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근찬 앵커 :
계속해서 이 후지모리 대통령이 이처럼 무력진압이라고하는 강경책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배경을 알아봅니다.
유석조 기자입니다.
⊙유석조 기자 :
페루 정부는 지난 넉달 동안 테러범들의 망명지를 물색하는 등 평화적인 해결노력을 계속했습니다. 그러나 테러범들이 쿠바 망명허용과 수감중인 반군 일부를 석방한다는 페루 정부의 최종 타협안을 거부하자 후지모리 대통령은 강경진압쪽으로 마음을 굳히고 그 시기 선택에 골몰해 왔습니다.
⊙후지모리 대통령 :
테러범측이 중무장을 하고 있어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습니다.
⊙유석조 기자 :
인질사태를 조속히 해결하라는 국내 여론의 압력과 페루 경제의 급격한 악화도 강경진압을 재촉한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여기에다 장기전으로 테러범들이 지쳐있어 경계심이 약화됐으리라는 판단도 작용했습니다. 때문에 페루 정부는 테러범들과의 협상을 진행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석달전부터 무력진압에 대비한 훈련을 꾸준히 실시해왔습니다. 해군과 공군에서 정예요원을 선발해 인질구출을 위한 특공대를 비밀리에 편성했습니다. 특공대원들은 비밀기지에 일본 대사관저 모형을 만들어놓고 테러범들을 사살하고 인질을 구출하는 훈련을 계속했습니다. 훈련 당시 대사관저 투입에서부터 인질구출까지 걸린 시간은 불과 30분 정도 오늘 실제상황에서는 10분이 더 걸렸습니다. 이번 진압작전이 성공적으로 끝난 것은 이같은 특공부대의 치밀한 훈련때문에 가능했다는 분석입니다.
KBS 뉴스, 유석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페루 일본대사관저 인질사태; 후지모리 대통령의 강경책 선택 배경
-
- 입력 1997-04-23 21:00:00

⊙류근찬 앵커 :
계속해서 이 후지모리 대통령이 이처럼 무력진압이라고하는 강경책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배경을 알아봅니다.
유석조 기자입니다.
⊙유석조 기자 :
페루 정부는 지난 넉달 동안 테러범들의 망명지를 물색하는 등 평화적인 해결노력을 계속했습니다. 그러나 테러범들이 쿠바 망명허용과 수감중인 반군 일부를 석방한다는 페루 정부의 최종 타협안을 거부하자 후지모리 대통령은 강경진압쪽으로 마음을 굳히고 그 시기 선택에 골몰해 왔습니다.
⊙후지모리 대통령 :
테러범측이 중무장을 하고 있어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습니다.
⊙유석조 기자 :
인질사태를 조속히 해결하라는 국내 여론의 압력과 페루 경제의 급격한 악화도 강경진압을 재촉한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여기에다 장기전으로 테러범들이 지쳐있어 경계심이 약화됐으리라는 판단도 작용했습니다. 때문에 페루 정부는 테러범들과의 협상을 진행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석달전부터 무력진압에 대비한 훈련을 꾸준히 실시해왔습니다. 해군과 공군에서 정예요원을 선발해 인질구출을 위한 특공대를 비밀리에 편성했습니다. 특공대원들은 비밀기지에 일본 대사관저 모형을 만들어놓고 테러범들을 사살하고 인질을 구출하는 훈련을 계속했습니다. 훈련 당시 대사관저 투입에서부터 인질구출까지 걸린 시간은 불과 30분 정도 오늘 실제상황에서는 10분이 더 걸렸습니다. 이번 진압작전이 성공적으로 끝난 것은 이같은 특공부대의 치밀한 훈련때문에 가능했다는 분석입니다.
KBS 뉴스, 유석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