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하천서 천연기념물 ‘수달’ 발견…“먹이 찾아 이동”
입력 2017.10.24 (19:14)
수정 2017.10.24 (19: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청주 아파트 밀집지역을 관통하는 작은 하천에서 천연기념물 수달이 발견됐습니다.
수달이 살기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판단인데 먹이 경쟁에 밀려 일시적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지용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둠 속 작은 하천 물 웅덩이에서 야생동물이 헤엄치고 있습니다.
천연기념물 330호이자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인 수달입니다.
올해 태어난 개체로 추정됩니다.
먹이를 찾아 물가를 걷는가 싶더니 인기척에 놀라 빠르게 도망가기도 합니다.
주택 밀집 지역을 관통하는 그것도 폭이 불과 5~6미터 밖에 안되는 도심 하천에서 수달이 발견된 것은 이례적입니다.
<인터뷰> 홍종백(최초 목격자) : "40년 살았는데 처음 본대요. 처음. 수달이 고기 뜯어먹는 것까지 봤거든요. 물고기 먹는 것까지. 계속 왔다갔다 배회는 하는 거예요."
수량도 풍부하지 않고 숨을 수 있는 수풀도 없어 수달이 살기에 어려움이 많을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때문에 8킬로미터 이상 떨어진 미호천이나 무심천에서 먹이 경쟁에서 밀린 개체가 물길을 따라 올라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정호(박사/청주동물원) : "수달의 영역이 보통 평균 18㎞ 된다고 하거든요. 다른 개체와 영역을 나누기 위해서 올라오다 보니까 이 하천까지 오지 않았을까..."
전문가들은 주택가 하천에서도 수달이 살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만큼 이동 경로나 먹이 환경 등 충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KBS 뉴스 지용수입니다.
청주 아파트 밀집지역을 관통하는 작은 하천에서 천연기념물 수달이 발견됐습니다.
수달이 살기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판단인데 먹이 경쟁에 밀려 일시적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지용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둠 속 작은 하천 물 웅덩이에서 야생동물이 헤엄치고 있습니다.
천연기념물 330호이자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인 수달입니다.
올해 태어난 개체로 추정됩니다.
먹이를 찾아 물가를 걷는가 싶더니 인기척에 놀라 빠르게 도망가기도 합니다.
주택 밀집 지역을 관통하는 그것도 폭이 불과 5~6미터 밖에 안되는 도심 하천에서 수달이 발견된 것은 이례적입니다.
<인터뷰> 홍종백(최초 목격자) : "40년 살았는데 처음 본대요. 처음. 수달이 고기 뜯어먹는 것까지 봤거든요. 물고기 먹는 것까지. 계속 왔다갔다 배회는 하는 거예요."
수량도 풍부하지 않고 숨을 수 있는 수풀도 없어 수달이 살기에 어려움이 많을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때문에 8킬로미터 이상 떨어진 미호천이나 무심천에서 먹이 경쟁에서 밀린 개체가 물길을 따라 올라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정호(박사/청주동물원) : "수달의 영역이 보통 평균 18㎞ 된다고 하거든요. 다른 개체와 영역을 나누기 위해서 올라오다 보니까 이 하천까지 오지 않았을까..."
전문가들은 주택가 하천에서도 수달이 살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만큼 이동 경로나 먹이 환경 등 충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KBS 뉴스 지용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도심 하천서 천연기념물 ‘수달’ 발견…“먹이 찾아 이동”
-
- 입력 2017-10-24 19:16:12
- 수정2017-10-24 19:46:16
<앵커 멘트>
청주 아파트 밀집지역을 관통하는 작은 하천에서 천연기념물 수달이 발견됐습니다.
수달이 살기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판단인데 먹이 경쟁에 밀려 일시적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지용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둠 속 작은 하천 물 웅덩이에서 야생동물이 헤엄치고 있습니다.
천연기념물 330호이자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인 수달입니다.
올해 태어난 개체로 추정됩니다.
먹이를 찾아 물가를 걷는가 싶더니 인기척에 놀라 빠르게 도망가기도 합니다.
주택 밀집 지역을 관통하는 그것도 폭이 불과 5~6미터 밖에 안되는 도심 하천에서 수달이 발견된 것은 이례적입니다.
<인터뷰> 홍종백(최초 목격자) : "40년 살았는데 처음 본대요. 처음. 수달이 고기 뜯어먹는 것까지 봤거든요. 물고기 먹는 것까지. 계속 왔다갔다 배회는 하는 거예요."
수량도 풍부하지 않고 숨을 수 있는 수풀도 없어 수달이 살기에 어려움이 많을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때문에 8킬로미터 이상 떨어진 미호천이나 무심천에서 먹이 경쟁에서 밀린 개체가 물길을 따라 올라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정호(박사/청주동물원) : "수달의 영역이 보통 평균 18㎞ 된다고 하거든요. 다른 개체와 영역을 나누기 위해서 올라오다 보니까 이 하천까지 오지 않았을까..."
전문가들은 주택가 하천에서도 수달이 살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만큼 이동 경로나 먹이 환경 등 충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KBS 뉴스 지용수입니다.
-
-
지용수 기자 water@kbs.co.kr
지용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