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진 앵커 :
생활형편이 나아지면서 가족단위의 외식문화가 보편화돼서 각 가정지출의 적지않은 부분이 차지했었습니다마는 요즘은 경제사정으로 식당마다 외식손님이 많이 줄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선진 외국에 비하면 아직도 외식비의 거품은 더욱 빠져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취재에 박상용 기자입니다.
⊙박상용 기자 :
오랫만에 만난 두가족이 삼겹살 파티를 벌였습니다. 주부 박미영씨는 열심히 고기를 구워 나르지만 일손이 달릴 정도로 삼겹살은 인기입니다.
⊙박미영 (서울 상도동) :
외식을 하려고 하다가 그냥 비용도 줄이고 겸사해서 이렇게 집에서 준비했어요.
⊙박상용 기자 :
삼겹살 2근 반에 12,000원, 야채와 과일 25,000원, 9명분 식탁을 준비하는데 4만원이 채 들지 않았습니다. 외식을 하려면 못해도 10만원, 교통비까지 감안하면 비용을 반으로 절약한 셈입니다. 서울 하계동에 사는 주부 허선희씨도 요즘 긴축재정을 짜면서 우선 한달 10여만원이던 외식비를 5만원선으로 줄였습니다.
⊙허선희 (서울 중계동) :
애들 성화에 피자나 햄버거, 치킨집의 외식을 가끔 하는데 그게 좀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기는 해요.
⊙박상용 기자 :
지난해 서울에 사는 한 가구의 한달 외식비는 평균 17만여원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식비 가운데 외식비 비중은 일본이 18.1%인데 비해 우리는 35.5%나 됩니다.
⊙주호경 (서울 하계동) :
가족끼리 화합을 위해서도 외식을 자주했지만 요즘은 진짜 굉장히 부담돼서 외식을 많이 자제합니다.
⊙박상용 기자 :
서울시내 가구당 외식횟수를 한번씩만 줄여도 한달에 1,200억원이 절약됩니다.
KBS 뉴스, 박상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달러의 현장] 외식비 일본의 2배
-
- 입력 1998-01-25 21:00:00

⊙김종진 앵커 :
생활형편이 나아지면서 가족단위의 외식문화가 보편화돼서 각 가정지출의 적지않은 부분이 차지했었습니다마는 요즘은 경제사정으로 식당마다 외식손님이 많이 줄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선진 외국에 비하면 아직도 외식비의 거품은 더욱 빠져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취재에 박상용 기자입니다.
⊙박상용 기자 :
오랫만에 만난 두가족이 삼겹살 파티를 벌였습니다. 주부 박미영씨는 열심히 고기를 구워 나르지만 일손이 달릴 정도로 삼겹살은 인기입니다.
⊙박미영 (서울 상도동) :
외식을 하려고 하다가 그냥 비용도 줄이고 겸사해서 이렇게 집에서 준비했어요.
⊙박상용 기자 :
삼겹살 2근 반에 12,000원, 야채와 과일 25,000원, 9명분 식탁을 준비하는데 4만원이 채 들지 않았습니다. 외식을 하려면 못해도 10만원, 교통비까지 감안하면 비용을 반으로 절약한 셈입니다. 서울 하계동에 사는 주부 허선희씨도 요즘 긴축재정을 짜면서 우선 한달 10여만원이던 외식비를 5만원선으로 줄였습니다.
⊙허선희 (서울 중계동) :
애들 성화에 피자나 햄버거, 치킨집의 외식을 가끔 하는데 그게 좀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기는 해요.
⊙박상용 기자 :
지난해 서울에 사는 한 가구의 한달 외식비는 평균 17만여원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식비 가운데 외식비 비중은 일본이 18.1%인데 비해 우리는 35.5%나 됩니다.
⊙주호경 (서울 하계동) :
가족끼리 화합을 위해서도 외식을 자주했지만 요즘은 진짜 굉장히 부담돼서 외식을 많이 자제합니다.
⊙박상용 기자 :
서울시내 가구당 외식횟수를 한번씩만 줄여도 한달에 1,200억원이 절약됩니다.
KBS 뉴스, 박상용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