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태로 교통두절, 저수지 범람
입력 2002.08.31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영동지방 도로 곳곳은 차량통행이 금지됐습니다.
또 저수지들은 범람위기를 맞으면서 주민들이 긴급 대피하고 있습니다.
정창환 기자입니다.
⊙기자: 강릉으로 향하는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하행선입니다.
산사태로 돌무더기가 쏟아졌지만 서둘러 치운 끝에 겨우 1개 차선을 뚫었습니다.
⊙김재운(도로공산): 차량들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저희가 지금 신속하게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기자: 쏟아지는 낙석과 차량들이 서로 뒤엉켜 도로는 아수라장으로 변하면서 차량들이 줄줄이 멈췄습니다.
⊙함영수(운전자): 오는 데 산이 무너진 데가 한 5, 6군데 되고 아침에 동해에서 여기까지 오는데 3시간 정도 걸렸습니다.
⊙기자: 이번 산사태로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하행선과 동해고속도로 옥계구간, 35번, 42번 국도 등 10여 개 도로가 전면 통제됐습니다.
또 이번 폭우로 일부 저수지가 잇따라 범람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이 일대에는 오늘 긴급 주민대피령이 내려져 3400여 명이 몸을 피했습니다. 근처에 위치한 저수지입니다.
거센 물살 때문에 모든 것이 다 완전히 집이고 뭐고 싹 쓸어간 거죠.
⊙황영주(마을 주민)
⊙기자: 더구나 일부 마을에서는 전기와 전화, 상수도가 끊기는 등 비피해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정창환입니다.
또 저수지들은 범람위기를 맞으면서 주민들이 긴급 대피하고 있습니다.
정창환 기자입니다.
⊙기자: 강릉으로 향하는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하행선입니다.
산사태로 돌무더기가 쏟아졌지만 서둘러 치운 끝에 겨우 1개 차선을 뚫었습니다.
⊙김재운(도로공산): 차량들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저희가 지금 신속하게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기자: 쏟아지는 낙석과 차량들이 서로 뒤엉켜 도로는 아수라장으로 변하면서 차량들이 줄줄이 멈췄습니다.
⊙함영수(운전자): 오는 데 산이 무너진 데가 한 5, 6군데 되고 아침에 동해에서 여기까지 오는데 3시간 정도 걸렸습니다.
⊙기자: 이번 산사태로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하행선과 동해고속도로 옥계구간, 35번, 42번 국도 등 10여 개 도로가 전면 통제됐습니다.
또 이번 폭우로 일부 저수지가 잇따라 범람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이 일대에는 오늘 긴급 주민대피령이 내려져 3400여 명이 몸을 피했습니다. 근처에 위치한 저수지입니다.
거센 물살 때문에 모든 것이 다 완전히 집이고 뭐고 싹 쓸어간 거죠.
⊙황영주(마을 주민)
⊙기자: 더구나 일부 마을에서는 전기와 전화, 상수도가 끊기는 등 비피해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정창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사태로 교통두절, 저수지 범람
-
- 입력 2002-08-31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영동지방 도로 곳곳은 차량통행이 금지됐습니다.
또 저수지들은 범람위기를 맞으면서 주민들이 긴급 대피하고 있습니다.
정창환 기자입니다.
⊙기자: 강릉으로 향하는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하행선입니다.
산사태로 돌무더기가 쏟아졌지만 서둘러 치운 끝에 겨우 1개 차선을 뚫었습니다.
⊙김재운(도로공산): 차량들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저희가 지금 신속하게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기자: 쏟아지는 낙석과 차량들이 서로 뒤엉켜 도로는 아수라장으로 변하면서 차량들이 줄줄이 멈췄습니다.
⊙함영수(운전자): 오는 데 산이 무너진 데가 한 5, 6군데 되고 아침에 동해에서 여기까지 오는데 3시간 정도 걸렸습니다.
⊙기자: 이번 산사태로 영동고속도로 대관령 하행선과 동해고속도로 옥계구간, 35번, 42번 국도 등 10여 개 도로가 전면 통제됐습니다.
또 이번 폭우로 일부 저수지가 잇따라 범람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이 일대에는 오늘 긴급 주민대피령이 내려져 3400여 명이 몸을 피했습니다. 근처에 위치한 저수지입니다.
거센 물살 때문에 모든 것이 다 완전히 집이고 뭐고 싹 쓸어간 거죠.
⊙황영주(마을 주민)
⊙기자: 더구나 일부 마을에서는 전기와 전화, 상수도가 끊기는 등 비피해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정창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