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원 아나운서 :
우리나라 성인의 4명 중 1명이 잘못된 식생활 때문에 영양부족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에 영양과다로 인한 비만, 이른바 뚱보들도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보사부의 91년 국민 영양조사 결과를 황성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황성수 기자 :
먹을 것이 풍부한데도 우리나라 국민의 24%가 영양부족으로 나타난 보건사회부 조사는 우리의 잘못된 식생활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조사 대상 7천 7백여 명 가운데 3%는 하루 세끼 식사 중에 한 끼 이상을 거르고 있으며 결식자 가운데는 10대가 26%,20대가 21%로 특히 청소년층의 식생활 습관에 문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윤옥경 (성남시 은행동) :
아침은 거의 뭐 먹지 못하는 편이구요 그리고 점심은 간단하게 구내식당에서 먹고 저녁은 먹으려고 노력은 하는데 친구들 만나고 뭐 그러다 보면은 거의 거르는 때도 많고 그래요.
황성수 기자 :
이밖에 편식이나 지나치게 인스턴트식품에 의존하는 현대인의 식생활 습관 그리고 젊은 여성들의 다이어트도 영양부족의 한 요인입니다. 그러나 곡류의 섭취량은 지난 71년 84%이던 것이 91년에는 65%로 20년 전에 비해 크게 낮아졌으나 생활수준이 나아지면서 육류 등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은 71년 11%에서 91년 42%로 높아졌습니다.
문현경 (한국식품연구소 수석연구원) :
다이어트를 한다든가 또는 뭐 아침을 안 먹는다든가 그런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서 식품 선택이 잘못돼서 영양이 부족하거나 또는 너무 많이 먹어서 영양이 과다한 사람이 상당히 많아서 이것이 우리나라에 중요한 영양문제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황성수 기자 :
한편 비만상태를 알아볼 수 있는 신체 중량기수는 18%가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밝혀져 우리나라도 영양과다에 의한 비만이 점차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성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리나라 성인 4명중 1명 영양부족
-
- 입력 1993-10-26 21:00:00

이규원 아나운서 :
우리나라 성인의 4명 중 1명이 잘못된 식생활 때문에 영양부족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에 영양과다로 인한 비만, 이른바 뚱보들도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보사부의 91년 국민 영양조사 결과를 황성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황성수 기자 :
먹을 것이 풍부한데도 우리나라 국민의 24%가 영양부족으로 나타난 보건사회부 조사는 우리의 잘못된 식생활의 한 단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조사 대상 7천 7백여 명 가운데 3%는 하루 세끼 식사 중에 한 끼 이상을 거르고 있으며 결식자 가운데는 10대가 26%,20대가 21%로 특히 청소년층의 식생활 습관에 문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윤옥경 (성남시 은행동) :
아침은 거의 뭐 먹지 못하는 편이구요 그리고 점심은 간단하게 구내식당에서 먹고 저녁은 먹으려고 노력은 하는데 친구들 만나고 뭐 그러다 보면은 거의 거르는 때도 많고 그래요.
황성수 기자 :
이밖에 편식이나 지나치게 인스턴트식품에 의존하는 현대인의 식생활 습관 그리고 젊은 여성들의 다이어트도 영양부족의 한 요인입니다. 그러나 곡류의 섭취량은 지난 71년 84%이던 것이 91년에는 65%로 20년 전에 비해 크게 낮아졌으나 생활수준이 나아지면서 육류 등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은 71년 11%에서 91년 42%로 높아졌습니다.
문현경 (한국식품연구소 수석연구원) :
다이어트를 한다든가 또는 뭐 아침을 안 먹는다든가 그런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서 식품 선택이 잘못돼서 영양이 부족하거나 또는 너무 많이 먹어서 영양이 과다한 사람이 상당히 많아서 이것이 우리나라에 중요한 영양문제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황성수 기자 :
한편 비만상태를 알아볼 수 있는 신체 중량기수는 18%가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밝혀져 우리나라도 영양과다에 의한 비만이 점차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성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