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일제 재계-노동계 대립 격화
입력 2002.08.22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의 주5일 근무제 입법예고를 앞두고 재계와 노동계의 힘겨루기가 치열합니다.
특히 임금문제를 둘러싸고 양측이 한치도 물러서지 않고 있습니다.
이재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의 주5일 근무제 입법 예고안이 막바지에 이르자 재계는 오늘 모임을 갖고 줄어든 근로시간만큼 임금을 줄이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재계는 법정근로시간이 줄면 그 자체로도 13.6%의 임금인상 효과가 있는 만큼 월차와 생리휴가를 폐지하고 일요일도 무급으로 해 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주5일 근무로 최대 146일까지 늘어나는 연간 휴일 수를 선진국 수준인 139일까지 축소할 것도 요구했습니다.
⊙조남홍(한국경영자총협회 부회장): 국제기준, 특히 일본 수준과 그 관행에 부합하도록 입법화되어야 할 것입니다.
⊙기자: 재계의 이런 움직임에 맞서 한국노총과 민주노총도 오늘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임금 삭감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노동계는 월차, 생리휴가를 폐지하되 임금은 종전 수준으로 유지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습니다.
또한 OECD 국가 가운데 근로시간이 가장 긴 만큼 법정 공휴일 축소도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남순(한국노총 위원장): 기존의 임금이 삭감되거나 노동조건이 저하된다면 우리는 총파업을 불사하는 강력한 투쟁을 전개해 나갈 계획입니다.
⊙기자: 실시 시기도 재계는 2005년 이후로, 노동계는 당장 내년부터 실시할 것을 요구하고 있어서 다음 달로 예정된 정부 입법 예고안 마련에 적지 않은 진통이 예상됩니다.
KBS뉴스 이재호입니다.
특히 임금문제를 둘러싸고 양측이 한치도 물러서지 않고 있습니다.
이재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의 주5일 근무제 입법 예고안이 막바지에 이르자 재계는 오늘 모임을 갖고 줄어든 근로시간만큼 임금을 줄이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재계는 법정근로시간이 줄면 그 자체로도 13.6%의 임금인상 효과가 있는 만큼 월차와 생리휴가를 폐지하고 일요일도 무급으로 해 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주5일 근무로 최대 146일까지 늘어나는 연간 휴일 수를 선진국 수준인 139일까지 축소할 것도 요구했습니다.
⊙조남홍(한국경영자총협회 부회장): 국제기준, 특히 일본 수준과 그 관행에 부합하도록 입법화되어야 할 것입니다.
⊙기자: 재계의 이런 움직임에 맞서 한국노총과 민주노총도 오늘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임금 삭감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노동계는 월차, 생리휴가를 폐지하되 임금은 종전 수준으로 유지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습니다.
또한 OECD 국가 가운데 근로시간이 가장 긴 만큼 법정 공휴일 축소도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남순(한국노총 위원장): 기존의 임금이 삭감되거나 노동조건이 저하된다면 우리는 총파업을 불사하는 강력한 투쟁을 전개해 나갈 계획입니다.
⊙기자: 실시 시기도 재계는 2005년 이후로, 노동계는 당장 내년부터 실시할 것을 요구하고 있어서 다음 달로 예정된 정부 입법 예고안 마련에 적지 않은 진통이 예상됩니다.
KBS뉴스 이재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주5일제 재계-노동계 대립 격화
-
- 입력 2002-08-22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정부의 주5일 근무제 입법예고를 앞두고 재계와 노동계의 힘겨루기가 치열합니다.
특히 임금문제를 둘러싸고 양측이 한치도 물러서지 않고 있습니다.
이재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의 주5일 근무제 입법 예고안이 막바지에 이르자 재계는 오늘 모임을 갖고 줄어든 근로시간만큼 임금을 줄이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재계는 법정근로시간이 줄면 그 자체로도 13.6%의 임금인상 효과가 있는 만큼 월차와 생리휴가를 폐지하고 일요일도 무급으로 해 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주5일 근무로 최대 146일까지 늘어나는 연간 휴일 수를 선진국 수준인 139일까지 축소할 것도 요구했습니다.
⊙조남홍(한국경영자총협회 부회장): 국제기준, 특히 일본 수준과 그 관행에 부합하도록 입법화되어야 할 것입니다.
⊙기자: 재계의 이런 움직임에 맞서 한국노총과 민주노총도 오늘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임금 삭감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노동계는 월차, 생리휴가를 폐지하되 임금은 종전 수준으로 유지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습니다.
또한 OECD 국가 가운데 근로시간이 가장 긴 만큼 법정 공휴일 축소도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남순(한국노총 위원장): 기존의 임금이 삭감되거나 노동조건이 저하된다면 우리는 총파업을 불사하는 강력한 투쟁을 전개해 나갈 계획입니다.
⊙기자: 실시 시기도 재계는 2005년 이후로, 노동계는 당장 내년부터 실시할 것을 요구하고 있어서 다음 달로 예정된 정부 입법 예고안 마련에 적지 않은 진통이 예상됩니다.
KBS뉴스 이재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