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석 앵커 :
이 조사결과에 또 다른 특징은 가구 수 증가율이 인구증가율보다 두 배 이상 높다는 점입니다.
주택이 모자랄 수밖에 없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이번에는 주택 총 조사의 결과를 이종학 기자가 분석해 드립니다.
이종학 기자 :
우리나라의 가구 수는 90년 11월 1일 현재 모두 1,135만 가구로 지난 85년보다 17.3% 증가해 인구증가율의 두 배를 넘었습니다.
가구당 평균 가족 수는 3.8명으로 줄었습니다.
핵가족화 현상의 가속화에 따른 단독가구의 증가추세를 뚜렷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전국 주택 수는 모두 737만 4천동이나 되지만 가구 수의 증가 등으로 세 가구 중 한 가구는 집이 없는 셈입니다.
특히 도시지역의 경우엔 한 집에 1.8가구가 살고 있어 도시 주택난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진모 (국토개발연구원 연구위원) :
그 규모가 큰 단독주택이나 이 공동주택에는 기술적으로나 이 생활 공간상으로 2가구 이상이 거주할 수 있는 주택으로 건설되어지도록 해야 되고 임대주택내지 영구 임대주택을 많이 공급해야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이종학 기자 :
지난 5년간을 보면 단독주택 수는 3.6% 증가한데 비해 아파트는 103%나 늘어 전체 주택가운데 23%가 아파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인구주택총조사 핵가족화 뚜렷
-
- 입력 1991-04-12 21:00:00

박대석 앵커 :
이 조사결과에 또 다른 특징은 가구 수 증가율이 인구증가율보다 두 배 이상 높다는 점입니다.
주택이 모자랄 수밖에 없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이번에는 주택 총 조사의 결과를 이종학 기자가 분석해 드립니다.
이종학 기자 :
우리나라의 가구 수는 90년 11월 1일 현재 모두 1,135만 가구로 지난 85년보다 17.3% 증가해 인구증가율의 두 배를 넘었습니다.
가구당 평균 가족 수는 3.8명으로 줄었습니다.
핵가족화 현상의 가속화에 따른 단독가구의 증가추세를 뚜렷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전국 주택 수는 모두 737만 4천동이나 되지만 가구 수의 증가 등으로 세 가구 중 한 가구는 집이 없는 셈입니다.
특히 도시지역의 경우엔 한 집에 1.8가구가 살고 있어 도시 주택난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진모 (국토개발연구원 연구위원) :
그 규모가 큰 단독주택이나 이 공동주택에는 기술적으로나 이 생활 공간상으로 2가구 이상이 거주할 수 있는 주택으로 건설되어지도록 해야 되고 임대주택내지 영구 임대주택을 많이 공급해야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이종학 기자 :
지난 5년간을 보면 단독주택 수는 3.6% 증가한데 비해 아파트는 103%나 늘어 전체 주택가운데 23%가 아파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