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수마가 할퀴고 간 상처
입력 2002.09.01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강릉지역은 주택과 상가 1만여 채가 물에 잠겼습니다.
단 하룻밤 쏟아진 폭우로 어떻게 이 지경이 될 수 있을까 믿어지지가 않을 정도로 도심 전체가 폐허가 됐습니다.
김도엽 기자입니다.
⊙기자: 악몽 같았던 홍수가 지나가고 난 자리, 사람이 살고 있었던가 싶을 정도입니다.
집과 건물들은 떠내려온 온갖 것들과 뒤범벅이 돼 형체도 구분하기가 어려운 지경입니다.
땅은 꺼지고 온갖 가재도구는 물론 자동차까지 떠내려 왔습니다.
집에 들어가지도 못하는 수재민은 흐느끼는 것 말고는 아무것도 할 수 있는 게 없습니다.
⊙최명길(강릉시 강남동): 모두 이걸 다 어떻게 합니까?
⊙기자: 단 하룻 동안 내린 비로 강릉시내 저지대지역은 엄청난 피해를 입었습니다.
수해지역을 넘어서 차라리 전쟁이 일어났던 폐허를 방불케 합니다.
집으로 밀려들어오는 물을 막아보려고 대문을 합판과 비닐로 틀어막았던 흔적은 필사적이었던 간밤의 상황을 말해 줍니다.
⊙황영임(강릉시 포남1동): 6시 돼 가지고 물이 막 들어오더라고요.
우리 식구들이 그냥 막 물 퍼내고 나중에 저녁에는 학교로 피난갔어요.
⊙기자: 주택가뿐 아니라 강릉 중심가의 중앙시장 등 상가 상당수도 침수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1000평이 넘는 지하상가는 완전 침수돼 지금도 물이 그대로 차 있습니다.
경포 해안가 횟집들도 침수와 함께 정전이 되면서 수족관의 물고기 수만 마리가 집단폐사하기도 했습니다.
태풍 루사로 강원 영동지역에는 무려 주택 1만 4000여 채가 침수 또는 파손됐으며 2만명의 이재민이 생겼습니다.
KBS뉴스 김도엽입니다.
단 하룻밤 쏟아진 폭우로 어떻게 이 지경이 될 수 있을까 믿어지지가 않을 정도로 도심 전체가 폐허가 됐습니다.
김도엽 기자입니다.
⊙기자: 악몽 같았던 홍수가 지나가고 난 자리, 사람이 살고 있었던가 싶을 정도입니다.
집과 건물들은 떠내려온 온갖 것들과 뒤범벅이 돼 형체도 구분하기가 어려운 지경입니다.
땅은 꺼지고 온갖 가재도구는 물론 자동차까지 떠내려 왔습니다.
집에 들어가지도 못하는 수재민은 흐느끼는 것 말고는 아무것도 할 수 있는 게 없습니다.
⊙최명길(강릉시 강남동): 모두 이걸 다 어떻게 합니까?
⊙기자: 단 하룻 동안 내린 비로 강릉시내 저지대지역은 엄청난 피해를 입었습니다.
수해지역을 넘어서 차라리 전쟁이 일어났던 폐허를 방불케 합니다.
집으로 밀려들어오는 물을 막아보려고 대문을 합판과 비닐로 틀어막았던 흔적은 필사적이었던 간밤의 상황을 말해 줍니다.
⊙황영임(강릉시 포남1동): 6시 돼 가지고 물이 막 들어오더라고요.
우리 식구들이 그냥 막 물 퍼내고 나중에 저녁에는 학교로 피난갔어요.
⊙기자: 주택가뿐 아니라 강릉 중심가의 중앙시장 등 상가 상당수도 침수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1000평이 넘는 지하상가는 완전 침수돼 지금도 물이 그대로 차 있습니다.
경포 해안가 횟집들도 침수와 함께 정전이 되면서 수족관의 물고기 수만 마리가 집단폐사하기도 했습니다.
태풍 루사로 강원 영동지역에는 무려 주택 1만 4000여 채가 침수 또는 파손됐으며 2만명의 이재민이 생겼습니다.
KBS뉴스 김도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릉, 수마가 할퀴고 간 상처
-
- 입력 2002-09-01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강릉지역은 주택과 상가 1만여 채가 물에 잠겼습니다.
단 하룻밤 쏟아진 폭우로 어떻게 이 지경이 될 수 있을까 믿어지지가 않을 정도로 도심 전체가 폐허가 됐습니다.
김도엽 기자입니다.
⊙기자: 악몽 같았던 홍수가 지나가고 난 자리, 사람이 살고 있었던가 싶을 정도입니다.
집과 건물들은 떠내려온 온갖 것들과 뒤범벅이 돼 형체도 구분하기가 어려운 지경입니다.
땅은 꺼지고 온갖 가재도구는 물론 자동차까지 떠내려 왔습니다.
집에 들어가지도 못하는 수재민은 흐느끼는 것 말고는 아무것도 할 수 있는 게 없습니다.
⊙최명길(강릉시 강남동): 모두 이걸 다 어떻게 합니까?
⊙기자: 단 하룻 동안 내린 비로 강릉시내 저지대지역은 엄청난 피해를 입었습니다.
수해지역을 넘어서 차라리 전쟁이 일어났던 폐허를 방불케 합니다.
집으로 밀려들어오는 물을 막아보려고 대문을 합판과 비닐로 틀어막았던 흔적은 필사적이었던 간밤의 상황을 말해 줍니다.
⊙황영임(강릉시 포남1동): 6시 돼 가지고 물이 막 들어오더라고요.
우리 식구들이 그냥 막 물 퍼내고 나중에 저녁에는 학교로 피난갔어요.
⊙기자: 주택가뿐 아니라 강릉 중심가의 중앙시장 등 상가 상당수도 침수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1000평이 넘는 지하상가는 완전 침수돼 지금도 물이 그대로 차 있습니다.
경포 해안가 횟집들도 침수와 함께 정전이 되면서 수족관의 물고기 수만 마리가 집단폐사하기도 했습니다.
태풍 루사로 강원 영동지역에는 무려 주택 1만 4000여 채가 침수 또는 파손됐으며 2만명의 이재민이 생겼습니다.
KBS뉴스 김도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