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념일로 제정된 뒤 첫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 모습과 그 의미

입력 1997.05.18 (21: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기념일로 제정된뒤 오늘 처음 열린 5.18 민주화운동 17주기 기념식에는 전국에서 수많은 참배객들이 찾아와 5월 영령들의 넋을 위로했습니다. 이제 5.18 민주화운동은 국민화합의 구심점으로 자리잡아가고 있습니다. 오늘 기념식 행사와 국가기념일 제정의 의미 등을 광주방송총국 윤수희 기자와 최성신 기자가 차례로 전해 드립니다.


⊙윤수희 기자 :

오늘 기념식은 5.18 민주화운동이 국가기념일로 제정된이후 처음으로 열린 것이어서 5월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는 감회가 어느해 보다 특별했습니다. 17년만에 행사 주최가 유족에서 정부로 바뀌어 기념식장에는 고건 국무총리 등 정부인사와 정치인들이 참석했습니다.


⊙고건 (국무총리) :

5.18민주화운동은 광주라는 지역의 한계를 벗어나 범국민적인 보편적 가치로 승화돼어 모든 국민들 가슴속에 자리잡아야 합니다.


⊙윤수희 기자 :

5.18 묘지에는 아침 일찍부터 전국에서 찾아온 수많은 참배객들의 발길이 이어져 5월 영령들에 대한 추모의 분위기를 더했습니다. 오후에는 당시 민주화의 함성이 가득했던 전남도청 앞에 만여명의 시민들이 다시모여 5.18 기념대회를 열고 5.18의 완전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등 남은 과제의 해결을 다짐했습니다.

KBS 뉴스, 윤수희입니다.


⊙최성신 기자 :

이제 광주의 5월 정신은 과거에서 미래로 투쟁에서 화합으로 광주에서 전국으로 발돋움하는 전환점을 맞았습니다. 80년대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던 5.18이 법정기념일로 제정돼 종전의 반목과 대립에서 벗어나서 화합과 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출발점이 됐습니다.


⊙정윤석 (광주시 화정동) :

나라에서 인정해주는 17주년 맞춰서 했다는게 참 뜻깊은 날이구요 그리고 광주시민으로서는 아무래도 느끼는 소감이 다 똑같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최성신 기자 :

이달들어 계속되고 있는 각종 추모와 정신계승 행사도 과거의 투쟁 일변도와는 달리 많은 시민이 참여해서 진정한 5월 정신을 이어가는 화합의 장으로 승화되고 있습니다. 5.18 17주년을 맞는 광주 시가지의 모습도 달라졌습니다. 17년전 민주화의 함성으로 가득했던 이곳 금남로를 비롯한 광주시내 주요 거리에는 태극기가 게양돼서 역사에 새로이 자리매김 되고 있는 광주 민주화운동을 실감케 하고 있습니다. 오늘 기념행사는 텔레비전을 통해 우리나라 뿐 아니라 해외에 위성 생중계 됨으로써 5월 정신을 널리 알리는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KBS 뉴스, 최성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가기념일로 제정된 뒤 첫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 모습과 그 의미
    • 입력 1997-05-18 21:00:00
    뉴스 9

국가기념일로 제정된뒤 오늘 처음 열린 5.18 민주화운동 17주기 기념식에는 전국에서 수많은 참배객들이 찾아와 5월 영령들의 넋을 위로했습니다. 이제 5.18 민주화운동은 국민화합의 구심점으로 자리잡아가고 있습니다. 오늘 기념식 행사와 국가기념일 제정의 의미 등을 광주방송총국 윤수희 기자와 최성신 기자가 차례로 전해 드립니다.


⊙윤수희 기자 :

오늘 기념식은 5.18 민주화운동이 국가기념일로 제정된이후 처음으로 열린 것이어서 5월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는 감회가 어느해 보다 특별했습니다. 17년만에 행사 주최가 유족에서 정부로 바뀌어 기념식장에는 고건 국무총리 등 정부인사와 정치인들이 참석했습니다.


⊙고건 (국무총리) :

5.18민주화운동은 광주라는 지역의 한계를 벗어나 범국민적인 보편적 가치로 승화돼어 모든 국민들 가슴속에 자리잡아야 합니다.


⊙윤수희 기자 :

5.18 묘지에는 아침 일찍부터 전국에서 찾아온 수많은 참배객들의 발길이 이어져 5월 영령들에 대한 추모의 분위기를 더했습니다. 오후에는 당시 민주화의 함성이 가득했던 전남도청 앞에 만여명의 시민들이 다시모여 5.18 기념대회를 열고 5.18의 완전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등 남은 과제의 해결을 다짐했습니다.

KBS 뉴스, 윤수희입니다.


⊙최성신 기자 :

이제 광주의 5월 정신은 과거에서 미래로 투쟁에서 화합으로 광주에서 전국으로 발돋움하는 전환점을 맞았습니다. 80년대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던 5.18이 법정기념일로 제정돼 종전의 반목과 대립에서 벗어나서 화합과 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출발점이 됐습니다.


⊙정윤석 (광주시 화정동) :

나라에서 인정해주는 17주년 맞춰서 했다는게 참 뜻깊은 날이구요 그리고 광주시민으로서는 아무래도 느끼는 소감이 다 똑같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최성신 기자 :

이달들어 계속되고 있는 각종 추모와 정신계승 행사도 과거의 투쟁 일변도와는 달리 많은 시민이 참여해서 진정한 5월 정신을 이어가는 화합의 장으로 승화되고 있습니다. 5.18 17주년을 맞는 광주 시가지의 모습도 달라졌습니다. 17년전 민주화의 함성으로 가득했던 이곳 금남로를 비롯한 광주시내 주요 거리에는 태극기가 게양돼서 역사에 새로이 자리매김 되고 있는 광주 민주화운동을 실감케 하고 있습니다. 오늘 기념행사는 텔레비전을 통해 우리나라 뿐 아니라 해외에 위성 생중계 됨으로써 5월 정신을 널리 알리는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KBS 뉴스, 최성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