적으로 걸리는 6.5일은 최소한 시신이 매장되지 않았다는 겁니다.
이 기간동안 '빈'이라는 장례절차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오동선(학예연구사) : "금동신발을 신은 상태로 애도의 기간을 보여주면서 자신의 살아생전의 권력을 과시하는 장례 절차의 하나였습니다."
옛 무덤에서 국내 처음 발견된 파리 번데기 껍질을 두고 법의곤충학적 분석을 시도한 연구진은 추가 분석을 통해 무덤 주인의 사망 원인과, 나이, 식습관 등도 파악해 볼 예정입니다.
KBS 뉴스 지종익입니다.
삼국시대 영산강 유역에서 시신을 매장하기 전의 장례절차인 '빈장'이 있었던 점이 과학적으로 입증됐습니다.
천5백년 전 무덤에서 나온 파리의 번데기 껍질이 단서가 됐습니다.
지종익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14년 나주 정촌고분에서 출토된 금동신발입니다.
신발 안에서 사람 발뒤꿈치 뼛조각과 함께 나온 것은 검정뺨금파리의 번데기 껍질 십여 개.
천5백년 전의 것입니다.
<녹취> 이혜연(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 "금동신발 내부에서 나온 뒷꿈치 뼈라고 추정되는 편이고요. 거기에 이 유충이 같이 섞여서 고착되어 있는 상태로..."
파리의 번데기 껍질을 확대해보면, 금동신발이 녹이 슬면서 푸르스름한 부식물이 아직까지도 남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가 금동신발이 출토된 석실과 똑같은 조건에서 실험한 결과 파리의 알이나 유충이 땅속에서 번데기가 되지 못했습니다.
결국 알에서 번데기가 되기까지 평균적으로 걸리는 6.5일은 최소한 시신이 매장되지 않았다는 겁니다.
이 기간동안 '빈'이라는 장례절차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오동선(학예연구사) : "금동신발을 신은 상태로 애도의 기간을 보여주면서 자신의 살아생전의 권력을 과시하는 장례 절차의 하나였습니다."
옛 무덤에서 국내 처음 발견된 파리 번데기 껍질을 두고 법의곤충학적 분석을 시도한 연구진은 추가 분석을 통해 무덤 주인의 사망 원인과, 나이, 식습관 등도 파악해 볼 예정입니다.
KBS 뉴스 지종익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곤충이 밝힌 1500년 전 비밀…‘최소 6일 장례’
-
- 입력 2017-04-18 12:33:51
- 수정2017-04-18 12:46:16
<앵커 멘트>
삼국시대 영산강 유역에서 시신을 매장하기 전의 장례절차인 '빈장'이 있었던 점이 과학적으로 입증됐습니다.
천5백년 전 무덤에서 나온 파리의 번데기 껍질이 단서가 됐습니다.
지종익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14년 나주 정촌고분에서 출토된 금동신발입니다.
신발 안에서 사람 발뒤꿈치 뼛조각과 함께 나온 것은 검정뺨금파리의 번데기 껍질 십여 개.
천5백년 전의 것입니다.
<녹취> 이혜연(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 "금동신발 내부에서 나온 뒷꿈치 뼈라고 추정되는 편이고요. 거기에 이 유충이 같이 섞여서 고착되어 있는 상태로..."
파리의 번데기 껍질을 확대해보면, 금동신발이 녹이 슬면서 푸르스름한 부식물이 아직까지도 남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가 금동신발이 출토된 석실과 똑같은 조건에서 실험한 결과 파리의 알이나 유충이 땅속에서 번데기가 되지 못했습니다.
결국 알에서 번데기가 되기까지 평균적으로 걸리는 6.5일은 최소한 시신이 매장되지 않았다는 겁니다.
이 기간동안 '빈'이라는 장례절차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오동선(학예연구사) : "금동신발을 신은 상태로 애도의 기간을 보여주면서 자신의 살아생전의 권력을 과시하는 장례 절차의 하나였습니다."
옛 무덤에서 국내 처음 발견된 파리 번데기 껍질을 두고 법의곤충학적 분석을 시도한 연구진은 추가 분석을 통해 무덤 주인의 사망 원인과, 나이, 식습관 등도 파악해 볼 예정입니다.
KBS 뉴스 지종익입니다.
삼국시대 영산강 유역에서 시신을 매장하기 전의 장례절차인 '빈장'이 있었던 점이 과학적으로 입증됐습니다.
천5백년 전 무덤에서 나온 파리의 번데기 껍질이 단서가 됐습니다.
지종익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14년 나주 정촌고분에서 출토된 금동신발입니다.
신발 안에서 사람 발뒤꿈치 뼛조각과 함께 나온 것은 검정뺨금파리의 번데기 껍질 십여 개.
천5백년 전의 것입니다.
<녹취> 이혜연(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 "금동신발 내부에서 나온 뒷꿈치 뼈라고 추정되는 편이고요. 거기에 이 유충이 같이 섞여서 고착되어 있는 상태로..."
파리의 번데기 껍질을 확대해보면, 금동신발이 녹이 슬면서 푸르스름한 부식물이 아직까지도 남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가 금동신발이 출토된 석실과 똑같은 조건에서 실험한 결과 파리의 알이나 유충이 땅속에서 번데기가 되지 못했습니다.
결국 알에서 번데기가 되기까지 평균적으로 걸리는 6.5일은 최소한 시신이 매장되지 않았다는 겁니다.
이 기간동안 '빈'이라는 장례절차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오동선(학예연구사) : "금동신발을 신은 상태로 애도의 기간을 보여주면서 자신의 살아생전의 권력을 과시하는 장례 절차의 하나였습니다."
옛 무덤에서 국내 처음 발견된 파리 번데기 껍질을 두고 법의곤충학적 분석을 시도한 연구진은 추가 분석을 통해 무덤 주인의 사망 원인과, 나이, 식습관 등도 파악해 볼 예정입니다.
KBS 뉴스 지종익입니다.
-
-
지종익 기자 jigu@kbs.co.kr
지종익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