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성인 10명 중 6명꼴 “일자리 정책 실효성 없어”
입력 2018.10.02 (18:06) 수정 2018.10.02 (18:27) 통합뉴스룸ET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성인 10명 가운데 6명은 정부의 일자리 정책이 일자리를 늘리는 데 실효성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경제개혁연구소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7에서 30일 전국 성인 천 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정부 정책이 일자리 수를 늘리는 데 실효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60.4%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올해 1월 같은 내용의 조사와 비교하면 '실효성이 없다'는 응답률이 2.9%포인트 높아진 것입니다.
또 정부의 정책이 일자리 질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고 평가하느냐는 질문에도 응답자의 58.3%가 '없다'고 답했습니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09%포인트입니다.
경제개혁연구소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7에서 30일 전국 성인 천 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정부 정책이 일자리 수를 늘리는 데 실효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60.4%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올해 1월 같은 내용의 조사와 비교하면 '실효성이 없다'는 응답률이 2.9%포인트 높아진 것입니다.
또 정부의 정책이 일자리 질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고 평가하느냐는 질문에도 응답자의 58.3%가 '없다'고 답했습니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09%포인트입니다.
- 성인 10명 중 6명꼴 “일자리 정책 실효성 없어”
-
- 입력 2018-10-02 18:14:31
- 수정2018-10-02 18:27:42

성인 10명 가운데 6명은 정부의 일자리 정책이 일자리를 늘리는 데 실효성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경제개혁연구소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7에서 30일 전국 성인 천 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정부 정책이 일자리 수를 늘리는 데 실효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60.4%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올해 1월 같은 내용의 조사와 비교하면 '실효성이 없다'는 응답률이 2.9%포인트 높아진 것입니다.
또 정부의 정책이 일자리 질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고 평가하느냐는 질문에도 응답자의 58.3%가 '없다'고 답했습니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09%포인트입니다.
경제개혁연구소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7에서 30일 전국 성인 천 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정부 정책이 일자리 수를 늘리는 데 실효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60.4%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습니다.
올해 1월 같은 내용의 조사와 비교하면 '실효성이 없다'는 응답률이 2.9%포인트 높아진 것입니다.
또 정부의 정책이 일자리 질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다고 평가하느냐는 질문에도 응답자의 58.3%가 '없다'고 답했습니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09%포인트입니다.
통합뉴스룸ET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KBS
KBS의 기사 모음
-