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나무시장 기지개…겨울 한파로 묘목값 올라
입력 2018.03.10 (06:25)
수정 2018.03.10 (07: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봄을 맞아 요즘 나무를 심으려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지난겨울 추위로 동해를 입은 나무들이 많아 묘목값이 크게 올랐다고 합니다.
박익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꽃망울을 터트린 동백과 철쭉이 활기찬 봄의 시작을 알립니다.
나무시장과 농원에는 휴일을 앞두고 나무를 사려는 발길이 이어집니다.
["무슨 나무가 이렇게 쭈글쭈글해요? (사과는 5천원씩 팝니다. 5천원.) 사과는 싸네 나무는 더 커도."]
식목철 인기 있는 수종은 감과 자두, 사과 등 과일을 따 먹는 유실수와 꾸지뽕 등 약용식물입니다.
[이동후/광주전남산림조합 : "유실수가 많이 나가는 데 그 단감 대봉 그리고 사과종류 대표적으로 그 정도가 가장 많이 나가 고 약용식물이 많이 나갑니다."]
하지만 묘목값은 공급량이 많은 사과를 제외하고 대부분 20%가량 올랐습니다.
지난겨울 한파로 추위에 약한 묘목들이 동해를 입었기 때문입니다.
남쪽지방에서 자라는 상록활엽수인 금목서는 지난겨울 동해를 입어 잎이 이렇게 누렇게 말랐습니다.
[이광휴/광주 00농원 : "수급 자체가 원활하게 덜 되는 품목들은 몇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 꾸지뽕이라든지 우리 감나무도 예전에 비해 가격대가 거의 20% 정도 오른 상태고..."]
여기에 봄철 잦은 눈과 비로 밭에서 나무를 캐 옮기는 작업도 늦어지고 있습니다.
남부지방에서 나무 심기에 적합한 시기는 이달 말까집니다.
KBS 뉴스 박익원입니다.
봄을 맞아 요즘 나무를 심으려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지난겨울 추위로 동해를 입은 나무들이 많아 묘목값이 크게 올랐다고 합니다.
박익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꽃망울을 터트린 동백과 철쭉이 활기찬 봄의 시작을 알립니다.
나무시장과 농원에는 휴일을 앞두고 나무를 사려는 발길이 이어집니다.
["무슨 나무가 이렇게 쭈글쭈글해요? (사과는 5천원씩 팝니다. 5천원.) 사과는 싸네 나무는 더 커도."]
식목철 인기 있는 수종은 감과 자두, 사과 등 과일을 따 먹는 유실수와 꾸지뽕 등 약용식물입니다.
[이동후/광주전남산림조합 : "유실수가 많이 나가는 데 그 단감 대봉 그리고 사과종류 대표적으로 그 정도가 가장 많이 나가 고 약용식물이 많이 나갑니다."]
하지만 묘목값은 공급량이 많은 사과를 제외하고 대부분 20%가량 올랐습니다.
지난겨울 한파로 추위에 약한 묘목들이 동해를 입었기 때문입니다.
남쪽지방에서 자라는 상록활엽수인 금목서는 지난겨울 동해를 입어 잎이 이렇게 누렇게 말랐습니다.
[이광휴/광주 00농원 : "수급 자체가 원활하게 덜 되는 품목들은 몇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 꾸지뽕이라든지 우리 감나무도 예전에 비해 가격대가 거의 20% 정도 오른 상태고..."]
여기에 봄철 잦은 눈과 비로 밭에서 나무를 캐 옮기는 작업도 늦어지고 있습니다.
남부지방에서 나무 심기에 적합한 시기는 이달 말까집니다.
KBS 뉴스 박익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봄철 나무시장 기지개…겨울 한파로 묘목값 올라
-
- 입력 2018-03-10 06:32:37
- 수정2018-03-10 07:14:45
![](/data/news/2018/03/10/3616670_170.jpg)
[앵커]
봄을 맞아 요즘 나무를 심으려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지난겨울 추위로 동해를 입은 나무들이 많아 묘목값이 크게 올랐다고 합니다.
박익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꽃망울을 터트린 동백과 철쭉이 활기찬 봄의 시작을 알립니다.
나무시장과 농원에는 휴일을 앞두고 나무를 사려는 발길이 이어집니다.
["무슨 나무가 이렇게 쭈글쭈글해요? (사과는 5천원씩 팝니다. 5천원.) 사과는 싸네 나무는 더 커도."]
식목철 인기 있는 수종은 감과 자두, 사과 등 과일을 따 먹는 유실수와 꾸지뽕 등 약용식물입니다.
[이동후/광주전남산림조합 : "유실수가 많이 나가는 데 그 단감 대봉 그리고 사과종류 대표적으로 그 정도가 가장 많이 나가 고 약용식물이 많이 나갑니다."]
하지만 묘목값은 공급량이 많은 사과를 제외하고 대부분 20%가량 올랐습니다.
지난겨울 한파로 추위에 약한 묘목들이 동해를 입었기 때문입니다.
남쪽지방에서 자라는 상록활엽수인 금목서는 지난겨울 동해를 입어 잎이 이렇게 누렇게 말랐습니다.
[이광휴/광주 00농원 : "수급 자체가 원활하게 덜 되는 품목들은 몇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 꾸지뽕이라든지 우리 감나무도 예전에 비해 가격대가 거의 20% 정도 오른 상태고..."]
여기에 봄철 잦은 눈과 비로 밭에서 나무를 캐 옮기는 작업도 늦어지고 있습니다.
남부지방에서 나무 심기에 적합한 시기는 이달 말까집니다.
KBS 뉴스 박익원입니다.
봄을 맞아 요즘 나무를 심으려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
지난겨울 추위로 동해를 입은 나무들이 많아 묘목값이 크게 올랐다고 합니다.
박익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꽃망울을 터트린 동백과 철쭉이 활기찬 봄의 시작을 알립니다.
나무시장과 농원에는 휴일을 앞두고 나무를 사려는 발길이 이어집니다.
["무슨 나무가 이렇게 쭈글쭈글해요? (사과는 5천원씩 팝니다. 5천원.) 사과는 싸네 나무는 더 커도."]
식목철 인기 있는 수종은 감과 자두, 사과 등 과일을 따 먹는 유실수와 꾸지뽕 등 약용식물입니다.
[이동후/광주전남산림조합 : "유실수가 많이 나가는 데 그 단감 대봉 그리고 사과종류 대표적으로 그 정도가 가장 많이 나가 고 약용식물이 많이 나갑니다."]
하지만 묘목값은 공급량이 많은 사과를 제외하고 대부분 20%가량 올랐습니다.
지난겨울 한파로 추위에 약한 묘목들이 동해를 입었기 때문입니다.
남쪽지방에서 자라는 상록활엽수인 금목서는 지난겨울 동해를 입어 잎이 이렇게 누렇게 말랐습니다.
[이광휴/광주 00농원 : "수급 자체가 원활하게 덜 되는 품목들은 몇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 꾸지뽕이라든지 우리 감나무도 예전에 비해 가격대가 거의 20% 정도 오른 상태고..."]
여기에 봄철 잦은 눈과 비로 밭에서 나무를 캐 옮기는 작업도 늦어지고 있습니다.
남부지방에서 나무 심기에 적합한 시기는 이달 말까집니다.
KBS 뉴스 박익원입니다.
-
-
박익원 기자 iwpark@kbs.co.kr
박익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