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중금속 오염

입력 1991.03.28 (21: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성범 앵커 :

지난87년 하구 둑이 건설된 뒤에 낙동강 하구유역에는 물속에 많은 중금속이 함유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는 하구 둑의 건설로 낙동강의 방수량이 늘어난 데다가 물이 흐르는 속도가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부산에서 장동범 기자의 보도입니다.


장동범 기자 :

영남지역의 젖줄인 낙동강이 바다와 닿는 유역이 중금속으로 심하게 오염되고 있습니다.

부산대학교 환경대학원 김창원 교수팀이 지난87년 11월 하구 둑이 건설된 뒤 1년 동안 하구 둑과 선낙동강 위아래 4곳에서의 중금속 함류량을 조사한 결과 하구 둑 위쪽지역이 가장 많이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물속에서의 중금속 최고 함류량은 1ppm의 1/10000인 ppb단위로 구리가 28, 카드뮴7, 6가크롬24, 납16, 아연이 44ppb였습니다.

이 같은 수치는 일반 물속에 많이 들어있는 구리와 아연을 제외한 식수의 중금속 허용기준치에는 못 미치지만 하구 둑 건설 뒤 낙동강 강수량점거와 함께 물이 흐르는 속도가 줄어들어 지난 86년 조사 때 물속에 중금속이 거의 확인되지 않는 것과는 대조가 된다는 것이 보고서 내용입니다.


김창원 (부산대 환경공학과 교수) :

중금속들은 그 분해가 되지 않고 특히 생체 내에서는 축척되어지는 그런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그런 관점에서 볼 때 그 연안 어장 특히 그 수산 양식하는 이제 그런 쪽에 그 중금속의 오염의 가능성을 충분히 그 예견할 수가 있겠습니다.


장동범 기자 :

또 낙동강 유인민들이 절기에 먹는 재첩에서 나온 1g당 중금속 충석치인자도 구리1,600, 카드뮬과 6가크롬 310, 납490, 아연이 7,900이나 됐습니다.

이에 따라 낙동강하구는 생체속의 축적농도가 높은 중금속 함유량이 앞으로 더욱 늘 것으로 보여 해양오염과 수자원의 중금속오염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해지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낙동강 중금속 오염
    • 입력 1991-03-28 21:00:00
    뉴스 9

박성범 앵커 :

지난87년 하구 둑이 건설된 뒤에 낙동강 하구유역에는 물속에 많은 중금속이 함유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는 하구 둑의 건설로 낙동강의 방수량이 늘어난 데다가 물이 흐르는 속도가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부산에서 장동범 기자의 보도입니다.


장동범 기자 :

영남지역의 젖줄인 낙동강이 바다와 닿는 유역이 중금속으로 심하게 오염되고 있습니다.

부산대학교 환경대학원 김창원 교수팀이 지난87년 11월 하구 둑이 건설된 뒤 1년 동안 하구 둑과 선낙동강 위아래 4곳에서의 중금속 함류량을 조사한 결과 하구 둑 위쪽지역이 가장 많이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물속에서의 중금속 최고 함류량은 1ppm의 1/10000인 ppb단위로 구리가 28, 카드뮴7, 6가크롬24, 납16, 아연이 44ppb였습니다.

이 같은 수치는 일반 물속에 많이 들어있는 구리와 아연을 제외한 식수의 중금속 허용기준치에는 못 미치지만 하구 둑 건설 뒤 낙동강 강수량점거와 함께 물이 흐르는 속도가 줄어들어 지난 86년 조사 때 물속에 중금속이 거의 확인되지 않는 것과는 대조가 된다는 것이 보고서 내용입니다.


김창원 (부산대 환경공학과 교수) :

중금속들은 그 분해가 되지 않고 특히 생체 내에서는 축척되어지는 그런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그런 관점에서 볼 때 그 연안 어장 특히 그 수산 양식하는 이제 그런 쪽에 그 중금속의 오염의 가능성을 충분히 그 예견할 수가 있겠습니다.


장동범 기자 :

또 낙동강 유인민들이 절기에 먹는 재첩에서 나온 1g당 중금속 충석치인자도 구리1,600, 카드뮬과 6가크롬 310, 납490, 아연이 7,900이나 됐습니다.

이에 따라 낙동강하구는 생체속의 축적농도가 높은 중금속 함유량이 앞으로 더욱 늘 것으로 보여 해양오염과 수자원의 중금속오염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해지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