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금융투자협회 “국채·특수채 발행 잔액, 사상 첫 1,000조 돌파”
입력 2018.08.13 (12:27) 수정 2018.08.13 (13:09) 뉴스 12
정부가 직간접으로 보증하는 채권인 국채와 특수채 발행잔액이 사상 처음으로 천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7일, 국채와 특수채 발행잔액은 각각 671조 6천여 억 원과 328조 5천여 억 원으로, 합계 천조 2천 93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들 채권 잔액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말만 해도 427조 원 규모였으나, 이후 꾸준히 늘어 지난해 말에는 953조 원에 이르렀습니다.
올해는 특히 국채 잔액이 급증했는데, 국정과제 추진을 위한 정부의 자금 비축이 배경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7일, 국채와 특수채 발행잔액은 각각 671조 6천여 억 원과 328조 5천여 억 원으로, 합계 천조 2천 93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들 채권 잔액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말만 해도 427조 원 규모였으나, 이후 꾸준히 늘어 지난해 말에는 953조 원에 이르렀습니다.
올해는 특히 국채 잔액이 급증했는데, 국정과제 추진을 위한 정부의 자금 비축이 배경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 금융투자협회 “국채·특수채 발행 잔액, 사상 첫 1,000조 돌파”
-
- 입력 2018-08-13 12:29:53
- 수정2018-08-13 13:09:13

정부가 직간접으로 보증하는 채권인 국채와 특수채 발행잔액이 사상 처음으로 천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7일, 국채와 특수채 발행잔액은 각각 671조 6천여 억 원과 328조 5천여 억 원으로, 합계 천조 2천 93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들 채권 잔액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말만 해도 427조 원 규모였으나, 이후 꾸준히 늘어 지난해 말에는 953조 원에 이르렀습니다.
올해는 특히 국채 잔액이 급증했는데, 국정과제 추진을 위한 정부의 자금 비축이 배경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7일, 국채와 특수채 발행잔액은 각각 671조 6천여 억 원과 328조 5천여 억 원으로, 합계 천조 2천 93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들 채권 잔액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말만 해도 427조 원 규모였으나, 이후 꾸준히 늘어 지난해 말에는 953조 원에 이르렀습니다.
올해는 특히 국채 잔액이 급증했는데, 국정과제 추진을 위한 정부의 자금 비축이 배경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뉴스 12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KBS
KBS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